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부산광역시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내버스 노선개편
2007년도2008년도2009년도2010년도2011년도2012년도
2013년도2014년도2015년도2016년도2017년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연도는 상당히 논란이 된 노선 개편이 일어난 해이다.

1 개요

본 문서는 2016년도에 부산광역시 시행한 버스개편을 담은 문서다. 2016년 12월 31일까지 개편이 추가되는대로 계속해서 추가/수정될 예정이다.

공영.공용차고지의 완공과 2015년 제3차 버스노선개편 이후 보완수습으로 거의 매달 버스노선이 조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2 개편내역

2.1 2016년 3월 12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9봉래동-신선동주민센터-남항동-남포동-남부민2동주민센터-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감천사거리청학동-영도중복도로-신선동주민센터-남항동-남포동-남부민2동주민센터-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감천사거리9번, 9-1번 노선통합
9-1청학동-신선동주민센터-남항동-남포동-남부민2동주민센터-송도해수욕장-암남공원-감천사거리(9번과 노선 통합으로 폐선)
88태종대-부산해양대-영도구청-영도대교-부산역- 상공회의소-부전시장-부암교차로-당감주공아파트태종대-부산해양대-영도구청-영도대교-부산역-범내골-부전시장-부암교차로-당감주공아파트우회 노선, 직통으로 변경
189반송-반송주공아파트-반여농산물도매시장-서동고개-동래역-사직운동장-교대역반송-반송주공아파트-반여농산물도매시장-서동고개-동래역-사직운동장-교대역-연산교차로사직동 주민 불편 해소
301웅상공영차고지-서창-덕계-월평교차로-금정체육공원-노포동부산종합터미널금정공영차고지-노포동부산종합터미널-구서시장- 부산대-금정구청-브니엘고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기점변경 및 지속민원(브니엘고) 구간 대중교통 추가.
  • 9번의 경우에는 구.9-1번 노선으로 통폐합되어 송도아랫길을 경유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모든 이의 예상을 뒤엎고 송도윗길 경유가 되었다. 9번을 제외하면 그다지 논란이 되지 않았던 노선개편. 부산 버스 301의 양산구간은 푸른교통양산 버스 58[1]로 대체되었다. 다만 양산 60번이 폐선되었다.

2.2 2016년 3월 15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비고
96-1(노선신설)다대롯데캐슬-다대포(기점)-괴정동-부산대병원-충무동 환승센터(회차)다대포 교통불편 해소를 위한 96번 노선분리운행11번 3대, 96번 2대 감차

2.3 2016년 3월 19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29남산동-부산대-서동고개-안락교차로-교대역-송상현광장-서면-안창마을금정공영차고지-부산외대-부산대-서동고개-안락교차로-교대역-송상현광장-서면-안창마을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51구서동-부산대학교-동래경찰서-연산교차로-수영교차로-경성대·부경대-우암동금정공영차고지-부산외대-부산대학교-동래경찰서-연산교차로-수영교차로-경성대·부경대-우암동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131남산동-부산대-사직운동장-부산광역시교육청-부산시청-수영교차로-용호동-오륙도SK뷰아파트금정공영차고지-남산새벽시장-부산대-사직운동장-부산광역시교육청-부산시청-수영교차로-용호동-오륙도SK뷰아파트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 금정공영차고지에 1차로 입주된 노선들. 단 1대의 증차 없이 연장하는 바람네 29번과 51번과 131번의 배차간격이 늘어나버렸다. 특히 부산 버스 131은 배차간격이 막장화된 수준이다.

2.4 2016년 4월 9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58-1/심야해인로즈빌아파트-경제자유구역청-녹산공단-신호주거단지-명지신도시-에일린의뜰아파트(금강펜테리움아파트)-하단해인로즈빌아파트-경제자유구역청-녹산공단-신호주거단지-명지신도시-에일린의뜰아파트(금강펜테리움아파트)-대방노블랜드아파트(호반베르디움아파트)-하 단신규 수요 구간 경유
58-2용원사거리-경제자유구역청-녹산공단-신호주거단지-명지신도시-에일린의뜰아파트(금강펜테리움아파트)-하단용원사거리-경제자유구역청-녹산공단-신호주거단지-명지신도시-에일린의뜰아파트(금강펜테리움아파트)-대방노블랜드아파트(호반베르디움아파트)-하단신규 수요 구간 경유
168용당동-감만시장-우암동-자유시장-서면-학장-엄궁-하단교차로-에일린의뜰아파트(금강펜테리움아파트)-명지신도시-부영아파트(1,2차)-녹산동신호민원센터용당동-감만시장-우암동-자유시장-서면-학장-엄궁-하단교차로-에일린의뜰아파트(금강펜테리움아파트)-대방노블랜드아파트(호반베르디움아파트)-명지신도시-신호농협-녹산동신호민원센터신규 수요 구간 경유, 신호주거단지 이용편의 증진
169-1구포3동-부산과학기술대학교-신모라-신라대학교입구-개금3동주민센터-진양교차로-서면구포3동-부산과학기술대학교-부산학생예술문화회관-신모라-신라대학교입구-개금3동주민센터-진양교차로-서면부산학생문화회관, 유림아파트 이용편의 증진
200청강리공영차고지-송정해수욕장-해운대힐스테이트아파트-센텀시티-미남교차로-신만덕-덕천교차로청강리공영차고지-송정해수욕장-해운대힐스테이트아파트-센텀시티-미남교차로-신만덕-덕천교차로-북구청덕천환승센터, 구포역 이용 승객의 환승 편의
  • 명지국제신도시에 대중교통이 확충되었으며, 부산 버스 200은 신라대 방면 대체노선인 부산 버스 128-1과 연계되도록 구포까지 소폭 연장되었다. 168번은 해당 노선 조정으로 운행소요시간이 소폭아주 쬐금 줄어들었다.

