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케토리모노가타리

(카구야 공주 이야기에서 넘어옴)

1 개요

竹取物語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모노가타리. '타케토리 모노가타리(竹取物語)'가 일반적 이름이고 '타케토리 오키나 모노가타리(竹取翁物語解)'[1], '카구야 공주 이야기'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겐지모노가타리와 함께 한국에서도 어느정도 유명한 고전소설이다.

성립 연대는 정확하지 않고, 원본도 남아있지 않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본은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 작성된 것이지만, 10세기의 야마토 모노가타리나 우츠호 모노가타리 11세기의 에이카 모노가타리, 사코로모 모노가라티에 언급되기 때문에 적어도 10세기 이전의 작품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또한 겐지모노가타리에도 타케토리 오키나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적어도 10세기, 이르게는 9세기 후반의 정관연간인 890년대에 쓰여졌다고 보는게 통설이다.

아마도 구전설화를 중국후한서나 백씨문집(백거이의 시문집)의 영향을 받아 한문으로 기록했다가 히라가나로 옮긴것으로 추측된다. 또 이것과 관련된 고대문헌으로 탄고노쿠니 풍토기나, 만요슈 제16권등과 각종 구전 설화들이 꼽히기도 한다.

작자는 미상이지만 추측은 가능한데 작품의 내용상 학문을 한 인물이며, 어느정도 반체제적인 느낌이 감돌기 때문에 주류 집권층이었던 후지와라씨가 아닌 대척점에 서있는 귀족계층의 인물로서 한학은 물론 불교와 민간 구전전승에도 정통한 인물이었을 것이라 본다. 그래서 미나모토 가문의 인물들이나 불교쪽 인물들이 작자로 거론되기도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내용은 옛날에 타케토리 영감[2]과 그의 아내가 살았는데, 어느날 타케토리 영감이 대나무숲에 갔다가 빛나고 있는 대나무를 보고 이상하게 여겨 그 대나무를 베어 들여다보니 세 치(三寸)정도의 귀여운 여자아이가 있어서, 데려와 자신의 딸로 키웠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베어오는 대나무마다 안에서 돈이 나왔고 그 돈으로 타케토리 영감 부부는 유복한 삶을 살게 되었다.

대나무 안에서 데려온 여자아이는 무럭무럭 자라 3개월만에 이미 아가씨가 되었을 정도였다. 사람들은 이 여자아이를 대나무의 카구야 공주라 불렀다. 카구야 공주가 워낙 아름다워서 모든 남자들이 카구야 공주와 결혼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카구야 공주는 나와보지도 않았고 결국 카구야 공주와 어떻게든 결혼하고 싶어서 안달이 난 다섯명의 귀족들만이 남았다. 이들은 이시즈쿠리 황자(추정되는 실제인물은 타지히노 시마多治比嶋 624-701 ), 쿠라모치 황자(추정되는 실제인물은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 659-720), 우대신 아베노 미우시(추정되는 실제인물은 아베노 미우시阿部御主人 ?-703), 대납언 오오토모노 미유키(추정되는 실존인물은 오오토모노 미유키大伴御行 635-701 ), 중납언 이소노카미노 마로(추정되는 실존인물은 이소노카미노 마로石上麻呂 640-717 )였다.

이들이 끈덕지게 버티고 있자 타케토리 영감이 "내 나이가 벌써 70이라 언제 죽을지 모른다."라고 하면서 카구야 공주에게 결혼을 권했고, 이에 카구야 공주는 그들에게 "내가 말하는 것을 가져오는 사람과 결혼하겠다"라고 전하게 했다. 이시즈쿠리 황자에게는 부처의 바리때[3] 를, 쿠라모치 황자에게는 봉래산[4]의 옥가지를, 아베노 미우시에게는 불쥐의 옷을, 오오토모노 미유키에게는 용머리의 구슬을, 이소노카미노 마로에게는 제비가 낳은 자패[5]를 가지고 오게 했다. [6]

이시즈쿠리는 보통의 바리때를 가지고 부처의 바리때라고 사기를 치다가 발각되었고, 쿠라모치는 그럴듯한 가짜를 들고 3년동안의 알리바이까지 꾸미며 카구야 공주를 거의 속여넘겼으나 장인이 와서 발각되는 바람에 실패, 아베도 가짜를 들고 왔다가 불에 넣자 활활 타버려서 실패, 오오토모는 폭풍우 때문에 포기, 이소노카미는 찾아내는데는 성공했지만 그걸 가지러 오두막 위로 올라가다가 그만 떨어지면서 허리를 다치고 이를 위로하는 카구야 공주의 와카를 보고 상심하는 바람에 다 실패했다.

그녀의 이야기를 들은 덴노[7]도 그녀를 만나려 했지만 그녀는 거절했다. 그러나 불시에 방문한 덴노에게 그만 모습을 들키고 만다. 일순간에 자취를 감추어 자신이 지상의 사람이 아님을 보이자 덴노도 결국 단념했다. 그러나 그녀와 와카(단가)를 주고받는 것은 할수 있게 되었다.

