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공화당(1963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자유당민주공화당(1963년)민주정의당/한국국민당

1 개요

박정희가 소속되었던 정당. 약칭 공화당[1]

5.16 군사정변 직후 일부 자유당 세력 및 박정희 계열의 전직 군인을 중심으로 창당되었다. 또 민주 공화당에는 대한국민당 세력, 정구영 등의 학계 세력, 시민사회단체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2] 이후로 제3공화국제4공화국 기간 내내 여당으로 활동한다. 따라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장수 정당이며 참고로 민주화 시대 이후의 기록만 따지면 한나라당이 최장수 정당이다.

2 창당과 정권내 분파, 숙청

박정희는 내내 민주공화당 당수를 역임했다. 하지만 민주공화당과 박정희 개인의 관계는 결코 순탄하다고 만은 할 수 없었다. 의회민주주의를 경시한 박정희는 여당인 민주공화당을 '무시'하는 행동을 할 때가 자주 있었으며, 민주공화당은 때때로 행정부에 반발하기도 했다. 박정희의 독재 성향이 점점 더 강해지면서 민주공화당과의 '정권 내 충돌'은 간간히 벌어지게 된다.

1969년에 벌어진 4.8 항명이 대표적인 사건이다. 항목 참조. #관련기사

4인방이라고 불리던 김성곤, 백남억, 김진만, 길재호의 "10.2 항명 파동"(1971년)도 있다. 4인방은 김종필의 득세를 막기 위해 키워졌으나, 이원집정부제(의원 내각제 요소 도입)를 구상하는 등 박정희 일인체제에 걸림돌이 되기 시작했다. 이에 박정희는 오치성 내무장관을 발탁하여 기존 경찰 조직의 4인방 세력을 제거하려 했다. 하지만 실미도 특수군 사건(실미도 사건). 광주대단지사건. 한진빌딩 노동자 난입사건. 기동경찰 총기 난사 사건 등으로 내무장관 해임건의안이 야당에 의해 표결에 붙여졌고, 여기에 4인방이 동조하여 가결된 것이 바로 항명파동. 박정희는 중앙정보부를 동원해 4인방을 영장없이 체포하고 모진 고문을 가해 반병신으로 만들었다. 흠좀무

박정희 일인체제 구축을 위한 3선 개헌10월 유신의 과정에서, 김종필[3]은 물론 기존 주류 대다수가 숙청되었다. 게다가 유신헌법에 따라 박정희의 '친위세력'인 유신정우회가 생겨나면서, 소외당한 것이나 다름없는 공화당은 정치적으로 무기력한 존재로 몰락해갔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그 전의 8대 국회의원 총선거 때보다 지지율이 10%나 하락하였고, 1978년의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야당인 신민당보다 낮은 지지율을 기록한다. 국민의 지지와 독자적인 정당 조직력, 의회 정치 능력을 모두 잃어버린 셈. 한마디로 제4공화국 기간 동안 민주공화당의 존재는 있으나마나한 것이었다.

3 박정희 사망과 와해

1979년 10.26 사건으로 박정희가 죽은 후 김종필 총재 체제가 출범하였다. 김종필은 민주헌법에 따라 직선 대통령이 되겠다는 이유로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했고, 박찬종, 남재희, 오유방, 정동성 의원 등은 과거를 반성하자는 정풍 운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1980년 5.17 내란에 따라 다른 정당들과 함께 해산되었다. 그 후 당원들 대부분은 김종철, 이만섭을 중심으로 한 한국국민당전두환의 신군부가 창당한 민주정의당으로 들어갔다[4].

한국국민당은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참패 후 와해되었고 구성원들은 민주정의당과 김종필이 창당한 신민주공화당으로 흩어졌다. 이후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 통일민주당1990년 3당 합당으로 현재새누리당의 전신인 민주자유당이 되었다.

4 민주공화당 출신 정치인[5][6]

