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동남권 대중교통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 글로벌캐쉬 / 센스패스
철도부산 도시철도
버스부산 시내버스부산 마을버스울산 시내/마을버스
창원 시내/마을버스김해 시내버스양산 시내/마을버스
거제 시내버스통영 시내버스함안 농어촌버스
창녕 농어촌버스고성 농어촌버스경주 시내버스
공항김해국제공항울산공항
관련 기업부산교통공사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한국철도공사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일반버스좌석버스급행버스심야버스
부산-김해간 버스
급행버스좌석버스
100473207220221
간선버스
4688-1123
124125127128-1130
시외버스
장유-사상장유-해운대진영-사상김해-사상김해-해운대
450px450px
일반버스 17번의 모습좌석버스 58-1번의 모습
450px
급행버스 1001번의 모습.급행버스 2000번의 모습. 행정상으로는 부산차적에서 유일한 직행좌석버스이나, 결국 급행버스의 범주에 들어간다.

1 개요

부산광역시 교통국 대중교통과에서 관리하며,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김해시, 거제시, 양산시 일대를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총칭. 140개 노선(한정면허 시내노선 포함)이 운행 중이며 인가 대수는 2517대(예비차량 포함)이다.

서울,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꽤 오래 전부터 단독배차제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덕분에 노선만 봐도 어느 업체에서 운행하고 있는지를 단번에 알 수 있다. 다만 1990년에 공동배차제를 시행하려는 움직임은 있었다. 다만 동시기에 실제 시행으로 이어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실현되지는 않았고 사하지역에만 임시로 시행하다가 몇년 못가고 다시 고정배차제로 전환되었다.부산에서 처음 버스를 운행한 회사는 일신여객으로 무려 1946년에 버스영업을 개시하였다. 나무위키 자료 기준으로는 동원여객2번 버스가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이라고 한다.

2 부산광역시의 준공영제

2007년 5월 15일부터 노선개편과 동시에 준공영제를 실시해서 수익금과 노선의 재량권은 전적으로 부산광역시에 있다. 때문에 버스 회사 임의로 결행·노선변경 후 막장화되거나 경영악화로 폐업하는 업체가 생기는 일은 없어지게 되었으나, 서울특별시처럼 차량총량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새로 노선이 생긴다고 해서 순수증차를 할 수가 없고 궁여지책으로 타 노선에서 차량을 빼와야 한다. 때문에 신설노선은 공동배차를 하는 경우가 많고 배차간격도 막장인 경우가 많다. 물론 부산광역시 입장에서는 1대라도 줄여서 버스에 들어가는 교부금을 최대한 줄여야 하지만 승객 입장에서는 그저 병크.

2006년 준공영제 이전에는 2613대였다가 2007, 2012년 노선개편때 75대, 21대 순감차를 거쳐 현재 대수로 이르게 되었다. 대구시의 2006년, 158대 감차에 2015년, 60대 감차에 비하면 정말 착한 감차이다.[1] 서울특별시처럼 유상감차 정책을 밀어붙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감사해야 하고, 그나마 차량총량제 시행 도시 중 버스가 감편된 비율이 가장 적다. 그러나 부산시 예산으로 시내버스 순수증차를 한 적은 없다. 다만 2009년 203번이 한정면허로 전환되면서 기존 5대에서 2대를 증차하였고, 2014년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 즉, 부산시가 맡은 5대의 차량을 증차하였다. 참고로 2000번국토교통부의 중재로 인하여 준공영제를 실시하지 않는다.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타 지역의 사례를 보자면 2015년 광주광역시호남고속선 개통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대중교통 대책으로 광주 버스 좌석02번, 광주 버스 상무22번, 광주 버스 송정33번, 광주 버스 송암68번을 순증차로 신설하였다. 광주 버스 1000도 순증차를 통해 노선이 연장되었는데, 이쪽은 공항리무진 한정면허라 논외. 참고로 광주광역시도 부산광역시와 마찬가지로 차량총량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워낙 광주는 도시철도망이 부실한 탓에 기존 노선이 대체하기에는 한계에 다다르자 결국 순수증차를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는 일부 노선을 타 지자체로 이관하여 남는 차량을 증차 민원이 많았던 노선들을 투입하였고, 인천광역시는 일부 노선에 한해서 한정면허로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급행노선 신설의 경우 차량을 일반버스와 다른 차량(좌석시트를 장착한 차량)을 투입해야 하는데 이때 운행회사가 좌석버스가 없거나 일반버스로 개조된 회사의 경우. 혹은 좌석버스가 있더라도 차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일반버스를 감차해서 증차를 하고 있다.[2][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지속적인 급행노선의 신설이 많았기 때문에 준공영제 직후보다 좌석 차량대수는 꽤 많아져 있고 신차투입이 활발하다.[4] 급행버스 고급화 정책으로 급행버스의 신차에 일반버스나 좌석버스에 주로 쓰는 에어로시티나 BS급 차종보다 한 급 높은(=비싼) 차량을 넣도록 하고 있는데, 이것도 급행버스 신차투입이 활발해진 데에 적잖은 기여를 했다.[5]

또한 203번과 같은 한정면허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이 LED전광판 의무장착 대상인데, 다른 지역과 달리 부산의 LED전광판에는 4개 국어 표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FX나 유니버스의 경우, LED전광판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앞유리 상단에 매달아 놓는 식으로 설치하는데, 이때 운전석 선바이저를 제거해야 해서 기사들의 불만이 많았다. 이에 LED전광판에 선바이저를 다시 장착하는 방법으로 개선되었으나, 이것도 안하는 회사는 안 한다.

LED전광판이 장착된 지금은 해당되지 않지만 과거 부산시내버스만의 특수한 옵션으로 전면부 행선판 공간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전면부 행선판 수납공간에는 양 옆에 검은색 시트지가 붙어있고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 사용하였으나 2000년부터 부착형 행선안내지를 사용한 부산에서만은 시트지를 제거하고 그 부분에도 조명을 넣어 상대적으로 행선안내지를 넓게 사용할 수 있었다.

3 부산 버스의 특성

측면에 사명스티킹을 하지 않고 전후면에만 사명스티킹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부산이나 대구를 제외한 광역시와 대부분의 시, 군에서는 시내버스 측면에 사명스티킹을 한다. 하지만 부산은 수십년째 붙이지 않고 있다. 관계법령상 앞이든 뒤든 옆이든 붙이기만 하면 되는 것이라서 말이다. 바로 옆 김해시도 마찬가지로 측면사명을 붙이지 않기에 전유물은 아니다. 단. 김해는 2000년대 초반까지 측면에 사명스티킹을 했다.

34개의 업체중 4개 업체(삼신교통, 태영버스, 대도운수, 삼화피티에스)를 제외한 모든 업체의 상호가 '여객'으로 끝난다.

부산의 지형적 특성상, 산지를 오르락 내리락 하는 노선이 엄청나게 많다. 부산 시내버스 기사들의 산복도로 드리프트 능력은 (뻥 좀 섞어서) 강원도 기사 저리가라 할 정도. 하지만 눈이 오면 망했어요 근데 애초에 부산은 눈이 거의 오지 않는다.[6]

그러나 난폭운전 및 불친절의 빈도가 다른 광역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인데, 이는 운행시간이 빡빡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로 부산 버스 기사들은 아이돌처럼 빡빡한 일정을 가지고 근무를 하신다. 외지 방문객들이나 외국인들이 타고 깜짝 놀라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특히 승객이 카드를 찍기 전에 급하게 출발하는 기사들과 승객들에게 신경질적으로 대하는 기사들, 빨리 달리는 기사들이 제법 있다.[7] 하지만 대한민국 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관광객들도 많이 오는 도시라 친절한 기사들도 많다.