덴노와 그렇게 와카를 주고 받으며 보낸지 3년, 카구야는 달을 보며 생각에 잠겼다. 그러다 8월 보름이 다가오자 그녀는 울게 되었다. 타케토리 오키나가 그 이유를 묻자 그녀는 "나는 원래 지상의 사람이 아니라 달의 사람인데 15일이 되면 하늘에서 자신을 데리러 올 것이다."라고 했다. 타케토리 영감은 덴노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덴노는 그것을 막으려고 타케토리 영감의 집에 군대까지 보내서 지키게 했지만 하늘의 사람들이 내려오자 막을 의지를 상실하고 만다.

카구야는 덴노에게 불사약과 날개옷[8], 그리고 덴노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적은 시를 주고 떠났지만 덴노는 "사랑하는 사람이 없는 세상에서 영원의 생명따위는 아무 필요가 없다."하며 불사약을 스루가노쿠니의 하늘과 가장 가까운 산에 가서 태워 없애게 했으며 오늘날 후지산이 되어 후지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이유가 되었다. 이 산을 후지산이라고 부르는데는 크게 두가지 설이 있는데 병사(士)가 많다(富)고 해서 붙었다는 설과 불사의 약을 태움으로 산이 다하지 않게 되었다(不盡)라는 뜻의 설이 있다. 어느 쪽이든 타게토리모노가타리의 영향을 받은 것은 틀림없다.

2

다음은 카구야 공주와 관련된 시이다.[9]

<덴노가 지은 시>

만나는 것도
눈물 어린 내 몸에는
죽지 않는 약도 무슨 의미가 있는 걸까

<용목의 구슬 관련 시>

내 활의 힘이라면 용이 나타나더라도
화살로 쏴 죽이고
목의 구슬을 가지고 올 수 있을 것이다

<봉래산의 구슬의 가지 관련 시>

진품인가 하여 살펴보니
입담으로 장식한 옥가지로다.

<불쥐의 옷 관련 시>

한없이
사랑의 불꽃에도 타지 않는 옷을 얻어서
눈물로 젓은 소매도 마르고 오늘은
당신을 만날 수 있도다
흔적도 없이
타버린다는 것을 알고 있었더라면 그 아름다운 옷을
진품인지 아닌지를 탐색하며 불 속에 넣지 말고 밖에
두고서 바라보고 지냈을 텐데

<제비고둥 관련 시>

오랫동안 여기에 들르지 않으시는데
파도 치지 않는 스미노에의 호숫가에는
소나무도 조개도 없고 고둥의 조개를 기다리는
보람도 없다는 게 정말인가

<부처의 바리때 관련 시>

츠쿠시를 떠나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 온힘을 다해도
끝이 안보이는 바리때 찾기에 피눈물을 흘렸습니다.

풀잎에 맺힌 이슬 만큼도 빛나지 않는군요.
어둡다는 이름의 오구라산에서 도대체 무엇을 찾아온 건지.

<천녀의 옷 관련 시>

이제서야 이 지상과 헤어지려고
천녀의 옷을 입을 때가 왔는데
당신이 사랑스럽게 여겨저 마음이 괴롭습니다

3 그 외

일본에서는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로 여러 매체들에서 이 이야기를 어레인지해서 다루었다. 마츠모토 레이지천년여왕이나[10], 이누야샤 극장판 '거울 속의 몽환성', "울트라Q-더 무비성의 전설"등이 이 이야기에서 모티브를 얻은 작품들이다. 동방 프로젝트호라이산 카구야도 이 이야기의 카구야 공주를 모티브로 한 인물이며, 후지와라노 모코우야고코로 에이린도 설정상 관련이 있다. 검용전설 야이바의 등장인물 카구야 공주(YAIBA)도 이 이야기가 모티브. 일단 은혼가구라도 카구야 공주가 모티프라고 주장…한다(…).

2013년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타카하타 이사오 감독이 가구야 공주 이야기로 애니메이션화했다.
  1. 타케토리 오키나(竹取 翁, 대나무를 줍는 노인, 즉 대나무를 주워다 팔아 연명하는 노인)의 이야기.
  2. 타케토리는 대나무 장수라는 뜻이고 본명이 사누키노 미야츠코, 즉 사누키 땅에 사는 미야츠코다.
  3. 바리때는 승려의 밥그릇으로 수행자들은 옷과 바리때 만을 가지고 다녔다.
  4. 고대 보하이 만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의 산. 불사약을 만드는 신선이 산다고 한다.
  5. 자패(紫貝) 또는 자안패(子安貝), 순산의 상징
  6. 물건들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결혼할 마음이 없다는 소리다.
  7. 원문에서는 미카도(帝)
  8. 이 옷을 입으면 더러운 지상의 기억을 모조리 잊게 된다고 한다. 여기서의 더러움은 위생적인 개념이 아니라 신토 특유의 사상을 의미로서 신성함과 대립되는 소재를 이야기한다.
  9. 출저가 불분명하니 수정바람. 이누야샤 극장판 '거울 속의 몽환성'에서는 이 시가 변형되어 등장했다.
  10. 천년여왕의 부제가 신죽취물어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