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OS

본 운영체제의 후속 제품에 대해서는 macOS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운영 체제 '목록
WindowsMicrosoft Windows(Windows 9x, Windows NT)
리눅스데비안데비안 GNU/리눅스 · 우분투 · 리눅스 민트 · 칼리 리눅스 · 크런치뱅 · 하모니카 리눅스 · 기린 · Damn Small Linux · elementary OS · 스팀 OS
레드햇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 페도라 · MeeGo · 붉은별 · 센트OS · 아시아눅스 · 타이젠
슬랙웨어슬랙웨어 리눅스 · 오픈수세 · Slax
맨드리바Mandriva · Open Mandriva Lx · 마제야 · PCLinuxOS · no.1Linux
안드로이드안드로이드 · 크롬 OS · Remix OS · Polaris OS
아치 리눅스아치 리눅스 · Manjaro Linux · Antergos · ArchBang Linux
기타젠투 리눅스 · Nix OS
유닉스BSDBSD · FreeBSD · NetBSD · OpenBSD · TrueOS · GhostBSD · DragonFly BSD · TmaxOS
XNUiOS · macOS · tvOS · watchOS
기타솔라리스(SmartOS) · IBM AIX · HP-UX
DOSDR-DOS · MS-DOS · FreeDOS · K-DOS
기타ReactOS · Mac OS · OS/2(eComStation)

mac-os-classic.jpg
Mac OS 9.0의 스크린샷. 참고로 마지막 버전은 9.2.2다.

스티브 잡스는 2002년 WWDC에서 Mac OS 9의 추도문을 읽어주며 키노트를 시작했다(...) 삼가 Mac OS의 명복를 빕니다.

1 개요


애플 컴퓨터의 매킨토시에 쓰였던 운영 체제. 초기에는 매킨토시 시스템이라고 불렸고. 줄여서 시스템이라 불렀다. 하지만 버전 7.5부터 서서히 맥 OS로 이름이 바뀌기 시작하고 버전 7.6에서 완전히 맥 OS로 굳어졌다.

2 설명

2013년 기준으로 OS X윈도우보다 쉽다는 평가를 듣는 것처럼, 리즈시절[1]의 맥 OS는 쉽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진 OS의 대명사였다.

다들 알다시피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에서만 돌아간다. (에뮬레이터 사용 시 x86에서도 돌리는 사례가 있는 듯 하다.) 오직 맥을 위한 OS로 애플이 직접 만든 만큼, DOS처럼 하드웨어와 별개의 제품으로 포지셔닝되지도 않았다. 사실, 초기 매킨토시 개발자들은 맥의 하드웨어와 OS를 별개로 보지도 않아서 이름도 짓지 않고 System이라고 부른 것이다(……).

맥 OS가 맥의 일부라는 것은 단지 맥 하드웨어에서만 돌아간다는 것 뿐만 아니라, 맥 OS가 실제로 맥의 펌웨어라는 점도 말해주는 것이다. 1984년 당시, 3.5인치 플로피디스크에 GUI OS를 모두 집어넣는 것은 불가능했기에[2], 애플은 마우스 드라이버나 그래픽 드라이버 등 필수요소를 Toolbox라 불리는 ROM에 집어넣은 다음 맥의 로직 보드[3]에 박아넣었다. 맥의 펌웨어는 IBM 호환 PC의 BIOS에 비해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던 것이다[4].[5]

물론 롬은 비쌌기 때문에 파워PC를 장착한 파워맥의 등장 이후, 기존 툴박스의 내용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다음, 부팅과 함께 RAM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바뀐다.

애플이 제품들 말아먹고 있을 때, 라이선스만 받으면 매킨토시 클론을 합법적으로 만들수 있게 했던 때가 있는데, 이때부터 '시스템'은 맥 OS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애플의 하드웨어와 별개로 판매되는 OS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Designed for Windows 95' 로고 프로그램에 대항하는 의미도 있었다. 이때 맥 OS가 점유율은 약간 높아졌지만 결과적으로 매킨토시 자체는 안 팔리게 되었고, 결국 스티브 잡스가 클론 프로그램을 없애버렸다.