매우 빠르게 달리는 기사의 경우 버스가 일반차를 추월하며 달리고, 산지를 주로 달리며 차도도 영 좋지 않아서 험준한 지형을 잘 달리는 특성이 있어 그 울퉁불퉁한 지형도 60km/h를 밟을 정도. 선형이 매우 불량한 부산 1호선이라던가 빙둘러가는 부산 2호선, 강서구청역~구포역 간에 제한속도가 걸려있어 느린 부산 3호선, 부산 도시철도중에 가장 속도가 느린 부산 4호선과 경쟁력이 꽤나 크다.

동부산공영차고지 입주 노선들과 2015년 이후 노선 개편이 시행됨으로 조정된 노선들에 대해서는 운행시간을 여유있게 설정해서 난폭운전 현상이 줄고 있다. 다만 일부노선의 경우는 상당한 저속운전으로 되레 불편할 정도.

참고로 전국 시내버스 중 몇 안되게 버스 회사별로 일반버스좌석버스면허를 구분해놓는 지역이다. 일반버스는 부산 70 자 XXXX, 좌석버스는 부산 71 자 XXXX이며 같은 회사라도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면허체계가 전혀 다르다.[8][9]

수도권에 비하여 막차가 일찍 끝나긴 하지만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막차가 늦게 끊기는 편이다.하긴 동네 생각하면 뭐 회차지에서 23시 5분에서 23시 25분 정도에 막차가 출발한다.

참고로 부산에서 일반버스의 냉방화가 가장 먼저 이루어진 회사는 부산여객으로 무려 1999년에 100%냉방화를 달성하게 된다.[10] 일반버스에 에어컨이 1995년 중순에야 달리기 시작한 걸 보면 굉장한 일[11], 반대로 마지막까지 무냉방 차량을 운행한 회사는 금진여객으로 2004년까지 운행했다. 대체로 부산은 타 광역시들에 비해 시내버스 전차량 냉방화가 비교적 일찍 이루어졌다.

4 관련 시설 운용 현황

안내방송은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직접 녹음한 안내방송으로 사용하였으나, 이비카드의 단말기로 교체함에 따라 기계식으로 변경하였다. 형식은 "이번 정류장은, ㅇㅇ입니다. 다음은, ㅇㅇ입니다."이다. 그러나, 영어 안내방송은 너무도 조악하다. 예컨대 지게골GK GOAL로 들리는 등... 또한, 버스내부의 LED 안내판에 이번 정류장과 다음 정류장 정보가 나타난다.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에서는 시간이 나오지만 간혹 정류장 정보를 아직 지원하지 않는 LED안내판에서는 광고 혹은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합시다.'[12] 이제는 다양하게 정보가 나온다. 예전에는 시범운영중이라고 나왔지만 개선되어 한글정류장과 영어정류장[13]이 나온다. 광고로는 대중교통환승시 환승요금은 무료지만 교통수단 간 차액은 지불하셔야 됩니다. 글씨가 이제는 크게 나온다. 예전에는 작게 나왔다.

2016년 1월 중순부터 155번을 시작으로 삼원FA에서 제작한 LCD 단말기로 바뀌었다. 2월 말까지 일반버스 전부를 모두 바꾼 다음 급행버스 노선까지 순차적으로 교체할 예정이며, 203번과 2000번은 추후에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목소리도 약간 바뀌었고, 추가로 잔액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다음 승차 시 충전이 필요합니다'라고 알려준다. 이 음성안내가 '감사합니다'라는 음성안내 다음에 나오기 때문에 상당히 길어져, 다음 사람이 카드를 찍으면 바로 닥친다(...). 다음 승차시 환승입니다. 교통카드를 찍을 때 단말기 위쪽에 불은 잔액부족, 카드재접촉, 사용불가카드 등등 오류에 해당하는 사항에만 빨간불이 들어온다.[14][15]

2014년 5월 경 서울처럼 앞문에 돌출형 번호판을 달기 시작했다. 그러나 플라스틱 골판지라 재질이 약해 떨어질 것들은 금방 떨어지는 듯... 파손된 제품에 대해서 서울처럼 단단한 재질로 교체하고 있다.

정류장의 경우 1970년대부터 2007년 준공영제 전까지 한가지 디자인만 사용했는데 그래서 2000년대 초반 기준으로는 많이 촌스러웠다.(...) 당시 디자인은 일반버스 전용은 노란색/ 녹색 조합에 버스 BUS 라고 적혀있었고 좌석버스 전용은 노란색/ 남색 조합에 좌석 BUS, 그리고 겸용은 노란색/ 녹색 조합에 일반ᆞ좌석겸용 이라고 기제되어 있었다. 물론 겸용의 비중이 압도적이었으며, 좌석버스 전용은 노선이 많아 분리시킨 지역이나 좌석버스 단독운행 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 그리고 당시 정류장의 노선번호를 일반버스는 숫자, 좌석버스는 동그라미 배경을 백색으로 칠하는 것으로 구분했다.

그러나 준공영제 실시 이후 2가지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곳은 중간경유지까지 표시한 플라스틱 팻말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동인구가 적은 곳이나 도로가 좁은 곳은 구형 팻말에 스티커만 덧붙여 사용하고 있다. 좌석버스 전용 정류장은 지금도 존재하나, 전부 좌석버스 단독운행 구간으로 1000번이 서는 동대신시장을 제외하면 모두 강서구[16], 기장군[17] 등 외곽지역, 금정산성 진입로와[18], 거제도[19] 등 부산 밖에 있다. 같은 구간에 일반버스가 통행하면서 좌석버스 전용 정류장이 있는 곳은 하단역이 유일하다.[20]

현재는 일반버스 전용 정류장은 윗부분 버스 그림 배경 부분이 파란색, 공용과 좌석 전용은 빨간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5 번호 부여 방식

현재 모든 광역시에서 실시하고 있는 간선, 지선제를 부산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물론 지선버스 수준의 짧은 시내버스 노선이 없는 것은 아니다. 타 지역의 경우 일반버스를 간선버스와 지선버스로 구분했다면 부산의 경우 기존 그대로 일반버스라는 하나의 틀 안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이어가는 것이다. 그래봐야 간지선제의 구분을 퇴색시킨 대전, 광주보다는 낫다.

타 광역시에서 시행하는 권역별로 번호를 정해서 노선번호를 지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70년대부터 사용해오던 번호 체계를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21] 70년대 당시에는 나름대로 규칙을 정해서 번호를 지정한 적이 있었다. 지금도 20번대 노선은 남구 용호동/감만동 출발 노선이라던가[22] 30번대 노선은 대부분이 해운대/기장 출발노선이라던가[23] 12x번대 노선은 북구.김해 출발노선[24], 18x번대 노선은 대부분 기장지역출발 노선이라던가 하는 식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다. 또 대체적으로 회사별로 가까운 노선번호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25] 본격 돌려막기 같은 두 자리수 내에서 번호를 배정하는 방식 이외에도 앞에 1을 붙여서 같은 회사에 XX번과 1XX번이 있다던가 하는 방식[26]

준공영제 시행 이후 번호부여방식을 보면, 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번호 중에서 부여하거나[27], 연속숫자 번호를 쓰거나[28] -1번을 붙인다.[29], 168번의 신설로 동일업체노선 번호와 연관있게 사용한 케이스도 생겼다.