2.5 2016년 4월 23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42회동동-세웅병원-안락교차로-안락뜨란채아파트-수영교차로-광안리해수욕장-문현교차로-범일5동주민센터회동동-회동석대산단-세웅병원-안락교차로-안락뜨란채아파트-수영교차로-광안리해수욕장-문현교차로-범일5동주민센터회동석대산업단지 교통불편 해소
82청학동-영선위로터리-영도대교-부산역-부산진시장-지오플레이스(05-225)-화신아파트청학동-영선위로터리-영도대교-부산역-부산진시장-지오플레이스(05-238)-화신아파트홈플러스 서면점 대중교통 이용 편의 도모
85청학동-영선위로터리-영도대교-부산역-좌천동가구거리-범천2동주민센터-서면-서면복개로청학동-영선위로터리-영도대교-부산역-좌천동가구거리-범천2동주민센터-서면-전포동전포, 범천동 학생수요 대응 및 대중교통 편의 증진
138-1장림-가락타운2,3지구(10-106)-하단교차로-사상역-개금삼거리-진양교차로-서면장림-가락타운2,3지구(10-108)-하단교차로-사상역-개금삼거리-진양교차로-서면-문현교차로-우암동-유엔교차로-용당• 가락타운 2·3단지 교통불편해소를 위한 우회 조정 • 유엔로지역 교통불편 해소.
148-1학장동-엄궁농산물도매시장-엄궁아파트단지-감전시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신모라사거리-덕천교차로-동래역-온천장학장동-엄궁아파트단지-감전시장-서부시외버스터미널-신모라사거리-덕천교차로-동래역-온천장-부산대학교부산대 일대 이용객 편의 증진, 운행의 효율성 제고
186국립해양박물관-영도대교-국제시장-영주삼거리- 범천2동주민센터-개금삼거리-서부터미널태종대-국립해양박물관-영도대교-국제시장-영주삼거리-범천2동주민세넡-개금삼거리-서부터미널동삼혁신지구 활성화 위한 대중교통 확충, 버스 운행개선위한 기점변경
187반송-교리입구-기장경찰서-일광역-좌천삼거리 -원자력의학원-장안산업단지-명례산업단지반송-동부산대학역-고촌휴먼시아-교리입구-기장경찰서-일광역-좌천삼거리-원자력의학원-장안산업단지-명례산업단지고촌리 주민 교통편의 제공
1004평강-체육공원역-강서구청-구포대교(편도)평강-체육공원역-강서구청-구포대교(왕복)낙동북로 편도 운행구간을 왕복 운행구간으로 변경
  • 드디어 부산 버스 148-1이 부산대학교로 돌아왔고 부산 버스 1004가 직선화되었다. 여기까지만 해도 굉장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그러나 부산 버스 138-1은 증차도 하지 않고 대책없이 연장시켜 특히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막장화가 진행되는등 여러가지로 논란이 일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38-1/논란 문서를 참고토록 하자.
  • 부산시에서 187번 노선을 기장읍을 경유케 할 계획이 있었고, 확정단계까지 갔다가 갑자기 취소되고, 고촌아파트단지, 동부산대학역을 경유하는걸로 그쳤다. 이 때문에 기장읍일대 정류소에 187번이 정차한다는 표기가 존재했었다.

