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els per inch

  • 상위 문서: ppi

1 개요

ppi.png
PPI는 Pixels Per Inch의 약자로서 해상도의 밀도 단위이다. 20ppi라고 하면 1인치에 픽셀 20개가 있다는 의미이다. 픽셀(Pixel)이 단위 길이당 얼마나 조밀하게 표현되는가를 뜻하며, 이것이 낮으면 네모 반듯한 픽셀이 눈에 거슬리고, 높으면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보게 된다.

한국어로는 '화소 집적도', '화소 밀도'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아직 공식적으로 표준화된 표기가 없는 상태이다.

2 ppi vs dpi

DPI_and_PPI.png
둘의 차이는 'Dot'와 'Pixel'로서, 'Dot'란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 또는 그에 상응하는 점[1]을 말하며, Pixel은 디스플레의를 구성하는 한개의 점을 말한다. 결국 단위길이당 찍힌 점의 개수라는 맥락에서는 두 단위는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사용처에 따라 ppi와 dpi의 구분은 필요하다. display unit에는 ppi 단위를 사용하고, printing unit에는 dpi 단위를 쓴다. ppi는 모니터의 속성이며 모니터나 OS의 설정을 바꾸지 않는 한 ppi는 변하지 않는다. dpi는 파일의 속성으로 파일 편집 작업시 확대를 해서 작업을 하든, 축소를 해서 작업을 하든 최종 결과물의 해상도는 지정된 dpi로 출력된다. (프린터 성능이 낮으면 낮은 해상도로 인쇄될 수는 있다.) dpi와 ppi가 같으면 이런 구분이 무의미하겠지만, 인쇄물에 따라 모니터를 바꿔가며 작업할 수는 없기 때문에 작업시 dpi를 염두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굳이 인쇄를 하지 않고, 모니터로만 많은 컨텐츠를 소비하기 때문에 dpi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해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특히 안드로이드에서) dp라는 개념을 만들어 ppi가 다른 디스플레이에서도 비슷한 길이(inch 등)의 글자,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해상도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3 ppi vs 해상도

해상도가 높을수록 자세한 정보를 담을 수 있어 표현력이 좋아진다. 해상도 참고.

ppi가 높을수록 한 공간에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 "세밀한 표현"이 가능해진다. 즉 사진이나 동영상을 높은 ppi를 가진 디스플레이로 보게 되는 경우 이미지의 계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화상 품질이 높아진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ppi가 높아지는 것을 사람들이 선호하는 이유이다.

낮은 ppi에 고해상도는 크기(inch)가 커진다. 가령 이미지 파일은 모니터를 가득 채우는, 혹은 그 영역을 넘어버리는 크기로 표현된다.

높은 ppi에 저해상도는 크기(inch)가 작아진다. 가령 이미지 파일은 모니터 한켠의 작은 이미지의 크기로 표현된다. 단말기의 아이콘이나 각종 조작 버튼과 같이 사용자가 조작을 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관련 출력물들(=UI, UX)은 PPI가 높아질수록 사이즈가 압축되어 작아진다. 두 개의 24인치 모니터에 윈도우즈를 켜 놓고 각각 1920x1080 해상도와 1024X576 해상도를 실제 화면에 출력했을 때 1920x1080쪽 시작 버튼이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주로 터치 디바이스에서 크게 체감되는 문제인데, 아이콘이 손끝보다 작아지면 이를 조작하기 힘들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과하게 높은 ppi에 거부감을 갖는 사람들이 있는 이유이다.