이하 과거에 부여되었던 번호이다.

  • 좌석버스 : 300번대[32][33]
  • 지선.순환버스 : 500번대
  • 특급좌석버스 : 2000번대

6 종류

6.1 일반버스

해당 문서 참조

6.2 좌석버스

6.2.1 개요 및 역사

이전 버전에서는 좌석버스와 급행버스가 나누어져 서술되었으나, 여기서는 통합 서술한다. 요금체계나 시스템 면에서는 3개의 노선 빼고는 큰 차이가 없고, 급행버스도 일종의 좌석버스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일반버스와는 달리 좌석을 더 많이 설치하여 격조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내버스의 종류. 급행버스의 경우 고급좌석차량을 사용하기에 일반버스보다 한 체급 높다. 따라서 일반버스와 다른 별도의 카테고리로 분류해서 좀더 비싼 요금을 받아왔는데, 성인 기준으로 현금 1,800원, 교통카드 1,700원을 받는다 (타 도시와 비교해서 좀 비싼 편). 1000번대/2000번의 급행버스나 58-1번, 203번, 221번을 주축으로 한 일반좌석버스나 같은 요금을 징수한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인데, 전국에서 최초로 좌석버스를 운행한 지역은 다름아닌 부산이다. 무려 1978년에 운행을 시작했다.[34] 당시 이름은 시내직행버스 도색은 흔히 기억하는 부산/경남 좌석버스 구도색을 이때부터 적용했다. 당시 차량은 최초 도입분은 전차량 새한 BF101이었으며 이후 2차 도입분에서 현대 HD170과 새한 BF101을 혼용해서 들어온다. 이후 FB485가 출시되어 현대 FB485와 대우 BF101을 혼용해서 도입하기 시작할 시기부터 현대차의 비중이 매우 높아진다.

초창기에는 300번대 직행좌석버스[35]로 시작하였으며, 나머지는 공항버스인 201번과 부두버스인 205번 정도가 있었다.[36] 초창기 300번대 시절 좌석버스 노선으로는 301번(2006년 초 일반버스로 전환), 302번(2007년 개편때 239번 좌석버스와 합쳐져 급행버스 1003번으로 격상, 2014년 7월 26일에 신설된 노선과는 무관), 303번(1985년 중순 폐선)[37], 304번(1984년 폐선)[38] 305번(2006년 중순 폐선), 306번(2006년 중순때 일반버스로 전환했다가 2007년 개편때 폐선), 307번(우진공항버스, 부산공항여객을 거쳐 일광여객으로 노선이 넘어간 이후 2012년 일반버스로 전환), 308번(1985년 폐선)[39] 309번(2007년 개편때 128번 좌석버스와 합쳐져 급행버스 1004번으로 격상), 310번(2004년 하반기에 폐선), 378번(78번 좌석버스로 시작하여 1998년 하반기 때 일반버스로 형간전환한 후 2003년에 공식폐선) 등이 있다.

이후 1990년대에 일반/좌석겸용 노선이 생기면서 수많은 좌석노선들이 생겨났으며, 300번대 좌석전용노선도 정류소 수를 늘려 일반좌석화되었다. 그러다 수요감소로 인해 나중에는 대부분 폐선되거나 일반버스로 격하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338번이 생긴데다 301번, 307번이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300번대 - 좌석버스 공식은 사실상 퇴색되었다. 2007년이 되어 몇몇 노선은 급행버스로 격상.

현재 부산 시내버스 업체 중 남부여객과 신성여객을 제외한 모든 회사가 좌석버스를 운행한 적이 있다. 물론 이들 중 대부분은 90년대 일반/좌석겸용 노선이 생길 때 운행한 회사들.

일반좌석버스와 급행버스의 차이점은 앞으로 서술할 내용 참조. 여기까지는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라 통합 기술하였다.

6.2.2 좌석버스

해당 문서 참조

6.2.3 급행버스

해당 문서 참조

6.3 심야버스

해당 문서 참조

6.4 폐지된 종류

6.4.1 (구)공항버스

말 그대로 공항으로 가는 좌석버스. 공항리무진과는 조금 다르다. 현재는 없는 시스템.

김해국제공항에서 초읍으로 가는 201번이 그 시초였으며, 이외에도 사직동 ↔ 김해공항을 잇는 157-1번, 김해공항 ↔ 동아대를 잇는 300번, 김해공항 ↔ 해운대를 잇는 307번, 김해공항 ↔ 남포동을 잇는 310번이 있었다.

한때는 부산공항여객[40]이 독점 운행하고 있었지만 망했어요가 된 이후로는 타 업체에서 좌석버스로 굴렸다. 차량 전두부에 업체명 대신 ‘공항’, ‘Airport’를 적고 다니는 것만 빼면 다른 좌석버스와 다를 바 없었다.

그러나 300번은 부산 버스 강서13번 마을버스에 통합, 307번은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었으며, 201번[41] 등 나머지 노선들은 회사 사정과 경전철 개통 등의 이유로 모두 폐선되었다.

따라서 공항버스는 자취를 감추었다.

6.4.2 (구)특급좌석버스

1996년부터 2000년 초반에 급행버스와 비슷한 개념으로 특급좌석이 운행하기도 했다. 노선은 2001, 2002, 2003 세 개가 있었다.

파일:Attachment/부산광역시 시내버스/2001.jpg
파일:/20090705 202/hanue300 12467961046671VUVh jpg/dnrtm 2 hanue300.jpg

  • 2001번(부산여객) : 해운대(송정) ~ 신시가지 ~ 해운대해수욕장 ~ 수영R ~ 경성대 ~ 부산진역 ~ 부산역 ~ 충무동.. 2호선2002년 8월 29일에 완전개통된 후 얼마 안 가서 폐선되었으니 2002년 말~2003년 초 쯤에 폐선된 듯.(현재의 1003번과 유사.)

  • 2002번 - 세 차례의 노선변경을 거쳤다.
    • 1기(부일여객) : 해운대(좌동) ~ 신시가지 ~ 해운대역 ~ 수영R ~ 경성대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 괴정 ~ 사하구청 ~ 하단R ~ 동아대(현재의 1001번과 유사)
    • 2기(부일여객) : 해운대(좌동) ~ 신시가지 ~ 해운대역 ~ 안락R ~ 동래시장 ~ 동래역 ~ 제2만덕터널 ~ 덕천R ~ 김해공항(307번과 비슷한 노선, 다만 구포에서 강서구청을 경유하지 않고 바로 공항으로 들어갔다.)
    • 3기(부일여객, 해동여객, 삼신교통) : 해운대(좌동) ~ 폭포사 ~ 해운대역 ~ 안락R ~ 롯데백화점동래점 ~ 온천장 ~ 부산대 ~ 금정구청 ~ 범어사지하철역 ~ 노포동터미널(현재의 1002번과 유사)

특급좌석 노선들 중 가장 늦게 폐선되었다. 폐선되기 직전에는 삼신교통에서만 1대를 굴리기도 했다.