1.0 ~ 7.1까지는 모토롤라 68k 프로세서 전용이었지만 파워PC 프로세서를 단 파워맥이 출시되고 나서부터는 파워PC 프로세서도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맥 OS 8.1을 마지막으로 모토로라 68k 프로세서는 지원이 중단된다. 파워PC 프로세서 지원은 OS X까지 가다가 OS X 10.4 나올 때쯤 애플이 인텔 프로세서로 갈아탄다는 발표를 해서 OS X 10.5까지만 지원이 되고 OS X 10.6부터는 인텔 프로세서만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차기 버전인 OS X 10.7 라이언에서는 파워PC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도구[6]도 없어졌다. 그러나 사실 맥 OS는 마지막까지도 파워PC를 완벽하게는 지원하지 못했으며, 68k 프로세서용 코드가 마지막 버전까지 상당히 많이 남아 있었다.

1984년에 처음 나온 매킨토시 시스템을 거의 십몇년동안 땜빵해서 썼기 때문에 안정성은 별로다. 그래서 코플랜드 등의 안정적인 OS를 만들어서 다른 플랫폼으로 갈아타려는 시도를 했으나 현실은…… 결국 애플은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대신 다른 OS를 사와서 쓰기로 했고, BeOS라는 걸 살까 하다가 결국 산게 NeXTSTEP. 그래서 당시 NeXTSTEP에 기반하여 만든게 Mac OS X이고, 그래서 현재 OS X은 엄청 안정적으로 돌아간다. 기존 맥 OS하고는 비교가 안된다. 그리고 그때 NeXTSTEP과 같이 딸려서 받은 게 스티브 잡스인데 결과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7]

Windows의 DirectX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Game Sprockets라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했다.

3 사용상의 특징

  • 레지스트리가 없다 : Windows 95와 달리 시스템 전체의 설정을 관리하는 레지스트리가 없어, 레지스트리가 꼬이는 등의 문제가 없었다.[8] 레지스트리가 없기 때문에 레지스트리에 무언가를 등록할 필요도 없고,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되는 이유가 된다. 물론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사항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와 관련된 문제는 Mac OS의 '데스크탑 재형성'기능으로 바로잡힌다.
  • 응용 프로그램 설치가 간단하다 : Windows용 응용프로그램들의 경우 대부분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 설치해야 하지만, Mac OS에서는 실행파일과 그 부속 파일이 설치된 폴더를 아무데나 복사하면 그것으로 설치 끝. 심지어 MS Office 조차 예외가 아니었다. 반대로 삭제할 때에는 그 폴더를 휴지통에 버리면 끝난다. 설정 파일도 OS의 폴더에 만들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1990년대 말이 되면 점차로 응용프로그램들이 복잡해지기 시작하면서 OS의 폴더 안에 라이브러리를 심는 경우들이 생겨나게 된다.
  • 드라이버 설치가 간단하다 : 대체로 장치 드라이버 파일은 '확장 파일'이라는 형식의 한 개의 파일로 만들어져 있고, 그것을 OS의 확장 파일 폴더에 넣고 재부팅하면 바로 드라이버를 인식한다. 그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는 것만으로 드라이버는 완전히 삭제된다. OS가 단순하기 때문에 이런 것이 가능했다고도 할 수 있지만, 이정도로 단순하면서도 MS-DOS와 비교할 수 없는 기능들을 제공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 OS 재설치가 간단하다 : 위의 특징으로 인하여, 시스템 폴더만 삭제하고 재설치하면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재설치해서 레지스트리에 등록시키지 않아도 깨끗해진(?) 환경에서 컴퓨터를 이전처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OS 재설치에 따라 설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그 경우도 OS나 애플리케이션이 알아서(!) 해준다.
  • 메모리 관리 : MS-DOS / Windows 3.1과 같은 기본 메모리 문제는 없었으나, GUI 자체가 본질적으로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되며 1990년대 초반의 RAM 가격은 지금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쌌다. 따라서 90년대 초반에는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는 게임을 하기 위해, 불필요한 확장 파일을 제거한 부팅 디스크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고, 부팅 디스크를 만들어주는 툴이 포함된 게임도 있었다.
  • 메모리와 안정성 : 대체로 RAM을 추가할수록 안정성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시스템이 다운되는 이유는 메모리 공간에서의 충돌이다. 메모리가 많아지면 당연히 충돌의 가능성도 줄어드는 것이다. 선점형 멀티태스킹의 경우 그러한 상황에서 OS가 개입하여 문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시키지만, Mac OS에는 그런 기능이 없었다.
  • 확장자가 없다 : DOS윈도와 달리 파일 종류를 구별하는데 확장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HFS와 HFS+의 파일 메타 정보에 들어가 있는 생성자(creator)와 타입(type) 속성에 네 글자의 알파벳 또는 숫자로 구성된 정보를 저장하였다.[9] 생성자는 해당 도큐멘트 파일[10]을 생성한 응용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기록한 것이고, 타입은 확장자와 유사하게 그 파일의 종류를 알려주는 것이다.[11] 이러한 생성자와 타입 코드는 중복되는 일이 없도록 애플이 관리하였다.[12] 생성자와 타입의 두 가지 정보를 사용하여 파일을 구별하기 때문에, 같은 종류의 파일이라 하더라도 어떤 프로그램으로 편집해서 저장했느냐에 따라 해당 도큐멘트를 클릭했을 때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열게 된다. 또한, 파일명에서 확장자를 바꾸더라도 Mac OS는 해당 파일의 종류를 정확히 인식한다. 즉, MS Word 파일인 abc.doc 파일의 확장자를 abc.bmp라고 바꿀 경우 윈도에서는 해당 파일을 클릭하면 그 파일이 실제로 doc 파일임에도 불구하고 확장자에 의해서 "그림판"을 실행시키겠지만, Mac OS에서는 여전히 MS Word를 실행시킨다. [13] 다만, 이로 인하여 파일 호환성에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resource fork가 없는 DOS/윈도/UNIX로 맥에서 작성한 파일을 전송할 경우 resource fork가 삭제되므로 파일을 보내거나 받는 쪽에서 손으로 확장자를 붙여주어야 한다. 다만, DOS 등에서 맥으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Mac OS가 확장자를 판독하여 자동으로 생성자/타입 코드를 붙여주었다. UNIX화된 OS X에서는 리소스 포크와 생성자/타입 코드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UNIX와의 호환성을 위해 리소스 포크의 활용이 권장되지 않고 오히려 확장자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4 macOS과의 관계

