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una

마이리스트
트위터
피아프로
유튜브

1 개요

니코니코 동화에서 VOCALOID 오리지널 곡을 투고하는 작곡가. 2015년 7월 22일에 첫 번째 메이저 앨범 꽃과 물엿, 막차 를 발매함으로써 메이저 데뷔를 하였다.
정식 표기는 n-buna로 명시하고 있지만, 읽는 방법인 나부나(ナブナ)도 혼용하여 사용한다. 이 항목도 나부나로 검색하여 들어올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보컬로이드는 하츠네 미쿠, GUMI. 초기에는 발음이 살짝 어눌하거나 조교가 곡에 맞지 않았지만, 이후 점점 나아지게 된다. 전체적인 노래의 조교를 보면 약간 먹먹하고 불안정하거나 우는 듯한 목소리가 큰 특징. 극장애가 투고 이후에는 SF-A2 개발코드 miki도 꾸준히 사용하고 있다.[1] IA THE WORLD의 10번째 앨범에 IA버전의 새벽과 반딧불을 수록했다.

투고 초창기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2013년 2월 19일에 투고된 투명 엘레지가 큰 히트를 치면서 일약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투고된 갯나리 해저담, 새벽과 반딧불, 메류도 밀리언을 달성하는 등, 대박을 터뜨리면서 VOCALOID 유명 프로듀서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주로 같이 활동하는 일러스트레이터는 아와시마, No.734가 있다. 둘 다 나부나의 곡에 맞게 일러스트와 영상을 제작한다는 소리를 듣는다. 이 두 일러스트레이터가 맡은 VOCALOID 오리지널 곡은 대부분 나부나의 곡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두 일러스트레이터의 그림들은 각각 개성이 강해서 구별하기 쉬운 편. [2] 아와시마가 일러스트를 맡은 노래중에 밀리언을 달성한 노래는 투명 엘레지, 갯나리 해저담이 있고, No.734가 일러스트를 맡은 노래중에 밀리언을 달성한 노래는 새벽과 반딧불,메류가 있다.

밀리언을 달성한 곡들(새벽과 반딧불,갯나리 해저담)은 따로 어쿠스틱 어레인지를 해서 불러보았다로 올린다.
나부나 특유의 여리면서 나긋나긋한 목소리와 어쿠스틱 기타의 통통 튀기는 소리가 굉장히 잘 어울린다. 나부나의 팬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는 걸 추천.
갯나리 해저담,새벽과 반딧불

2 디스코그래피

2.1 솔로 앨범

2.1.1 1st 동인 앨범 《커튼콜이 멈추기 전에》

트랙곡명번역보컬
1一人きりロックショー혼자서 록 쇼하츠네 미쿠, GUMI
2スロイド슬로이드하츠네 미쿠
3透明エレジー투명 엘레지GUMI
4アイラ[3]아이라SF-A2 개발코드 miki
5また雨が降ったら또 비가 내린다면하츠네 미쿠
6七月、影法師、藍色、ロッカー7월, 그림자, 남색, 로커GUMI, SF-A2 개발코드 miki
7夕立소나기-[4]
8背景、夏に溺れる배경, 여름에 빠지다하츠네 미쿠
9カーテンコールが止む前に커튼 콜이 멈추기 전에하츠네 미쿠
10ウミユリ海低譚갯나리 해저담하츠네 미쿠
11ハイカラ色の 하이컬러 색의하츠네 미쿠
12夜に染まるまで밤에 물들기 전에하츠네 미쿠
13劇場哀歌극장애가SF-A2 개발코드 miki
14さよならワンダーノイズ안녕히 원더 노이즈하츠네 미쿠
+Bonus Track [5]---

THE VOC@LOID M@STER 28에서 발매한 앨범. 총 14트랙이지만, 보너스 트랙 하나가 숨어있다.

2.1.2 1st 메이저 앨범 《꽃과 시럽, 막차》

앨범 크로스페이드 영상.

오후 8시 15분[6], 창문 바깥에서 들려오는 파열음에 이끌려 얼굴을 들었다.

꽃이 피어 있었다. [7]

나부나의 첫번째 메이저 앨범. 2015년 7월 22일 발매. 일러스트와 자켓은 아와시마가, 앨범 디자인과 배경은 No.734가 담당하였다. '여름의 마지막의 1일'을 테마로 하고 있다.
기존 투고한 곡들은 조교를 새로하거나 반주에 살짝 어레인지를 가했으며, 투명 엘레지같은 경우는 조교와 반주를 둘다 갈아엎었다.
넘버링 되어있는 곡은 총 11트랙이지만, 넘버링이 되어있지 않은 곡 까지 총 15트랙. 테마에 맞지 않은 곡들은 넘버링에서 제외시킨 듯 하다.
여담으로, 크로스페이드 영상 처음에 앨범에 수록되었으며 니코동에 투고한 곡의 PV 장면이 몇 개 지나간다. 갯나리 해저담, 무인역, 새벽과 반딧불이, 메류. 또한 곡이 흘러나올 때 차창 밖으로 보이는 배경은 각 곡을 이미지화한 것이다.