  • 2003번(부산여객) : 해운대(송정) ~ 신시가지북편 ~ 해운대역 ~ 수영R ~ 경성대 ~ 부산진역 ~ 부산역 ~ 충무동

302-1번 좌석버스를 특급좌석으로 형간전환한 노선이다. 나름 장사가 잘 되는 편이었으나 지하철2호선이 완전개통되면서 망했어요... 결국 2003년 말 ~ 2004년쯤에 폐선되었다. 1001번이 이 노선의 대부분을 계승하고 있다.
2002번 버스는 노포동터미널벡스코를 이어주는 노선으로 부산코믹월드나 벡스코에 열리는 행사에 참가하려는 사람들을 주로 태웠다.

특급좌석답게 정류소 간격이 일반좌석에 비해 상당히 넓었다. 구.2003번으로 예를 들면 경성대학교의 다음 정류장이 부산진역이었다. 현재는 1011번2000번이 이와 비슷하게 운행하고 있다.[42][43]

초창기에는 과연 특급좌석답게 내부 노선도에는 영어 표기도 되어 있었으며 안내방송도 영어가 같이 나왔다. 그리고 차량 옵션은 리클라이닝 시트의 기본 장착에 내부에는 무선전화기와 TV까지 달려 있을 정도로 그야말로 호화스러운 사양으로 무장해 좌석버스보다 100원이 더 비쌌음에도 이용객이 꽤 많았다. 그러나 지하철이나 중복노선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일반좌석버스도 이용객이 줄어가는 마당에 더 비싼 특급좌석이 잘 될 리가 없었다. 결국 2004년을 기해서 전부 폐선되었다.

세 노선이 전부 해운대 출발인데 이는 특급좌석의 신설 자체가 당시 막 조성되던 해운대신시가지의 교통 편의를 위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때문에 다른 동네끼리의 연결이라던지 김해, 장유, 양산 등 시외곽 지역 연결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사항이라 아쉬웠던 부분. 만약 지금 경상도 시외버스 업체들의 행태를 볼 때 특급좌석이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김해, 장유, 양산 등의 지역까지 들어갔다면 시외버스 업체와의 다툼이 일찍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차량은 BH113이 가장 많았으며 일부 BH115E나 BH116이 투입되기도 했다. 이후 BH115E는 전부 타 지역으로 팔려갔으며 BH113과 BH116 차량은 일반좌석버스 도색으로 재도색해서 좌석버스 노선에 투입되어 내구연한이 만료될 때까지 다녔다.

이 세 노선이 폐선되면서 부산에는 10여년 간 2000번대 버스가 없었으나 다시 부활.

7 노선

8 요금 및 교통카드

교통카드로는 하나로카드디지털부산카드를 정식으로 지원하며, 호환 사용단계에 있는 타 지역 [[마이비|]]와 티머니, 캐시비 카드도 쓸 수 있다. 김해포유카드를 포함한 타 지역 마이비카드티머니, 캐시비, 후불교통카드도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1월 10일부터는 티머니티모아(현 캐시비), 후불교통카드로는 농협, 롯데, 신한, 비씨, 삼성, 씨티, 하나(외환 포함), 현대, KB국민카드도 사용이 가능해졌다.[44] 다만 누구 때문에 도입을 엄청나게 늦게 해서 타 지역민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지만. 티머니의 충전은 부산 시내 10곳의 충전소와 부산 도시철도 역내 충전기(2014년 11월 29일 개시), GS25, CU, 미니스톱, 신한은행, 제주은행, 우체국[45], 하나은행[46], 우리은행[47], 국민은행, 농협, 신협[48] 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2014년 4월 28일부터 센스패스 및 탑티머니 사용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는 거제로 가는 2000번 한정이며, 다른 일반ㆍ급행노선은 아직까지 센스패스의 사용이 되지 않으므로 이용시 주의할 것.

그 외 2014년부터 광주광역시 교통카드인 한페이카드와 코레일레일플러스도 이용이 가능하다.

구분성인청소년초등학생비고
현금카드현금카드현금카드
일반1,3001,200900800400350
좌석1,8001,7001,7001,3501,3001,200203번 제외
급행1,8001,7001,7001,3501,3001,200
203번1,9001,8201,8001,4301,4001,260
심야일반1,7001,6001,1001,000600550
심야급행2,2002,1001,9001,5501,5001,400
시계외 요금2,7002,5002,3002,2002,2002,0002000
마을버스1,1001,010800680300260자치구 공통(일부노선 제외)
1,000900700560300260사하1-1, 서구2, 2-2
1,000900800680300260금정7
1,100940800680300260사하1
1,1001,050800680300260금정1
1,3001,130800680300260금정2-3
1,3001,130900730300260기장군
1,3001,160900760300260강서구

환승시 발생되는 추가요금 표. 동남권 통합 요금이 적용된다.

  • 도시철도 구간 요금은 이 표와 별개로 추가 부담해야 한다. 즉, 무료환승이 아니다.
  • 2000번 버스는 다른 버스 및 도시철도와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 2015년 7월 1일 부로 일반환승요금이 폐지되어 가장 높은 교통수단의 요금만 지불한다. 단 광역환승은 가장높은 교통수단의 요금에서 광역환승요금을 별도로 지불한다.
선승후승성인청소년초등학생
일반버스일반버스000
좌석버스500550850
마을버스000
도시철도0150250
좌석버스일반버스000
좌석버스000
마을버스000
도시철도000
부산↔김해/양산 간 광역환승김해550/500260100

성인이 6세 미만 아동을 동반하여 탑승하는 경우, 일반적인 시내버스는 2명까지 무임승차가 가능하다. 그러나 2000번은 시외버스 회사와의 마찰을 막기 위해 1명까지만 무임이다.

9 도색

1969년부터[49] 2000년까지 상아색 바탕에 초록색 가로줄무늬가 있는 도색을 오랫동안 사용했지만, 2000년부터 흰색과 짙은 하늘색으로 이루어진 신도색을 적용하고 있다.[50] 구도색 차량은 2010년 1월경 오성여객 62번에서 운행했던 1대를 마지막으로 멸종되었다. 현재 양산시 마을버스의 서창. 덕계지역 노선에서 구도색을 쓰고 있으며, 울산을 포함한 경남지역[51]에서는 똑같은 패턴에 줄무늬 부분이 하늘색 혹은 파란색인 도색을 공용도색으로 사용했으나, 부산보다 일찍 전멸했다. 참고로 이 도색의 경우는 거의 40년이 넘는[52][53] 전례없는 장수도색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나마 따라갈 수 있는 도색이 전남 좌석버스와 경북 구도색으로 각각 2014년 현재 31년차와 27년차이다. 하지만 전남 좌석도색은 목포에만 남았고, 경북 구도색은 일부 지역[54]을 제외하면 점차 사라져가는 추세니... 아마 서창, 덕계 마을버스 차량이 다 대차되지 않는 이상 오랫동안 깨지지 않을 듯... 다만 고속버스로 눈을 돌리면 비슷한 시기부터 적용했고 지금도 적용 중인 동부익스프레스의 고유도색이 기록을 깰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타 광역시는 무냉방 차량을 신도색으로 재도색하는 일이 많았다.[55] 하지만 부산의 경우는 구 태화교통의 3~4대가량의 차량을 제외하고는 무냉방차량에 신도색을 입힌 경우는 없다.

