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독립 선언

二八獨立宣言
2222222222222.jpg
1919년 2월 8일에 일본 도쿄에서 일어난 학생운동 주역들의 모습.

1 개요

일본에 유학 중인 한국인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 선언식을 가진 사건이다. 이 사건은 한국의 첫 독립선언서인 무오 독립선언서의 영향을 받았다.

2 전개

재일 유학생들은 1918년 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민족자결주의의 원칙을 우리나라에도 적용하여 줄 것을 요구했다. 당시 와세다대학 철학과에 재학중이던 이광수는 서울에서 현상윤, 최린과 독립운동을 논의했고, 그 해 11월 도쿄로 돌아와 와세다 대학에 유학하고 있던 최팔용과 조선인 유학생들을 규합하여 독립선언을 기획하게 된다. 이광수는 2.8 독립선언서를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로 작성했고, 최팔용은 이광수의 신변을 우려하여 도피할 것을 제안했다. 이광수는 선언문 작성 후 상하이로 도피한다.[1]

2월 8일 당일 오전에는 각국 대사관과 일본 국회의원, 조선총독부, 일본 여러 지역의 신문사에도 독립 선언문을 발송했다. 이날 오후 2시, 재일본 동경 조선 YMCA 강당에는 조선 유학생 학우회 총회가 예정되어 있었다. 회의가 개최되고 나서 최팔용에 의해 "조선 청년 독립단"을 결성하려는 '긴급 동의'가 요청되었다.

2.8 독립선언서 결의문
1. 본단은 일한합병이 오족의 자유의사에 출치 아니하고 오족의 생존발전을 위협하고 동양의 평화를 요란케 하는 원인이 된다는 이유로 독립을 주장함.

2. 본단은 일본의회 및 정부에 조선민족대회를 소집하야 대회의 결의로 오족의 운명을 결할 기회를 여하기를 요구함.
3. 본단은 만국평화회의에 민족자결주의를 오족에게 적용하기를 요구함.
우 목적을 전달하기 위하야 일본에 주재한 각국대사에게 본단의 의사를 각해 정부에 전달하기를 요구하고 동시에 위원 3인을 만국평화회의에 파견함.
우 위원은 기히 파견된 오족의 위원과 일치 행동함.
4. 전제항의 요구가 실패될 시에는 일본에 대하야 영원히 혈전을 선함.
차로써 발생하는 참화는 오족이 기책을 임치 아니함.

이윽고 독립 선언문이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백관수가 독립 선언문을 낭독하자마자, 대회장을 감시하던 일본 경찰이 들이닥쳐 60여명의 유학생을 체포하였고 강제 해산시켰다. 주모자였던 최팔용, 백관수를 비롯한 학생 8명이 기소되었다. 이 이후 2월 12, 28일에도 조선인 유학생들은 도쿄 히비야공원에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거리 행진을 시도했다. 이 기간동안 기소된 학생들을 변호한 사람이 바로 후세 다쓰지다.

3 의의

그후 이 사건은 한국에 전파되었고, 독립선언서는 국내로 밀반입 되어 3.1 운동에 큰 이유중 하나가 되었다.
  1. 참고로 당시 이광수는 와세다대학 앞의 산쿄안(三朝庵)이라는 소바집 2층에서 독립선언서를 작성했는데, 이 소바집이 아직 대를 이어 영업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