2.6 2016년 5월 21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10사직동-교대역-법원경찰청-송상현광장-서면-문현교차로-문현3동주민센터-경성대학교-부경대학교연제공용차고지-아시아드경기장-사직동-교대역-법원경찰청-송상현광장-서면-문현교차로-문현3동주민센터-경성대학교-부경대학교연제공용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33초읍-부산시민공원-양정현대아파트-송상현광장-서면-냉정고개-서부시외버스터미널-덕천교차로-만덕연제공용차고지-초읍-부산시민공원-양정현대아파트-송상현광장-서면-냉정고개-서부시외버스터미널-덕천교차로-만덕연제공용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81초읍-부산진구청-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국제시장-동아대부민캠퍼스-구덕운동장-서대신동연제공용차고지-초읍-부산진구청-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국제시장-동아대부민캠퍼스-구덕운동장-서대신동연제공용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103장림-사하경찰서-신평-괴정시장-서대신교차로-동아대부민캠퍼스-남포동-부산역-좌천동가구거리-서면-부전시장연제공용차고지-국립부산국악원-부산진구청-서면-(기존노선)-신평-사하경찰서→협성르네상스타운→벽산마마아파트→동원자동차정비공업사연제공용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기.종점 변경
133신만덕-덕천교차로-신모라-신라대학교입구-보훈병원-동의대학교입구-서면-부산진구청-초읍연제공용차고지-초읍-부산진구청-서면-동의대학교입구-보훈병원-신라대학교입구-신모라-덕천교차로-신만덕연제공용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기.종점 변경
210사직동-미남역-롯데백화점동래점-안락교차로-토곡한양아파트-수영교차로-민락수변공원연제공용차고지-아시아드경기장-사직동-미남역-롯데백화점동래점-안락교차로-토곡한양아파트-수영교차로-민락수변공원연제공용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 연제공용차고지 개장에 따른 노선개편. 부산 버스 103의 경우는 국립부산국악원을 경유하게 되어 부산 버스 63을 대체할 수 있게 되었으나, 범전동 구간이 삭제되어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하필이면 범전동 구간을 다니는 다른 버스는 전설의 부산 버스 124(...)인데 124번의 유일구간이 되어 미경유가 사실상 어려워졌다(...). 그리고 노선담당관의 증언에 따르면 학성여객 노선들은 처음부터 연제공용차고지로 입주할 계획이 없었던데다가 노선 조정 또한 검토한 적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2.7 2016년 6월 25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37범어사입구 - 노포동터미널 - 월평교차로 - 부산추모공원-정관신도시 - 좌천 원자력의학원- 임랑삼거리 - 월내 한빛 3차아파트금정공영차고지 - 노포광역환승센터 - 월평교차로 - 부산추모공원-정관신도시 - 좌천 원자력의학원- 임랑삼거리 - 월내 한빛 3차아파트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49노포동터미널-범어사입구-구서롯데캐슬-부산대-부곡동-동래시장-토곡-광안동금정공영차고지 - 노포역 - 범어사입구-구서롯데캐슬-부산대-부곡동-동래시장-토곡-광안동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80범어사입구 -부산외대 -구서롯데캐슬-부산대-온천장-사직운동장-거제안동네-서면-범내골-진시장금정공영차고지 - 노포역 - 범어사입구 - 부산외대 - 구서롯데캐슬 - 부산대 - 온천장 - 사직운동장 - 거제안동네 - 서면 - 범내골 - 진시장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90범어사입구 -경동아파트-지장암-범어사-상마마을-하마마을-범어사입구노포동광역환승센터 -경동아파트 -지장암 -범어사 - 상마마을-하마마을-범어사입구-(노포동광역환승센터)(노포역-금정체육공원-스포원파크)[2]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148노포동터미널-금정구청-금정세무서-서동고개-동래시장-미남교차로-덕천교차로-모라주공아파트금정공영차고지 - 노포역- 금정구청-금정세무서-서동고개-동래시장-미남교차로-덕천교차로-모라주공아파트금정공영차고지 조성에 따른 노선 조정
  • 금정공영차고지에 2차로 입주된 노선들. 입주가 유기한 연기된 삼신교통 노선이 이 날 입주하게 된다. 삼신교통 본사와 금정공영차고지 사이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37번은 단축 후에도 노포동광역환승센터를 통해 노포동을 그대로 경유하고 있다. 예상했던대로 서창 운행시절의 301번 루트대로 노포환승센터에서 회차 후 금정공영차고지로 들어간다. 90번은 노포동광역환승센터를 기점으로 설정했다. 그 대신 환승센터에서부터 승객을 받았던 49번과 148번은 더 이상 이 곳을 경유하지 않고 노포역(중앙대로)으로 직행 통과하고 있다. 그래서 기존 환승센터에서 49번과 148번 이용했던 오랜 단골승객들은 영문도 모른채 기다렸다가 뒤늦게 알고 횡단보도를 건너서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자리를 대신 하고 있는 37번[3]과 90번 중에서 90번은 평시에 심각한 공기수송을 하는 중이다.