좌석버스의 경우 1978년 시내직행버스 시절부터 2000년대까지는 상아색 바탕에 주황색과 녹색 가로줄무늬가 있는 도색을 사용했으며, 패널바디 차량의 경우는 아랫부분에 녹색을 입혔다.[56] 2000년대 이후 흰색과 빨간색으로 이루어진 도색을 사용하며,[57] 구도색 차량은 2009년경 일광여객 203번에 투입된 차량 1대를 마지막으로 멸종되었다. 참고로 구도색은 경남지역에서도 좌석버스 공용도색으로 했었으나, 이쪽도 부산보다 일찍 전멸했다.


현재 신도색은 단순하지만 그래도 GRYB로 가는 것 보단 훨씬 나으며, 부산의 이미지를 잘 살렸다는 등의 굉장히 좋은 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때 그 신도색을 다시 바꾸려고 했다는 카더라 통신도 있었다. 좌석버스 도색의 경우 김해시거제시에서도 사용한다. 하단-장유부산-거제 간에 시내버스를 운행하기 위해 도색통일을 합의했기 때문.

처음 저상버스가 투입되었을 때 당시 서울지역에서 단색도색의 저상밖에 볼 수 없던 버스 동호인들은[58] 부산도색으로 처음 저상버스가 출고장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굉장히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담으로, 블라디보스토크, 캄보디아, 베트남, 몽골 등 해외에 수출되는 중고 버스의 기본 도색이 부산광역시 입석 시내버스 도색이다. 지랄염병 버스의 도색은 너무 단색이라 밋밋한 감이 있어 적당히 눈에 잘 띄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부산 도색이 가장 인기가 좋다고 한다. 출신성분에 상관없이, 해외 수출길에 오르는 버스는 죄다 부산 입석 도색으로 바꾸고 우리나라를 떠난다.

행선지 표시는 203번을 제외하고 이마에 LED 패널이 있으며 측면, 후면 스티커는 신도색 제정과 동시에 나왔으며, 한자, 영어가 병기되어 있고 깔끔하여 미적으로 우수한 대접을 받는다. 2004년 개편 전의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도 후면에 한해 벤치마킹했을 정도. 다만 2007년 개편전까지 차내 아크릴은 대다수가 붓글씨 행선판이었다. 70년대는 스텐실 방식, 80~90년대는 붓글씨 방식 행선판을 사용하여 꽤 고풍스러운 멋을 보였고 세익여객 1005번 앞쪽에는 '급행' 표기를 붓글씨로 적기도 하여 위화감을 줬다.

그리고 2015년 8월 27일 부산디자인센터는 2016년 하반기부터 신차량을 우선적으로 16년만에 새로운 시내버스 디자인을 적용하기로 밝혔다. # 외부 디자인은 부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디자인으로, 특히나 유명 관광지를 지나는 버스는 랜드마크의 특징을 딴 디자인을 시내버스에 입히고, 색깔만 보더라도 어느 노선인지 알 수 있는 시내버스 디자인을 만든다고 밝혔다. 내부에 덕지덕지 붙어있는 광고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에 배치 하고 노선도 디자인 역시 바꾼다고... [59] 6월 10일까지 시민아이디어 공모를 받았다.

9월 22일 부산디자인센터에서 부산시내버스 외부디자인을 3가지로 확정짓고, 시민들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체크는 네이버 폼에서 할 수 있었으며 설문조사가 종료되었다. 원주시 사례처럼 떡칠도색이 되지 않기를 빌자

10 업체

10.1 부산버스조합 회원사

※ 공동배차 노선은 번호 뒤에 †표시를 붙였다.

상호명시내버스 대표면허[60]주 사무소 소재지운영노선
국제여객10xx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거제동 1383-2)10, 111†, 210
금진여객13xx김해시 가락로 252-27 (구산동 361-1)124, 126†, 128-1, 555†, 1009†
남부여객12xx영도구 와치로 113 (청학동 84-103)6, 7, 9, 70, 71, 333†, 508
대도운수15xx사상구 학감대로 167 (학장동 271-12)77, 110, 110-1, 148-1
대진여객18xx철마면 반송로 979 (고촌리 529-1)115-1†, 129-1, 187, 189, 189-1
동남여객16xx[61], 35xx[62]남구 신선로 335 (용당동 346)[63]67, 138, 138-1, 167†, 338†, 2000†
동원여객22xx, 14xx[64]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거제동 1383-2)2, 81, 103, 338†, 1000, 2000†
동진여객23xx사하구 다대로 722 (다대동 1548-9)11, 96, 96-1, 338†, 2000†
부산여객59xx[65]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16)39, 139, 180, 182†, 1003
부일여객57xx, 58xx[66]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16)38, 40, 182†, 185, 1001, 1011†
삼성여객20xx, 21xx[67]연제구 좌수영로 300 (연산동 462-16)5-1, 43, 54, 86, 87, 115, 506
삼신교통25xx, 28xx[68], 6251[69]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227)37, 49, 50, 80†, 90, 148, 301, 302, 1002, 1008
삼진여객26xx, 48xx[70]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53-5)15, 59, 111†, 121, 126†, 555†, 1009†
삼화피티에스27xx, 29xx[71]금정구 동현로 121 (서동 510-30)42, 99, 155, 179
성원여객51xx[72]김해시 생림대로 90번길 9 (삼계동 733)123, 126†, 127, 1009†
세익여객30xx, 50xx[73], 56xx[74]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23-1)31†, 183, 200
세진여객31xx, 32xx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227)29, 73, 80†, 107, 184, 188†, 190†, 1010†
시민여객33xx남구 백운포로 40 (용호동 895)20, 22, 24, 27
신성여객34xx남구 우암로 58-1 (감만동 160-9)23, 26
신한여객36xx, 37xx영도구 태종로 819 (동삼동 986-15)8, 30, 66, 88, 101, 113, 186, 190†, 333†
영신여객38xx, 39xx사하구 을숙도대로 697 (신평동 568-21)16, 17, 61, 161
오성여객40xx수영구 민락본동로31번길 33 (민락동 26-5)62, 108
용화여객41xx수영구 민락본동로19번길 51 (민락동 34-5)41, 83, 83-1†, 583†
유한여객43xx영도구 청학서로 37 (청학동 386-212)82, 85, 88-1, 190†, 333†
일광여객44xx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23-1)31†, 36, 63, 203, 307
일신여객45xx해운대구 재반로 258-1 (반여동 1602-8)44, 52, 115-1†, 144
창성여객19xx[75], 46xx남구 신선로 335 (용당동 346)68, 134, 167†, 168, 583†
태영버스48xx[76], 55xx[77]김해시 가락로 256 (구산동 295-1)55, 58, 58-1, 58-2, 125, 221, 520, 1004, 1005, 2000†
태진여객47xx, 17xx[78]북구 시랑로185번길 66 (구포동 857-1)46, 160, 169, 169-1, 555†
학성여객49xx동래구 미남로 58 (사직동 151-1)57, 83-1†
한창여객52xx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거제동 1383-2)33, 133
해동여객53xx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23-1)100, 100-1, 141, 181, 1011†
화신여객54xx[79]금정구 중앙대로 2310 (노포동 227)51, 131

10.2 폐업 또는 사명변경이 된 업체

부산은 타 지역에 비해 유난히 버스 회사의 인수 합병 사례가 많은 편이다.

