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부산광역시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내버스 노선개편
2007년도2008년도2009년도2010년도2011년도2012년도
2013년도2014년도2015년도2016년도2017년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연도는 상당히 논란이 된 노선 개편이 일어난 해이다.

1 개요

본 문서는 2011년에 단행한 노선개편을 다루고 있다. 4호선과 연관된 여러노선들이 판이하게 다른 노선이 되어 기존 이용객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노선개편으로 평가받아 기존 이용객들에게 원성을 제법 샀던 바 있다. 하지만 해당개편은 2012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에 상대적으로 묻혔다고 볼 수 있다(...).

2 개편 내역

2.1 2011년 3월 1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37범어사입구-노포동-월평-정관- 좌동삼거리-좌천삼거리~월내한빛아파트좌천 원자력의학원경유(월내 방향)원자력의학원 대중교통 확충
144반여3동-동래시장-동래경찰서-교대지하철역-송월타올-동래 지하철역-명륜동지하철역~부산대학교대앞 지하철역 미경유굴곡노선 직선화
183기장-만화리영락공원-철마입구-안평 고촌-대진여객-반송-부산대학고촌휴먼시아 경유고촌지역 교통편의 제공
1009금곡주차장- 와석- 구포역- 김해공항- 명지시장- 삼성자동차정문- 부울중소기업청- 부산신항만- 가덕도선창(기존노선)-낙동고등학교- 덕천지하철역- 구포역- 김해공항(국제선)- 명지시장- 명지오션시티- 삼성자동차정문- 부울중소기업청- 경제자유구역청- 부산신항만- 가덕도선창126-1번이 1009번으로 형간전환 및 주거지역 정류소 대폭 확충

※ 형간전환 및 노선번호 조정

옛. 노선 번호조정 노선 번호
126-11009
  • 37번이 좌천원자력의학원 경유한다는것 말고 별반차이가 없고 144번은 504번과 노선통합후 경유했던 교대앞지하철역을 미경유하고 바로 동래역으로 가는것으로 변경되었다. 183번 고촌휴먼시아 경우로 변경되었다. 여기까지는 단순변경인데 126-1번이 1009번으로 전환되었다. 당시 1009번은 버스 애호가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였으나, 2016년 기준으로는 민원이 많이 발생할 정도로 이용률이 꽤 늘어난 듯 하다.

2.2 2011년 4월 1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38(기존노선)-상공회의소-문전시장- 동부변전소-(기존노선)(기존노선)-상공회의소-문전시장-성모병원- 남부경찰서-황령아파트단지-동부변전소-(기존노선)대동골 아파트단지 추가 경유 (전포동→남천동 방향)
43중앙,민주공원-부산역-진시장-서면-동래-안락교차로-강변자동차매매단지-중리-반여1동(종점)(기존노선)-강변자동차매매단지-중리-반여1동(종점)-풍산금속-반여농산물도매시장남문-석대사거리-반여농산물도매시장-풍산금속-반여1동(종점)반여농산물역 개통으로 환승편의제공
73정관예림-철마면-반송-동래역-거제역-연산9동(종점)정관(예림마을)-철마면-반송(종점)4호선개통으로 노선단축
99-1노선신설회동동-안락로타리- 연산교차로-시청회동,명장,안락동 주민 교통혼잡해소
183기장-반송-금사동입구-충렬사-동래역-온천장역-부산대학기장-반송-금사동입구-서동고개-온천장역-부산대학4호선개통으로 4호선 중복구간으로 노선변경
189대진여객-반송본동-동부산대학-반여농산물도매시장-금사입구-연산교차로-사직동-서동고개-금사입구-대진여객대진여객-주공아파트-동부산대학-반여농산물도매시장-서동고개- 사직동-교대앞4호선개통으로 노선변경
189-1대진여객-반송본동-동부산대학-반여농산물도매시장-금사입구-연산교차로-사직동-서동고개-금사입구-대진여객대진여객-주공아파트-동부산대학-반여농산물도매시장-반여·재송동-뜨란채아파트-연산교차로4호선개통으로 노선변경
129반송-동래-서면-진시장노선폐지4호선 노선중복으로 폐선
  • 당시 189-1번은 어이없는 굴곡 변경을 선보이고 129번은 4호선과 중복 된다는이유 폐선을 시켰는데, 왜 99-1번을 신설했는지는 의문이며,1010번 개통을 위한 설계였다카더라 183번 또한 심야노선만 그대로 두고 본선노선은 기장에서 충렬사.동래시장의 최단구간을 잃으면서 기장군민들에게 원성을 샀었다. 그것도 모자라 129번이 폐선된 직후 129번의 예비차포함 인가댓수 21대를 그대로 순감차를 시키면서 부산권 버스 애호가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였었다.

2.3 2011년 6월 10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100-1송정해수욕장입구- 대동상가- 도시철도 해운대역- 해운대경찰서- 동래시장- 동래역- 온천장- 식물원입구- 부산대정문- 장전역송정해수욕장입구- 대동상가- 도시철도 해운대역- 올림픽교차로- 수영4호교- 수영강프루지오- 부산소방본부- 연산터널- 연산교차로- 교대역- 동래역- 온천장- 식물원입구- 부산대정문- 장전역1007번 노선단축으로 인한 고분로 구간 대체.
  • 1007번이 센텀시티역까지 단축된 후 고분로 대체 노선이 필요해진 상황이였는데, 모든 이들의 예상을 뒤엎고 100-1번이 대상 노선이 되었다. 개편 전 100-1번은 북좌동에서 동래시장/동래역까지 최단거리의 노선이였다. 가축수송이 상당하였고 실제수요도 형제노선 100번을 능가할만큼 많았었는데,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된 직 후에는 버스기사님이 일일히 직접 노선변경 방송을 하였고, 그 방송을 들은 북좌동 주민들이 뒤늦게 혼란에 빠졌다. 뿐만 아니라 부산대로 가는 통학수요도 제법 존재했는데, 소요시간이 늘어나면서 부산시에 항의민원까지 있었다. 해당 개편을 단행한 유 모씨는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의 윤 모씨와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기존 이용객들을 배려하지 않고 노선조정을 강행한다는 점이다. 현재는 연산토곡에서 입지가 늘어나 수요가 대폭 느는 등 제대로 자리잡은 상태다.

3 이후

그 후 부산시는 2012년 1월 4일까지 노선개편을 하지 않았다. 2012년 1월 5일 개편을 끝으로 유 모씨는 노선담당주무관 자리에서 물러났다. 2016년 기준으로 봤을때 다행히도 개편된 노선들 중에서는 실패작이 없다. 하지만 멀쩡한 노선을 완전 다른 노선으로 바꾸어놓는 실험정신과 도시철도 4호선 개통으로 인한 시내버스 21대 순 감차때문에 전반적으로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후임 담당관인 정 모씨가 청강리 사태라는 거대한 삽질을 하는 바람에 그대로 잊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