민주공화당 소속이었던 정치인
소속기간이름직위비고
1963년 8월 ~ 1979년 10월 26일박정희당총재[7]민주공화당 창당
1962년 6월 18일 제2대 대한민국 내각수반
제2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제3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제4대 대통령 대통령 권한대행
제5대 대통령
제6대 대통령
제7대 대통령
제8대 대통령
제9대 대통령
1963년 ~인태식자료없음.※ 제7대 재무부 장관
※ 제3대 자유당 충남 당진군 국회의원
※ 제4대 자유당 충남 당진군 갑 국회의원
※ 제6대 민주공화당 충남 당진군 국회의원
1963년 ~김재순민주공화당 원내총무, 13대 전반기 국회의장.※ 제4대 민주당(1955년) 강원 제14선거구 국회의원 후보 - 낙선
※ 제6대 민주공화당 강원 제6지역구 국회의원
※ 제7대 민주공화당 강원 제6지역구 국회의원
※ 제8대 민주공화당 강원 제6지역구 국회의원
※ 제13대 민주정의당 강원 화천군.철원군 국회의원
※ 제14대 민주정의당 강원 화천군.철원군 국회의원
1963년 ~김진만민주공화당 원내총무, 재정위원장.※ 제3대 자유당 강원 제11선거구 국회의원
※ 제4대 자유당 강원 제19선거구 국회의원
※ 제6대 민주공화당 강원 제9지역구 국회의원
※ 제7대 민주공화당 강원 제9지역구 국회의원
※ 제8대 민주공화당 강원 제9지역구 국회의원
1963년 ~김장섭자료없음.
1940년 일제 고등문관시험 합격
※ 일제강점기 광주 지방법원 검사
※ 일제강점기 신의주 지방법원 판사
1958년 제17대 내무부 차관
1959년 제14대 농림부 차관
※ 제4대 자유당 경북 영일군 을 국회의원
※ 제5대 무소속 경북 참의원
※ 제6대 민주공화당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참의원
※ 제7대 민주공화당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참의원
1963년 ~구태회민주공화당 정책위의장.※ 제4대 자유당 경남 진양군 국회의원
※ 제6대 민주공화당 경남 진양군.진주시 국회의원
※ 제7대 민주공화당 경남 진양군.진주시 국회의원
※ 제8대 민주공화당 경남 진양군.진주시 국회의원
※ 제10대 민주공화당 경남 진양군.사천군.삼천포시.진주시 국회의원
1973년 제23대 무임소장관
1963년 ~민관식문교부 장관, 10대 국회부의장.※ 제6대 동대문구 갑 국회의원
1963년 ~박준규민주공화당 정책위의장, 민주공화당 당의장서리, 민주정의당 대표위원, 13대 후반기, 14대 전반기, 15대 후반기 국회의장.※ 제6대 성동구 을 국회의원
1963년 ~조시형자료없음.※ 제6대 중구 국회의원
1963년 ~예춘호민주공화당 사무총장.※ 제6대 영도구 국회의원
1963년 ~이종순자료없음.※ 제6대 동구 국회의원
1963년 ~김임식자료없음.※ 제6대 부산진구 갑 국회의원
1963년 ~최두고자료없음.※ 제6대 부산진구 을 국회의원
1963년 ~양극필자료없음.※ 제6대 동래구 국회의원
1963년 ~류승원자료없음.※ 제6대 인천시 갑 국회의원
1963년 ~이병희무임소장관, 신민주공화당 부총재.※ 제6대 수원시 국회의원
자료없음.김종신중앙상임위원보도연맹 사업부장/국민회(國民會) 간부/민보단 고문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참여
조선독립촉진마산협의회 부의장
자유당 창당에 적극 참여/초대 자유당 마산시당 위원장
마산시의원/마산시장/제3대 국회의원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1963년 자유민주당[8] 지구당 위원장
민주공화당(1963년) 중앙상임위원/신문사 사장/방송사 사장
자료없음.문삼찬자료없음.보도연맹 사업부장/국민회(國民會) 간부
김종신의 국민회(國民會) 사업부장직을 넘겨 받음
1948년 민족청년단 경남지부 마산시단장
마산의 대흥주조장(大興酒造場) 양조업자/백광소주 사장
1956년 자유당 마산시단장 부위원장
1955년 2월 결성된 마산문화인협의회(문협)의 2대 의장/3대 회장
1957년 마산체육회장
1960년 3.15 부정선거 시기 김종신과 같이 자유당 마산시당 기획위원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1963년 민우당(民友黨) 경남 제1지구당 위원장
최종적으로 민주공화당(1963년)에 합류

5 마지막 민주공화당 출신 제10대 국회의원[9]