또한 그 역사(?)도 오래된 편이라 타 지역의 경우 대부분 IMF 이후의 2000년대 들어서 사례가 나왔으나 부산은 1980년대부터 그 사례를 찾을 수 있다.

괄호 안은 폐업년도 및 사명변경년도이다.

10.2.1 폐업이 된 업체

  • 감천여객(1994) - 유성여객(현 유한여객)이 인수
  • 경동여객(1990) - 부일여객이 인수.
  • 평화여객(1995) ▷ 우진공항버스(2004) - 해체 후 부산공항여객 설립
  • 광진여객(1985) - 안전여객(현 동진여객)이 인수.
  • 국일여객(1993) - 삼진여객이 인수
  • 금정여객(1985) - 금강여객이 인수
  • 금강여객(1998) - 세진여객이 인수
  • 금동여객(1984) - 삼화여객이 인수
  • 대경교통(2005) - 동원여객과 한창여객이 분할 인수
  • 대도교통(1987) - 대도운수가 인수
  • 대도여객(1992) - 대도운수가 인수
  • 대명여객(2002) - 동남여객 계열사에 편입된 이후 시내노선을 모두 동남여객에 넘기고 현재는 마을버스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동남여객의 개금영업소는 본래 대명여객 출신이다.
  • 대성여객(1987)[80]
  • 진성여객(1984) ▷ 동성버스(1990) - 동성여객이 인수
  • 세륭여객(1987) ▷ 대일여객(2004) - 태진여객이 인수
  • 동부여객(1997) - 시내사업부를 한일여객이 인수
  • 대창여객(1983) ▷ 밀성여객(1988) ▷ 영신상운(1992) ▷ 동우여객(1993) - 동원여객이 인수
  • 흥성버스(1985) ▷ 현대운수(1986) ▷ 태흥버스(1987) ▷ 동원버스(1993) - 동원여객이 인수
  • 부산공항여객(2008) - 대도운수와 일광여객, 부일여객이 분할 인수
  • 삼성여객(1988) - 동성여객(현 삼성여객)이 인수
  • 세신여객(1999) - 삼화여객이 인수
  • 신진여객(1984) - 세진여객이 인수
  • 동화여객(1981) ▷ 대한여객(1985) ▷ 신평여객(2000) - 대명여객이 인수. 현재 동남여객 장림영업소는 본래 신평여객 소속이었다.
  • 아진여객(1985) - 대진여객이 인수.
  • 영신운수(1993) - 영신여객이 인수
  • 월성여객(1982) - 세진여객이 인수
  • 제일여객(1988)
  • 창신여객(1995) - 삼신교통이 인수
  • 칠성여객(1984)
  • 태종여객(1989) - 신한여객이 인수. 본래 금강여객 영도영업소가 그 시작이다.
  • 태영버스(삼진여객 계열)(2004) ▷ 성보버스(2005) - 삼진여객이 인수
  • 화진여객(2004) - 태영버스(가야IBS계열)가 인수
  • 한일여객(2003) - 세익여객이 인수. 청강리공영차고지 건설 이전의 세익여객 기장군 소속 노선은 전부 한일여객 출신이며 더 나아가서는 동부여객 시내사업부 출신이다.

10.2.2 사명변경이 된 업체

  • 부일여객 - 1990년 우진서비스로 변경했다가 2000년 부일여객으로 환원
  • 광성여객 - 1986년 태흥여객으로 변경했다가 1987년 동원여객으로 변경
  • 대원여객 - 1986년 삼진여객으로 변경 크드가 아니다
  • 금성교통 - 1982년 한창여객으로 변경
  • 동래여객 - 1982년 대도운수로 변경
  • 신아여객 - 1981년 안전여객으로 변경했다가[81] 1985년 동진여객으로 변경
  • 우진여객 - 1983년 영진여객으로 변경했다가 1985년 한진여객으로 변경, 이후 2007년 다시 성원여객으로 변경
  • 동성여객 - 2004년 삼성여객으로 변경
  • 대진여객 - 1985년 대진버스로 변경되었다가[82] 2006년 대진여객으로 환원
  • 삼화운수 - 1985년 영신여객으로 변경
  • 삼화여객 - 2014년 삼화PTS로 변경
  • 유성여객 - 1996년 신한여객의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유한여객으로 변경
  • 태화여객 - 1986년 태화교통으로 변경했다가 2002년 태영버스로 변경[83]
  • 한진여객 - 2007년 성원여객으로 변경
  • 현대여객 - 1984년 태진여객으로 변경

11 관련 문서

기타 울산광역시창원시, 김해시, 거제시, 양산시에서 부산광역시로 진입하는 노선들은 해당 문서들을 참조.

12 부산 버스 사진


부산 시내버스 구도색 차량 (73번; 현재 반송까지 단축, 운영업체 세진여객으로 변경)


부산 시내버스 구도색 차량 (121번)


부산 시내버스 구도색 좌석 (128번; 현재 폐선.)


부산 마을버스 초기도색 차량(586번; 현재 폐선 및 상기차량 대차됨.[84])

800px-%EB%B6%80%EC%82%B0%EC%8B%9C%EB%82%B4%EB%B2%84%EC%8A%A4_5%EB%B2%88.jpg
5번.(현재 폐선 및 상기차량 대차됨)

800px-Busan_City_Bus_25.jpg
25번.(현재 폐선)

800px-%EB%B6%80%EC%82%B0%EC%8B%9C%EB%82%B4%EB%B2%84%EC%8A%A4_50-2%EB%B2%88.JPG
50-2번.(현재 폐선, 상기차량 대차됨)

%EB%B6%80%EC%82%B0%EC%8B%9C%EB%82%B4%EB%B2%84%EC%8A%A4_69-1%EB%B2%88.JPG
69-1번.(현재 폐선, 상기차량 대차됨)

파일:Attachment/부산광역시 시내버스/128.jpg
128번.(현재 폐선, 상기차량 대차됨)

800px-%EB%B6%80%EC%82%B0%EC%8B%9C%EB%82%B4%EB%B2%84%EC%8A%A4_129%EB%B2%88.jpg
129번.(현재 폐선)

450px-%EB%B6%80%EC%82%B0%EC%8B%9C%EB%82%B4%EB%B2%84%EC%8A%A4_129-2%EB%B2%88.jpg
129-2번.(현재 폐선)

600px-Busan_express_bus_201_20090220.jpg
201번.(현재 폐선)

