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대 국회의원 선거

(6.8 부정선거에서 넘어옴)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종류대통령 선거
(대선)
국회의원 선거
(총선)
지방선거
(지선)
재ㆍ보궐 선거
(재보선)
국민투표
최근 선거18대
2012년 12월 19일
20대
2016년 4월 13일
6회
2014년 6월 4일
2016년
2016년 4월 13일
1987년
1987년 10월 27일
차기 선거19대
2017년 5월 9일
21대
2020년 4월 15일
7회
2018년 6월 13일
2017년 4월
2017년 4월 12일
(예정없음)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1963년 11월 26일1967년 6월 8일1971년 5월 25일
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7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국회의원 선거

1 개요

1967년 6월 8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투표율은 72.1%를 기록했다. 131석의 지역구와 44석의 전국구를 선출했다.

6.8 부정선거라고도 한다.

2 결과

민주공화당이 과반을 훌쩍넘는 의석을 얻어 개헌선을 넘은 129석을 얻었고 신민당은 45석에 그쳤다..

하지만 선거가 끝난 뒤에 부정선거논란으로 시위가 일어났다. 실제 득표율상으로만 보면(민주공화당 50%, 신민당 33%) 그리 부정선거같이 안보이지만, 농촌 지역에서 속칭 "막걸리고무신" 선거라고 불리는 금품이나 물품 살포행위같은 선거법 위반행위를 초대형 스케일로 저질러서 농촌 지역구를 싹쓸이 했다. 그리고 선거당일에도 대리투표가 대대적으로 이루워졌고 심하면 공개투표까지 한 경우도 있었다. 당연히 선거중에 대놓고 했던데다가 대놓고 99% 득표율로 당선이라는 소식이 떴던 3.15 부정선거에 비하면 스케일이 약해서 그렇지 따지고 보면 초대형 사건이었다(...)[1]

당연히 선거중에 대놓고 저질렀던 만큼 빼도박도 못했던 탓에 대학가에서 휴학열풍까지 불정도가 되자 정부측에서 부랴부랴 1명의 당선자를 정정하고 공화당은 7명을 제명했다. 야당 낙선자들은 소송을 냈으나 재보선이 대대적으로 벌어져서 정부의 권위가 나락으로 떨어지고 공화당의 의석이 개헌선 아래로 떨어지는건 싫어했던 당시 행정부가 사법부에 압력을 넣은 탓에 대부분 패소했다.물론 3선 개헌안을 통과시키기위한것이었다는것도 한 몫했다. 공화당 탈당자들은 '10·5구락부(클럽)'이란 단체를 구성했다가, 은근슬쩍 3선 개헌 시즌에 친정인 민주공화당으로 복당했다.

6.8 부정선거의 결과는 박정희 대통령의 3선 개헌으로 이어졌다. 개헌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는 선거라고 하겠다. 8대 총선에서는 야당이 개헌선을 저지했지만, 박정희는 10월 유신을 저지른다.

그러나 김옥선만은 승소하여 늦깎이 등원을 하였다. 그리고 이중재는 재보궐선거로 당선되었다.
  1. 물론 금품살포나 관권선거는 1990년대 초까지도 빈번히 이루워졌지만 스케일면에서는 1967년 총선을 따라잡을 사건은 거의 1950년대 자유당 시절 정도나 가야한다. 물론 1981년 11대 총선처럼 공천까지 사전심사한 선거까지 합하면 얘기는 좀 달라지긴 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