민주공화당 소속이었던 정치인
소속기간이름직위비고
1960년~1980년민관식1.1954년 5월 31일: 제3대 국회의원(동대문구:무소속)
2.1958년 5월 31일: 제4대 민의원(동대문구 갑:무소속)
3.1960년 7월 29일: 제5대 민의원(동대문구 갑:민주공화당)
4.1963년 12월 17일: 제6대 국회의원(동대문구 갑:민주공화당)
5.1971년 6월 4일: 제20대 문교부 장관
6.1979년 3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종로구·중구:민주공화당)
7.1979년 3월 17일: 제10대 국회 부의장 (제1당)
8.1979년 12월 18일: 제10대 국회의장 권한대행
9.1989년 1월 9일: 제3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0년이인근1.1979년 3월 12일:제10대 국회의원(동대문구:민주공화당)
2.청원학당 이사장/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민주공화당 당무위원[10]
1973년~1980년정래혁[11]1.1945년 : 일본육군사관학교 졸업 (제58기)
2.1961년 5월 20일: 제17대 상공부 장관
3.1970년 3월 10일: 제18대 국방부 장관
4.1973년 3월 12일: 제9대 국회의원(성북구:민주공화당)
5.1979년 3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성북구:민주공화당)
6.1981년 4월 11일: 제11대 국회의원(곡성군·담양군·화순군:민주정의당)
7.1981년 4월 11일: 제11대 1기 국회의장(민주정의당)
8.2008년: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 선정
1960년대~1980년오유방[12]1.1973년 3월 12일: 제9대 국회의원(민주공화당)
2.1979년 3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서대문구:민주공화당)
3.1979년 3월 12일: 제13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4.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낙선(민주자유당)
5.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낙선(새정치국민회의)
1960년대~1980년박경원[13]1.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2기
2.1962년 10월 15일: 제27대 내무부 장관
3.1966년 12월 27일: 제19대 체신부 장관
4.1967년 10월 3일: 제17대 교통부 장관
5.1968년 5월 21일: 제32대 내무부 장관
6.1974년 8월 20일: 제36대 내무부 장관
7.1979년 3월 12일: 제 10대 국회의원(마포구, 용산구:민주공화당)
1960년대~1980년강병규[14]1.1971년 7월 26일: 제 8대 국회의원(전국;비례대표:민주공화당)
2.1973년 3월 12일: 제9대 국회의원(영등포:민주공화당)
3.1979년 3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영등포:민주공화당)
1960년대~1980년정희섭[15]1.1979년 3월 12일: 제 10대 국회의원(민주공화당)
2.1981년 4월 11일: 제11대 국회의원 낙선(한국국민당)
1979년~1980년이태섭[16]1.1979년 3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민주공화당)
2.1981년 4월 11일: 제11대 국회의원 낙선(서울 강남구:민주정의당)
3.1983년 10월 15일: 제3대 정무제1장관
4.1986년 8월 27일: 제8대 과학기술처 장관
5.1988년 5월 30일: 제13대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을:민주정의당)
6.1997년 3월 6일: 제15대 국회의원(수원시 장안구)(보궐:자유민주연합)

6 역대 선거결과

  • 1963년 제5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46.6% 당선
  •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총선거 110/175 33.5%
  •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51.4% 당선
  •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총선거 129/175 50.6%
  •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53.4% 당선
  •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총선거 113/204 48.8%
  • 1972년 제8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2357/2359 당선
  •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총선거 73/146(219) 38.7%
  • 1978년 제9대 대통령 선거 박정희 2577/2578 당선
  •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총선거 68/154(231) 31.7%

7 관련 문서

  1. 약칭이 민공당이 아닌 이유는 공산주의의 공과 한자(共)가 같기 때문이라 함
  2. (위키백과)민주공화당
  3. 김종필 개인은 10월 유신 직전 국무총리가 되었으나, 이는 오히려 민주공화당과 김종필이 분리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결국 김종필은 10.26. 이후 민주공화당 총재가 되었음에도 정국을 주도하지 못한 채 신군부에 당하고 만다.
  4. 박찬종 등 소수는 민주한국당이나 신한민주당으로도 갔다.
  5. (PDF)마산지역 토호세력의 뿌리 - Tistory(유석형, 김종신, 문삼찬 자료)
  6. (민간인학살)학살과 지역사회의 지배구조-학살 거쳐 정치권력 장(유석형, 김종신, 문삼찬 자료)
  7. 이전 버전에 초대 당대표라고 적혀 있었는데 잘못된 정보이다. 박정희의 민간정부 참여에 대해 문제가 제기되면서 창당 당시에는 아직 공식적으로는 불참 상태였다. 초대 당 총재는 정구영씨.
  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880&cid=46626&categoryId=46626
  9.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10. http://www.segye.com/content/html/2009/04/15/20090415003727.html
  11. http://ko.wikipedia.org/wiki/%EC%A0%95%EB%9E%98%ED%98%81
  12. http://ko.pokr.kr/person/19401160
  13. 박경원 자료
  14. http://www.rokps.or.kr/m4_profile_view.asp?num=1108
  15. 정희섭
  16. 이태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