%EB%B6%80%EC%82%B0%EC%8B%9C%EB%82%B4%EB%B2%84%EC%8A%A4_503%EB%B2%88.JPG

503번.(현재 폐선)
  1. 기존 차량 대수도 1000대 가까이 차이가 났는데 부산은 2번의 감차에도 채 100대가 안되는 반면 대구는 200대 이상 감차했으니 그 차이가 더 심해졌다.
  2. 현재 거의 대부분의 지역은 좌석버스를 줄이고 간선버스 등의 도시형버스를 늘리고 있다. 부산의 경우 외곽지역 신도시(정관신도시 등) 조성과 거가대교 개통으로 인해 고속화도로를 이용해야 되는 상황이라 기존의 좌석버스를 변형시킨 형태의 급행버스를 늘리고 있다. 급행버스가 투입되는 지역은 도심부를 제외하면 녹산, 정관, 기장, 웅상, 김해, 거제도 등 외곽지역이다.
  3. 근데 좌석버스가 늘어나는 것은 대구도 마찬가지. 이 곳 역시 일반버스를 좌석버스로 개조하거나 기존 일반노선에 투입된 좌석차량을 좌석노선으로 이동하는 형편이다. 역시 차량총량제를 적용하기 때문에 순수증차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외곽지역이 개발되면서 이 지역에서 도심을 빠르게 이어주는 급행노선의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4. 대구광역시도 15년8월1일부로 노선개편을 통해 급행버스를 늘렸는데 갑작스런 급행노선 증가로 입석버스를 좌석버스로 개조하게 되었다. 허나 시일이 급했던지라 입석버스 형태으로 다니거나 뒷부분 입석 2열의자을 제외한 부분만 좌석으로 개조하는 행태가 나타났다.
  5. 또한 부산은 예전 1980년대에도 일반 시내버스보다 한단계 높은 11.5m 준 고속형 차량(AM928이나 RB585 등... 참고로 AM928은 서울에도 굉장히 극소수로 운행했으며 RB585는 운행한 적이 없다.)을 일부 좌석버스로 운행하기도 했다.
  6. 그래서인지 부산 시내버스 출신 기사들은 이후의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로의 이직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실제로 고속버스나 관광버스 회사에서 운전기사 모집 시 부산이나 강원도 쪽의 시내버스 출신 기사들을 우대하는 경향이 있다. 험준한 도로를 큰 차로 다니다보니 자연스럽게 공간지각능력이나 돌발대처능력이 우수하다고 한다.
  7. 급구배와 급커브가 상당한 산복도로 구간를 운행하는 버스노선들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8. 부산은 부산 5 자번호판 시절 때만 해도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면허를 같이 사용했으나 1996년 번호판 개정을 하면서 일반버스는 부산 70 자로, 좌석버스는 부산 71 자로 구분하였다. 이 때 회사별 차량번호도 일반버스, 좌석버스 할 것 없이 전부 새로 분배했다. 분배 기준은 가나다순이었으나 회사 측의 요청으로 가나다순과 관계없이 분배한 사례가 약간 있다. .
  9. 참고로 각 버스 회사 문서에 적혀있는 구 면허의 경우 가장 많이 가지고 있던... 즉 본래 회사의 면허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96년 번호판 개정 직전에는 회사간의 빈번한 차돌리기로 대다수 회사가 면허가 여러개 섞여있었다. 이후에도 부산은 회사간의 차돌리기시 면허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회사에 본래 면허 이외에도 여러 번호가 있는 경우가 많다.
  10. 전국 최초로 알려져 있다.
  11. 참고로 1999년은 끝물이긴 하지만 RB520도 살아있던 시절이다.
  12. 이것만 나온게 아니다. 하이마트 여름대축제가 자주나온다.
  13. 근데 이건 영어표기가 다 나오는 버스가 있고 안 나오는 버스가 있다. 예를 들면 상공회의소(The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가 The Chamber of Commerce & Indus로만 나오고, 너무 긴 영어표기(수정산가족체육공원입구 같은 경우)에는 아예 생략되어 있다.
  14. 원랜 정상지불처리가 되어도 불이 들어왔었는데, 무슨 이유인진 모르겠지만 지금은 정상지불처리가 되면 불이 들어오지 않다가 다시 들어오도록 설정한듯 하다.
  15. 어르신교통카드와 비슷한 국가유공자용카드를 단말기에 대면 기분이 나쁜건지 밝은소리가 어두운 고맙습니다.라고 기분나쁜음성을 낸다. 국가유공자는 예우를 해주어야되는데 단말기에서는 공짜로 태워주는게 불만스러운가보다.
  16. 221번이 서는 가동마을, 2000번이 서는 가덕도 일대 등.
  17. 정관신도시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18. 203번과 관련이 있다.
  19.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와 관련이 있으며, 옥포중앙시장 정류장과 관포 정류장이 좌석버스 전용정류장이다. 나머지는 거제시 일반버스와 같이 정차한다.
  20. 김해, 거제방향 정류장과 기타 정류장이 분리되면서 생긴 일이다. 2000번 개통 초반에는 녹산방면 정류장과 같이 운영되다가 일요일만 되면 줄서서 타는 사람들이 늘면서 생긴 것.
  21. 현재에도 이런 번호체계를 사용하는 곳은 광역시 이상급 도시에서는 부산 이외에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있다.그래도 간혹 바꾸자는사람도 있다.
  22. 29번 제외
  23. 하지만 30번대 노선 7개 중 해운대/기장 출발 노선은 31번,36번,38번,39번으로 4개다.
  24. 129-1번 제외.
  25. 그 예로 시민여객신성여객은 노선 전체가 20번대이다.
  26. 한창여객 33번133번, 부산여객 39번, 139번, 1003번의 전신인 239번, 일신여객 44번144번, 영신여객 61번161번, 동남여객 67번167번이 존재한다. 예전에는 신한여객 13번과 113번, 삼신교통 47, 147, 247, 347번, 삼화여객 79번과 179번, 부일여객 40번240번, 태진여객 69번과 169번, 세진여객 78, 178, 378번도 이런 구도였지만 13번, 47번, 69번, 78번, 79번, 147번, 178번, 347번, 378번은 현재 폐선되었고, 240번은 현재 급행 1001번으로 전환되었다. 조금 다른 방식으로는 신한여객 8번88번이 있다. 이 중 167번은 타회사와 공동 배차한다.
  27. 기장에서 많이 보이는 18x번대 노선 번호 사용.
  28. 55, 66, 333, 555가 해당된다.
  29. 126-1, 99-1, 148-1이 해당되고 두노선은 급행전환되어 148-1번만 남았다. 최근 96-1번 노선이 생겼다.
  30. 등급상 경기도 일반좌석버스와 동급이며, 부산 시내구간, 김해, 양산 내에서 운행하는 급행버스들은 모두 1000번대를 받고 있다.
  31. 등급상 경기도 직행좌석버스와 동급이며, 거제방면은 2000번대를 받고, 계획상으로만 있는 정관신도시 ~ 울산행 노선은 3000번대가 부여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급행버스라도 1000번대보다는 2000/3000번대 등급이 더 높다.
