힌덴부르크

만약 항목을 잘못 찾아왔다면 힌덴부르그로.

1 독일의 군인, 정치가 파울 폰 힌덴부르크

파울 폰 힌덴부르크 항목 참조.

2 독일의 초거대 비행선 힌덴부르크호

Hindenburg_at_lakehurst.jpg
airship-before.jpg
정식 명칭은 LZ 129 Hindenburg. 위의 힌덴부르크 원수의 이름을 땄다.
나치 독일비행선.

2.1 크기

lz129-image02.jpg
비행선으로는 유례 없이 크고 아름다운 물건이었으며 그 길이는 245m에 달했다. 어느 정도의 크기인지 감이 안오는가? 비스마르크급 전함이나 야마토급 전함 같은 전함이 하늘을 날아 다닌다 생각해보자. 현존 최대 덩치의 제트 여객기인 에어버스 A380의 길이가 힌덴부르크의 1/3에도 미치지 못하는 72.73m이고, 최장 길이를 자랑하는 안토노프 설계국의 An-225 조차 84m 밖에 안된다.


f0075523_57dd51a488995.jpg
f0075523_57dd519fa8c93.jpg
s_h06_ba147064.jpg
또한 내부는 꽤 고급스러웠고, 승객실에는 침구와 세면대 등 생활시설이 잘 구비되었으며 레스토랑과 오락시설들도 잘 정비되었다. 가구들은 바우하우스 스타일로 꾸며졌으며 금속으로 특수제작된 피아노까지 있었다! 또한 기압조절장치와 전기라이터 등 독일의 비행선 기술을 접목시킨 다양한 안전장치를 설치하였다.

사실 이 당시 비행선은 차기 여객기로 주목을 받았지만 편도티켓만 400달러로, 지금으로 따지면 약 5000달러에 달하는 등 최고위층의 전유물이었다.[1]

2.2 최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고! 이 문서는 충격을 유발하는 내용 혹은 표현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사용자에 따라 불쾌감, 혐오감, 공포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 이미지, 외부 링크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람에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이 문서를 열람하여 발생한 피해는 바다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읽고 싶지 않으시면 즉시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tumblr_m8v9qsT4gF1rtn3ufo1_500.jpg
1936년에 수소를 가득 채웠던 이 비행선이 미국 상공에서 정전기로 인해 폭발해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다.[2] 승객 13명, 승무원 22명, 지상요원 1명 등 36명이 숨졌고[3] 61명은 살아났다. 비행선의 구조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사고의 원인은 헬륨용으로 설계되었지만 미국이 독일의 주변국 침략에 대한 제재조치로 헬륨을 팔지 않아[4] 수소를 채워넣어 운행하다가 생긴 참사.(헬륨은 굉장히 안정한 물질이지만, 수소는 가연성, 폭발성 기체이다).[5]

수소뿐만 아니라 비행선 표면에 발라져 있던 금속성 도료의 테르밋 반응이 연소를 폭발적으로 가속화 시켰다고 한다. 디스커버리 채널Mythbusters에서 이 가설에 대해 검증하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테르밋 반응을 일으킨 쪽의 모형 비행선이 그렇지 않은 쪽에 비해 월등히 빠르게 연소되었다. 실제 참사 당시 촬영화면을 분석한 결과 힌덴부르크호의 연소도 테르밋 반응을 보인 것처럼 폭발적 연소와 짧은 연소시간을 나타내었다고 한다.

당시 힌덴부르크의 사고를 보도했던 허버트 모리슨는 인류의 높은 기술과 꿈이 서려있는 거대한 비행선이 불타 추락하는 모습을 보며 느낀 참담한 심정을 그대로 보도했는데, 여기서 나오는 "Oh, the humanity! (오 인류여!)"[6]라는 절규가 유명하며 이 목소리는 National Recording Registry에도 등재되었다.

그리고 그 보도가 담긴 레코드[7]는 국립보존기록관에 보관되었는데, 2001년-2010년 사이에 도난당했다가 회수하였다.[8]

이 일 이후로 비행선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2.3 미디어

이 추락장면을 풀 메탈 패닉에서 쿠르츠 웨버베르팡강 클루조에게 시각테러용으로 쓰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영국의 락밴드 레드 제플린의 1집 앨범 Led Zeppelin(앨범)의 커버를 장식한 사진도 힌덴부르크호의 추락 사진.
심슨에서는 뭔가 끔찍한 일이 있을때 저 "Oh, the humanity!"가 패러디되어 자주 사용된다.