별로 관계 없다.(…)

현행 macOS(이전 이름 Mac OS X)가 이어받은 것은 '버전 넘버링' 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실제로 macOS의 원래 이름이던 "Mac OS X"의 "X"는 알파벳 엑스가 아니라 로마 숫자 10을 나타내는 것으로, Mac OS의 버전 10임을 표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프로그램 아키텍처 상으로는 현행 macOS는 9버전 이전의 Mac OS보다는 NeXTSTEP의 후속 버전에 더 가깝다. 따라서 클래식 Mac OS과 macOS는 아키텍처도 다르고 맥 OS 9의 애플리케이션도 기본적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냥 완전히 다른 운영 체제.

Mac OS X 초창기에는 클래식 환경(맥 OS 환경)을 지원해 주기도 했지만, 누가 하위호환의 무덤 애플 아니랄까봐 10.5에서 금방 종료되었다.[14] 지금도 어딘가[15] 에는 클래식이 지원되는 10.4 타이거가 돌아가는 PowerPC 맥이 살아있을 것이다(…).

루머에 따르면 WWDC 2016에서 현재 OS X의 이름을 버리고 Mac OS로 이름을 다시 바꾼다는 얘기가 있다. 현재 애플의 운영체제들이 전부 iOS, tvOS, watchOS 처럼 라임이 걸리기 때문에 이걸 맞추기 위해 OS X를 Mac OS로 돌려놓을 수 있다고 한다. 뿐만아니라 WWDC 2016에서 발표될 새로운 iOS도 iOS 10이 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OS X 두개가 생겨버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Mac OS가 다시 애플의 컴퓨터 운영체제 이름이 될 가능성이 있다.