  32. 90년대 초 일반/좌석버스 겸용 노선이 생기기 전까지 부산의 좌석버스 노선은 공항버스 출신의 201번을 제외하고 모두 300번대였다. 참고로 일반/좌석버스 겸용 노선과 300번대 노선을 제외하고 좌석버스 노선 중 가장 먼저 신설된 노선은 90년대 초반 신설된 58-1번이다.
  33. 이 번호대는 2014년 2월 현재 모두 일반버스 혹은 1000번대 급행버스로 형간전환하거나 폐선되었다. 333, 338번은 예외로 초기부터 일반버스였다.
  34. 서울의 경우 2년 뒤인 1980년에 운행을 실시한다. 더구나 부산처럼 처음부터 도시형 기반급의 중대형이 아닌 현재 카운티/레스타와 동급인 소형버스로 운행하였다가 1982년 하반기에서야 중대형버스로 운행하였다. 이 외에 현재 광역시급 도시들은 대부분 1980년대 초반부터 운행하였고, 그 이하 지역들은 1980년대 후반(1988년 올림픽 행사기간 전후로)부터 운행하였다.
  35. 1970년대 후반 당시에는 모든 회사가 좌석버스 노선을 공동배차로 운행했다.
  36. 당시 201번과 205번은 일반좌석버스와는 도색도, 요금도 달랐기 때문에 사실상 일반좌석버스와는 다른 형태라고 볼 수 있겠다.
  37. 당시 노선은 구포에서 서면, 부산역을 거쳐 에덴공원까지였으며 운행회사는 태화여객이었다.
  38. 당시 노선은 서동 삼화여객 본사에서 서면, 부산역을 거쳐 태종대 신한여객 본사까지였으며 삼화여객과 신한여객, 태종여객이 공동배차했다.
  39. 장림동에서 남포동을 거쳐 당감동까지 운행했으며 운행회사는 광성여객(현 동원여객), 현대여객(현 태진여객), 영신여객이었다.
  40. 더 예전엔 우진공항버스였다. 부일여객(당시 우진서비스)의 계열사였다.
  41. 2012년 4월 27일에 경전철 개통 등의 이유로 폐선.
  42. 그런데 1011번도 교량 구간을 제외하면 특급좌석버스만큼 넓지는 않다. 바꿔서 말하면 교량 때문에 정류장 간격이 넓은 거다. 한진중공업 다음 정류장이 동명대후문이고, 올림픽교차로 다음 정류장이 남부면허시험장인데, 다른 노선을 탔으면 벌써 수십 정류장은 거쳐야 했다. 그리고 사실상 1011번의 단독구간이나 마찬가지인 곳과 1011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지역 (영도, 송도, 녹산공단 등)에서는 정류장 간격이 일반 급행버스처럼 비교적 촘촘하다. 송도입구 정류장 다음이 영선2동주민센터인데, 남항대교를 통해 걸어서 갈 수 있을 정도이며, 녹산공단 일대에도 1011번 신설 목적을 생각해보면 정류장이 비교적 촘촘하다.
  43. 2000번의 경우 부산 구간에서는 옛 특급좌석버스처럼 정류장 간격이 넓다. 그러나 거제도 구간의 경우 옥포 지역은 주 수요층이 몰려있는 곳이라 옥포시내 일대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며, 장목면 일대에서도 옥포대첩로를 중심으로 정류장이 비교적 촘촘하다.
  44. 단, 롯데, 현대카드수도권용 후불카드(T형)는 사용 불가. 마이비형 후불교통카드(M형)나 멀티후불교통카드(MT형)를 따로 발급받아야 한다.
  45. 신한은행, 제주은행, 우체국은 1천원부터 1천원 단위로 ATM에서 현금 충전이 가능하다. 제주은행영도구 남항동에 부산지점이 있다.
  46. 하나은행은 1만원 단위로만 현금충전이 가능하며 계좌이체시에만 1,000원 단위 충전이 가능하다.
  47. 우리은행은 1만원부터 1천원 단위로 현금 충전이 가능하다. 참고로 캐시비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충전은 불가능하다.
  48. 국민, 농협, 신협 ATM에서는 현금 입금충전이 불가능하며, 해당 은행 계좌이체 방식으로만 충전이 가능하다.
  49. 현대 R192 출시 때 신차를 들여올 때부터 변경된 도색이다.
  50. 참고로 구도색 차량이 적용된 1969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동안 서울 시내버스는 도색만 4번이나 바뀌었다.
  51. 당시에는 울산광역시가 아니라 경상남도 울산시였다.
  52. 1969년~2010년
  53. 참고로 양산 마을버스에는 2015년 현재에도 존재하고 있다. 이것을 감안하면 더 늘어나는 셈.이러다 반백년까지 가겠다 다만 양산도 2016년부터 서울 지선도색으로 출고하고있다.
  54. 상주, 문경, 의성
  55. 특히 대구대전이 많았으며 광주울산에도 일부 존재했고 심지어는 서울에도 꽤 많이 존재했다.
  56. 기존 FB485와 BF101 좌석버스 시절부터 아랫부분에 녹색을 입혀 왔다.
  57. 일반 좌석버스 차량이 약간 주황색에 가까운 색이라면 고급좌석 차량의 경우 일반 차량보다 조금 더 짙은 빨간색을 사용한다. 급행버스와 일반좌석버스의 구분이 아닌 차종에 의한 구분이다.
  58. 제주도의 구 대화여객과 삼영교통도 자체도색의 저상버스를 투입했으나 제주도라는 위치상 직접 보러 가기가 쉽지가 않으니...
  59. 관련기사
  60. 일반버스 면허를 기준으로 하며, 전 차량 70자로 시작한다. 좌석버스 면허는 해당문서 참조.
  61. 옛 대명여객 면허
  62. 옛 신평여객 면허
  63. 현재 동남여객 버스차고지는 개금과 장림에 있지만, 본사는 창성여객 인수 뒤에도 계속 용당이다.
  64. 옛 대경교통 면허
  65. 원래 24xx호대를 받아야하나, 당시 부산여객의 요청으로 가장 뒷 면허로 부여받았다.
  66. 원래 42xx호대를 받아야 하나, 당시 사명이었던 우진서비스의 요청으로 뒷 면허로 부여받았다.
  67. 동성여객 시절 받은 면허
  68. 삼신교통 측의 요청으로 28xx호대 면허를 추가로 발급받았다. 본래 면허 개정 이전 삼신교통이 쓰던 번호가 부산 5 자 28xx인데 이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69. 삼신교통 관계자가 면허등록하러 갔을 때 삼신교통에서 왔다고 하지 않아 6251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
  70. 옛 태화교통 면허
  71. 옛 세신여객 면허
  72. 한진여객 시절 면허
  73. 옛 한일여객 면허
  74. 옛 동부여객 면허
  75. 원래 동남여객의 진짜 면허번호인데 두 회사가 계열사가 되면서 차돌리기로 19xx대 면허를 다수 보유하게 되었다.
  76. 태화교통 시절 면허
  77. 화진여객 시절 면허
  78. 옛 대일여객 면허
  79. 일부는 동남여객, 창성여객이 사용. 1998년에 21번을 동남여객에 넘길 때 같이 넘겼다.
  80. 이 회사에서 분리된 업체로는 남부여객, 신성여객, 칠성여객, 금정여객이 있다.
  81. 이때 광진여객을 인수했다.
  82. 이때 아진여객을 인수했다.
  83. 이때 구포/화명동 노선은 삼진여객이, 진해노선은 가야IBS에서 사들이면서 이름만 같은 2개의 회사가 존재하게 된다. 이후 화명동 노선은 성보버스로 변경되었다가 삼진여객에 인수되면서 현재 태영버스는 가야 IBS 계열만 남게 된다.
  84. 0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CNG로 대차되었으나 현재 54번 예비차로 활동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