트랙곡명번역보컬
01もうじき夏が終わるから곧 여름이 끝나니까하츠네 미쿠
02無人駅무인역miki
03始発とカフカ첫차와 카프카하츠네 미쿠
ウミユリ海低譚갯나리 해저담하츠네 미쿠
04昼青푸른 낮하츠네 미쿠
05拝啓、夏に溺れる[8]배계[9], 여름에 빠지다하츠네 미쿠
06ヒグレギ히구레기하츠네 미쿠
透明エレジー투명 엘레지GUMI
07夜祭り前に밤 축제 전에-[10]
08メリュー메류하츠네 미쿠
09着火、カウントダウン착화, 카운트 다운miki
敬具경구[11]-[12]
10ずっと空を見ていた쭉 하늘을 보고 있었어miki
11夜明けと蛍새벽과 반딧불하츠네 미쿠
花と水飴、最終電車꽃과 시럽, 최종전차하츠네 미쿠

2.1.3 2nd 메이저 앨범 《달을 걷고 있어[13]

2016년 7월 6일 발매한 메이저 2집. 발매와 동시에 앨범과 동명의 라이브를 발표하기도 했다. 라이브 날짜는 2016년 8월 14일.

앨범 자켓과 디자인은 No.734가, 동화의 일러스트는 아와시마가 맡았다.

봄을 기다리는 가슴이 괴로워.

나부나입니다. 이번 앨범의 테마는 「동화」와 「」.

크로스페이드 영상.

여름열차를 테마로 한 전작과 다르게, 동화를 테마로 한 콘셉트 앨범. [14]. 앨범 발표 이전에 투고된 白ゆき를 포함해 전곡이 신곡으로 꽉 찬 앨범. 단순히 곡마다 동화의 스토리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나부나 개인의 재해석이 들어가 곡마다 독특한 스토리를 가진다.

사용한 보컬로이드는 하츠네 미쿠. SF-A2 개발코드 miki의 곡이 하나 있긴 하다.

특설 사이트에서 곡마다 나부나 자신이 해석을 달아두었다. 단, 가사가 있는 곡 한정.

여러 동화를 테마로 하고 있어서 그런지[15] 곡 스타일이 전보다 다양해졌다. 전작보다 다양한 장르를 시도한 것이 특징. 전체적으로 사운드가 어쿠스틱해졌고, 바이올린을 위시한 현악기의 사용으로 기존의 곡에서 느껴지던 나부나 특유의 먹먹한 서정성이 강조된 곡들이 다수 수록되어있다. 밴드 사운드를 기초로 해서 여러 악기를 더해서 사운드가 굉장히 풍성해졌다. 단, 투명 엘레지에서 보여주던 날카로운 신디사이저의 사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나부나의 인터뷰에서 1집에서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나부나의 느낌'을 중심으로 곡을 썼다면, 이번 앨범에선 피아노 락과 같이 좀 더 본인이 하고싶었던 사운드나 곡을 썼다고 밝혔다.

2016년 3월 12일, 백설공주(白ゆき)가 투고되었다. 이때는 아직 앨범 발표 전.

2016년 5월 7일, 꽃내림(花降らし)이 투고되었다. 이전의 노래들과는 사뭇 다른 스타일을 들려주며 2집이 발매된다는 소식을 팬들에게 알렸다.

2016년 7월 6일, 라푼젤(ラプンツェル)이 투고되었다. 3월과 늑대소년이 투고될 것이라는 팬들의 예상과 다르게 템포가 느린 발라드 록인 라푼젤이 투고되자,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았다. 화려했던 위의 두 곡과 다르게 PV가 정적인 것도 특징.