결국 WWDC 16 에서 차기 OS인 '시에라' 를 발표하면서 이름이 다시 되돌려졌다. 다만 표기방식에서 미묘하게 차이가 있는데 Mac OS가 아니라 macOS 로 공개되었다.

5 윈도우와 공생(?)

맥 OS가 지원하는 PowerPC CPU윈도우가 지원하는 x86 CPU는 별개라서 윈도우를 매킨토시에, 맥 OS를 PC에 설치할 수 없다.
하지만 인시그니아 솔루선의 소프트윈도우[16]나 코넥틱스사의 버추얼PC[17]같은 x86 에뮬레이터를 이용하면 윈도우를 Mac OS에서 어느정도 쓸수 있다. 반대로 Mac OS를 윈도우에서 쓸려면 SoftMac[18]이나 vMac, SheepShaver, Basilisk 같은 매킨토시 에뮬레이터를 쓰면 윈도우에서 Mac OS를 구동할 수 있다. SheepShaver를 사용하면 OS X이 돌아가는 인텔 CPU가 탑재된 신형 맥에서도 구형 맥 OS를 구동할 수 있다.

x86 호환 확장 카드도 있었는데 카드에 인텔 CPU가 박혀있는 물건이었다. 당연히 비쌌지만 그만큼 속도와 호환성은 좋았다.
  1. Windows 95가 널리 보급되기 전
  2. 최초의 맥은 플로피디스크로 부팅했다.
  3. 맥의 마더 보드에 해당한다. 감성이(...) 담긴 이름.
  4. 조그만 ROM에 OS의 각종 필수요소들을 프로그램해 넣는 일은 당시 가능했던 모든 꼼수가 동원된, 곡예에 가까운 일이었다고 한다.
  5. DOS를 Disk Operating System이라 풀어쓰면 Disk가 옵션인 당시 컴퓨터라면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운영체제의 많은 부분을 롬에 넣었다 해도 이상하지 않음을 알 것이다.
  6. 로제타라 불린다.
  7. 여러가지 의미로...
  8. 시스템의 설정을 하나의 DB에 모아 관리하는 레지스트리 자체는 매우 효율적인 것이지만, 꼬이게 되면 시스템 전체가 작동불능이 될 위험이 있다.
  9. 이 속성을 수정하는 도구 중 무료로 구할 수 있는 것이 애플이 만든 리소스포크 편집기인 resEdit이라서 해당 속성이 리소스포크에 있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았다.
  10. 맥에서는 파일을 크게 실행 파일과 도큐멘트로 구별한다. 실행 파일은 말 그대로 실행파일, 도큐멘트는 실행파일에서 작성한 문서, 그림 등 데이터 파일.
  11. 예컨대 MS Word에서 작성한 txt 파일의 경우 생성자 코드는 "MSWD"고, 타입 코드는 "TEXT"다. MS Word에서 작성한 doc 파일이라면 생성자 코드는 "MSWD", 타입 코드는 "WDBN"이다. 이 경우 두 종류의 파일은 다르지만 생성자가 모두 MSWD이므로 두번 클릭하면 모두 MS Word를 실행시켜 해당 파일을 열게 될 것이다.
  12. 개발자가 애플에 제출하여 중복되는 것이 없는지 확인을 받아야 한다. 원조 앱스토어?!
  13. 단, 리소스 포크 편집기로 리소스 내의 생성자/타입 코드까지 변경해준다면 Mac OS도 Quicktime 등의 뷰어를 실행시킬 것이다.
  14. 하지만 상용 클래식환경(Classic on Intel)이나 vMac, SheepShaver 같은 에뮬레이터를 쓰면 되지만...
  15. 구버전 QuarkXPress가 돌아가는 충무로의 인쇄소라든가...아니면 Mac용 고전게임을 버릴수없는 사람이라던가...
  16. 소프트PC에 윈도우를 밖고 내놓은(!!!) PC에뮬레이터. 이걸 개발한 인시그니아 솔루션은 FWB 소프트웨어에 매각되었다. 그리고 2001년3월31일에 지원중단 및 개발중단. 업그레이드 형식으로 Voodoo도 지원한다.
  17. 2003년도에 마이크로소프트에 매각되었다.
  18. Emulators .inc에서 개발한 매킨토시 에뮬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