220px-Hindenburg_%281975%29.jpg
1975년 미국에서 이 비행선 폭발사고를 소재로 영화화 했었다. (영제:The Hindenburg) 감독은 사운드 오브 뮤직으로 유명한 로버트 와이즈(1914~2005). 패튼 대전차군단에서 패튼을 잘 연기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은 조지 C. 스콧 (1927~1998)주연으로 배급은 유니버셜이 맡았으며 한국에서는 비디오 제목으로 힌덴버그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80년대 초에 국내 TV에서 아주 드물게 방영했었고, 외국 사이트를 잘 검색하면 지금도 어렵사리 구할수는 있다 (그런데 자막이 없다!).

이 영화는 비행선의 개발과정 같은 역사적 관점을 다룬것이 아닌 정치적 음모 등을 첨가한 픽션 스릴러에 가깝다. 폭발참사가 발생했던 마지막 비행을 메인테마로 삼고 있는데, 실제 폭발원인에 대해선 많은 의혹이 있지만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것에 비해, 이 영화에서는 히틀러의 유대인 탄압에 보복하는 의미로 유대인 테러리스트가 장치 해 놓은 시한폭탄 때문에 터진 것으로 그렸다.[9] 수소 기낭이 들어있는 거대한 동체 내부 철골조를 실제 세트로 만들거나, 화려한 객실, 조타실등의 고증도 꽤 정확하게 묘사했다. 특히, 거대한 모형 비행선을 이용해 찍은 북해의 하늘을 날아가는 장면등은 매우 박력있고 아름다운 영상을 보여준다. 다만 비행선이란게 워낙 조용하고 천천히 움직이는지라 공중 비행액션은 그다지 많지 않고 대부분 배우들이 실내에서 대사치는 장면이 주류다. 마지막 폭발장면은 촬영세트를 이용한 시한폭탄이 터지는 장면에서 실제사고 기록영상으로 이어지는데 이게 꽤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평은 나쁘지 않았으나 제작비 1500만 달러로 만들어져 북미 흥행이 2790만 달러에 그치면서 그리 흥행은 성공하지 못했다.

2013년 3월 7일 영국 Channel 4에서 What Destroyed the Hindenburg? (무엇이 힌덴부르크 호를 침몰시켰나?) 라는 제목으로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관심있는 사람은 유투브에서 볼 수 있다.

이 사고는 리버럴한 성향의 체펠린사 사장 후고 에케너를 평소 아니꼽게 여기던 괴링과 히틀러에게 좋은 구실이 되었고, 이후 독일 항공산업의 상징적 존재였던 거대 비행선은 순식간에 사장길로 접어들어, 2차대전 때는 그나마 온존히 남아 있던 비행선들이 해체된 뒤 전쟁물자로 징발되는 굴욕까지 당한다.

NGC사상 최악의 참사에서도 소재를 다루었다. 조사 결과, 지연된 일정에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급회전을 하는 인재가 발생하였음이 밝혀졌다. 즉 설계상 급회전이 불가능해 철저한 훈련과 교육이 이루어졌음에도 일정을 위해 무리한 착륙을 시도하였고, 이 결과 응력을 받은 4번 수소주머니 옆의 케이블선들 중 하나가 끊어져 수소주머니를 찢은 뒤, 비에 젖은 계류밧줄이 전기를 옮겨 당시 오랜 비행과 악천후로 전기가 충전된 힌덴부르크에 불을 붙였다고 하였다.

여담으로 마블 코믹스의 창시자 마틴 굿맨이 그의 아내와 신혼 여행을 가려고 이 비행선을 타려고 했지만 티켓이 부족한 탓에 서로 앉을 수 없어서 비행기를 탔다고 한다. 만약 그들이 서로 앉을 수 있는 자리가 있었다면 아마 마블은 세상에 나오지도 않았을 것이다.
  1. 비교를 하자면 편도티켓 사는 가격으로 미국에서 자동차를 살 수 있었고, 왕복티켓 사는 가격으로 미국에서 집을 살 수 있었다!
  2. 사실상 아직까지도 처음 발화의 이유는 정확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3. 이 사고로 개도 2마리 죽었다고.
  4. 당시 미국은 세계최대의 헬륨 생산국이었다.
  5. 사실 당시 수소는 헬륨에 비해 가격도 저렴했으며 독일은 수소로 인한 사고를 한 번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안전에도 신경을 썼다.
  6. 위 영상의 48초 쯤 나온다
  7. 당시에는 동시녹음을 할 수 없었고, 녹음은 SP음반에 짧게 할 수 있었다.
  8. 훔친건 국립보존기록관 담당자에 의해서였다.
  9. 단, 원래 유대인 테러리스트의 계획은 착륙하고 승객이 모두 내린 후에 폭발시켜 사람은 다치지 않고 비행선만 부수려 했는데 비행선이 약간 연착하는 바람에 착륙 직전 폭발하여 인명피해가 나게 된 것으로 묘사된다. 폭탄을 설치한 유대인이 연착에 놀라 폭탄을 다시 해체하려 했지만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