2.8 2016년 7월 30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63청강리공영차고지 - 송정해수욕장 - 해운대 - 센텀시티역 - 수영교차로 - 신리삼거리 - 양정 - 부산시민공원 - 어린이대공원(기존노선) - 어린이대공원 - 삼광사입구 - 성곡시장 - 부암교차로 - 부산진구청새싹로 교통확충 및 양정 승객 이동편의, 초읍 주민 불편 민원

범전동 경유와 서면 환원을 기대했던 사람들은 아주 큰 아쉬움을 느낀다(...). 링크

2.9 2016년 10월 9일

노선 번호기존 노선변경 노선사유
10연제공용차고지 - 사직야구장 - 교대앞 - 거제리 - 서면 - 문현교차로 - 문현3동 - 대연사거리 - 부경대학교(기존노선) - UN평화공원.대천중학교 - 동명대학교정문남구청 건의사항, UN공원 활성화 및 동명대 통학편의 증진

원래는 연제공용차고지 개장과 동시에 연장할 계획이었지만 용당 신선대지하차도 공사와 도로정비 관계로 보류되었다가 공사와 도로정비가 완료되면서 연장이 되었다.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3.1 성공사례

  • 1004번 노선의 경우는 더 이상 대저안동네를 경유하지 않고 큰 길로 직행하면서 체감 소요시간이 상당히 줄어들었고, 김해시민들 사이에서도 반응이 꽤 좋다. 다만 급행버스가 가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고관입구와 이용수요가 없는 국제여객터미널을 끝까지 고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쉬워하는 반응들이지만 일각에서는 국제여객터미널 경유는 윗선의 개입이 있었다는 말도 있다. 김해거주 이 노선의 단골 승객들 대부분이 주로 서면행 목적으로 이용해서인지 직행화 자체에 만족스러워하는 분위기이다.

3.2 실패사례

  • 131번 노선의 경우는 단순노선연장 이지만 운행소요시간이 196분에서 224분으로 늘어난거라 결코 연장거리가 짧지 않다. 게다가 증차도 없이 그대로 연장되었기 때문에, 노선 연장 전에도 그다지 좋지 않았던 배차간격이 더 벌어졌다. 일부 버스 애호가들이 청강리 사태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에서 노선에 칼부림했던 패기는 도대체 어디 갔냐면서 대중교통과를 까고 있지만, 131번은 원래 용호동 기점 노선이었고, 용호동 인구수도 부산광역시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기 때문에 섣불리 건드릴 수가 없는 상황이라서 계륵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운송수입금이 생각만큼 낮은 노선이 아니다.[4]
  • 138-1번 노선의 경우는 68번의 감차로 논란이 되자 유엔교차로까지 연장하여 유엔로→석포로로 단선순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남구청의 건의로 유엔로 구간을 왕복운행하고 용당동까지 연장하기로 확정되었는데 일각에서는 가스충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당동까지 연장되었다는 의견이 상당수다. 하지만 잘못 연장된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문현2동, 유엔로 연선지역(우암동 한정)에서 인지도가 조금 생긴거 말고는 효과가 미미하며, 단 1대의 증차도 없이 노선 연장을 한 탓에 배차간격이 심하게 늘어나면서 사하구~사상을 왕래하는 기존 승객들에게 불편만 가중시킨 꼴이 되어버렸다. 이때문에 부산시 홈페이지, 동남여객 홈페이지에는 증차요구가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중이다. 본래 노선도 수요가 많은 편까지는 아니었으나 노선과 배차간격이 너무 길어져서 실제로 수요도 하락한 것으로 보이며, 버스 애호가들에게 연구대상감으로 찍힌 상태다.

3.3 애매한 사례

  • 301번 노선의 경우는 처음에는 심각한 공기수송을 하였지만, 현재는 브니엘재단 통학수요를 제대로 확보하면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담당관의 증언으로도 금정구 내에서 점점 반응이 좋아지고 있다고 한다. 다만 30분 이상의 애매한 배차간격 때문에 전세버스를 압도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 등교시간과 연계가 되지 않는 시간표, 배차간격이 30분을 넘기는 노선인데도 환승대기시간이 60분이 아닌 점이 논란이 일고 있으므로 애매한 사례에 포함시켰다.

3.4 실패복구(극복) 사례

실패사례 혹은 애매한 사례 문단에 상술된 노선들 중 복구 사례가 생기면 추가바람
  1. 금정세무서까지 운행하며 부산대까지는 부곡대우아파트를 거쳐서 걸어가야 한다.
  2. 수요일~일요일 일부 시간대 운행.
  3. 양산 버스 17과 같이 쓰고 있다.
  4. 210번 보다 2016년 1월 운송수입금이 많은 것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