트랙곡명번역보컬모티브로 한 동화
01モノローグ모놀로그- [16]-
02ルラ루라하츠네 미쿠신데렐라
03三月と狼少年3월과 늑대소년SF-A2 개발코드 miki양치기 소년
04歌う睡蓮노래하는 수련하츠네 미쿠인어공주 [17]
05花降らし꽃내림하츠네 미쿠빨간구두
06落花낙화- [18]-
07泣いた振りをした우는 척을 했어하츠네 미쿠없음. [19]
08白ゆき백설공주 [20]하츠네 미쿠백설공주
09ラプンツェル라푼젤하츠네 미쿠 Append라푼젤
10落陽낙양- [21]-
11白ゆきの独白백설공주의 독백[22]-
12セロ弾き群青첼로 켜기 군청하츠네 미쿠첼로 켜는 고슈 [23]
13それでもいいよ。그래도 괜찮아.하츠네 미쿠헨젤과 그레텔
14かぐや카구야하츠네 미쿠카구야 공주 이야기
15エピローグ에필로그- [24]-
+Bonus Track [25]「カエルのはなし」개구리 이야기-없음. [26]

2.2 참여 앨범

2.2.1 《IA THE WORLD ~心~》

8夜明けと蛍새벽과 반딧불IA

2014년 10월 8일에 발매된 IA THE WORLD에 새벽과 반딧불 IA 버전이 수록되었고, 이후 동년 11월의 하츠네 미쿠 버전이 투고되었다. 엄밀하게 말하면 이쪽이 원곡.

2.2.2 《알코올의 이장》

5ウミユリ海底譚갯나리 해저담GUMI[27]
6宵の星초저녁의 별하츠네 미쿠

THE VOC@LOID M@STER 31에 Eight, 누유리와 발매한 앨범이다. 각 작곡가마다 어레인지 한 곡, 신곡 한 곡씩 총 6곡이 수록되었다.

2.2.3 《세기말 종말론》

2ライフライトブルー라이프 라이트 블루하츠네 미쿠

코미켓 88에 발매된, 종말론을 주제로 한 보컬로이드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2.2.4 《번져가는 전파와 소행성》

2また雨が降ったら다시 비가 내린다면니지미네 카코이
보컬로이드 파라다이스 관서 3에서 발매된 UTAU 니지미네 카코이의 컴필레이션 앨범이다. 나부나 동인 1집 발매 이후 판매된 앨범이기에, 셀프커버로 볼 수 있다.
  1. 누유리의 곡인 'DE-Pression'에서 Vocal programing(조교)를 맡게 되었는데, 이 때 카가미네 린을 사용한 적이 있다.
  2. 둥글둥글하고 귀여운 그림체에 애니메이션이 많은 PV이면 아와시마, 유려하고 섬세한 일러스트에 움직임이 적은 PV라면 No.734 로 구별하는 식.
  3. 투고된 버전과 곡 진행이 살짝 다르다. 사용한 보컬로이드도 다르다. 투고판은 GUMI를 사용하였다.
  4. inst 트랙.
  5. 갯나리 해저담의 피아노 어레인지.
  6. 니코동에 업로드 되어있는 크로스페이드 영상에는 20시 15분이라 적혀져 있지만, 유튜브에 투고된 크로스페이드 영상에는 오후 8시 15분으로 작성되어 있다.
  7. 크로스페이드 영상의 투고 코멘트.
  8. 제목의 배계의 읽는 법은 '하이케이'로, 투고 버전인 '배경, 여름에 빠지다'의 '배경'과 읽는 법이 같다.
  9. 편지 첫머리에 의례적으로 쓰는 말이며, 삼가 아뢰며 정도의 뜻으로 해석된다.
  10. inst 트랙.
  11. 편지 끝에 쓰는 말로, 삼가 아뢴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12. inst 트랙.
  13. 月を歩いている
  14. 대부분 서양 동화를 모티브로 했지만, 미야자와 겐지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곡도 있으며, 카구야 공주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곡도 있다.
  15. 신데렐라, 양치기 소년, 빨간구두, 백설공주 외 다수.
  16. inst 트랙. 크로스페이드 도입부에서 흐르는 것이 이 트랙이다.
  17. 그리스 로마 신화의 세이렌도 참고한 듯 하다. 참고로 수련의 일본어 독음과 세이렌의 독음은 같다.
  18. inst 트랙.
  19. 나부나의 오리지널 창작이며, 동화를 쓰는 사람의 이야기이다.
  20. 원제인 Snow White를 그대로 일본어로 직역한 것. 읽는 방법은 시라유키.
  21. inst 트랙. 뒷 트랙과 이어진다.
  22. inst 트랙. 앞 트랙과 이어진다.
  23. 은하철도 999에 모티브를 제공한 '은하철도의 밤'과 '쏙독새의 별'로 유명한 일본의 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의 단편동화이다. 첼로를 켜는 주인공과 동물들의 교감을 주제로 한 동화이며, 1982년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24. inst 트랙.
  25. 초회한정반에만 수록. 넘버링되어있지 않다.
  26. 나부나의 오리지널 창작. 초회한정판에는 이 이야기의 동화책 버전도 딸려온다.
  27. 누유리의 어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