같은 해상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사이즈가 작을수록 ppi가 높다. 같은 FHD 해상도라도 23"모니터보다 5"스마트폰의 ppi가 높다. 사용자 네비게이션의 배치나 구성을 고 ppi 단말과 저 ppi 단말과 다르게 구성해야 하기도 한다. 갤럭시 S III갤럭시 노트 2를 예로 들자면, 둘은 해상도가 같지만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다르며, 갤럭시 S III는 작은 4.8인치에 높은 305.96ppi, 갤럭시 노트 2는 큰 5.5인치에 낮은 267.02ppi이다. 단말기 기본 런처 앱스를 보면, 갤럭시 S III는 4x5 배치로 20개의 아이콘을, 갤럭시 노트 2는 5x5 배치로 25개의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는 사이즈의 차이가 있다. 만약 갤럭시 S III가 갤럭시 노트 2처럼 아이콘을 배치한다면 아이콘의 사이즈가 작아져서 조작이 불편해질 것이란 것도 예상할 수 있다. 만약 비트맵 기반 아이콘을 사용한다면, 저해상도용 고해상도용 아이콘을 따로 만들어야 하기도 한다. 애플(아이폰,아이패드)은 벡터 기반 아이콘을 사용해버려 해상도와 사이즈 문제를 단순 확대/축소로 해결하기도 했다.

4 ppi vs 면적 당 화소수

간혹 ppi를 면적 당 화소수로 착각하기도 한다. Pixels Per Square Inch, 즉 단위 제곱 인치당 픽셀의 와 혼동하지 말자. 가로 세로 각각 1인치인 정사각형의 디스플레이 안에 100 x 100 픽셀이 들어가면 이 그림의 해상도는 100 ppi가 되며 10,000 Pixels Per Square Inch가 된다.

ppi 계산 방법은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거, 가로 세로를 각각 a(가로 한변을 따라 존재하는 픽셀의 총 갯수), b(세로 한변을 따라 존재하는 픽셀의 총 갯수)로 하고 a²+b²=c² 로 대각선 픽셀값 c를 구한 후 이를 대각선 길이(인치 단위)로 나눠주면 된다. 계산이 귀찮다면 여기 참고. 그냥 가로 한변 픽셀 개수를 가로 길이로 나누면 되는 것 아니었나보다(...) 픽셀이 원이 아니라 정사각형이라 길이를 재는 방향에 따라 ppi가 바뀔 수도(...)

5 주요 dpi(ppi)

당대 널리 쓰인 모니터와 인쇄물의 ppi와 dpi가 일치되는 dpi, 고해상도 시대의 시작을 알린 dpi 등, dpi/ppi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숫자.
참고로 시청 거리에 따른 적정 PPI를 함께 보면 좋다.

  • PPI 그거 먹는 건가요
    • PPI라는 개념은 2010년 이전에만 해도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개념이 아니었다. PPI보다는 인쇄용인 dpi가 주로 언급되었고, 디스플레이용으로는 해상도만 주로 언급되었었다. 컴퓨터의 경우 VGA 에서 HD 해상도로 넘어오는 동안 해상도와 모니터 크기를 동시에 키우는 바람에 ppi가 높아질 기회가 없었고, 본격적인 '보는 소형 휴대기기'가 시작된 PMP 디바이스가 막 생겨날 무렵만 해도 4~5인치 디스플레이에 800X600 디스플레이가 사실상 표준 지위로 널리 쓰였다. 그리고 '작은 사이즈에 높은 해상도를 넣으면 전력만 많이 먹고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PPI에 의미를 둘 수 없었던 상황을 만들었었다.
  • 72 dpi(ppi)
    • 타이포그래피의 포인트 단위. 1 pt = 1/72 inch
    • 14인치 800x600 해상도 모니터나 17인치 1024x768 해상도 모니터의 dpi/ppi. 소위 "웹에 최적화된 dpi"라고 해서 포토샵 기본값으로 오래도록 많이 보였던 수치였었다. "이 사이트는 IE6 1024x768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넷츠케이프는 지원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당당하게 썼던 시절의 얘기다.
  • 96 dpi(ppi)
    • 23인치 1920×1080 해상도 모니터의 dpi/ppi. 윈도우 운영체제는 모니터의 기본 dpi 값을 96dpi로 잡고 있으며 이 해상도에서 사용할 것을 전제로 글자 및 아이콘을 디자인 하였다. 클리어타입 폰트로 "서브픽셀 렌더링"을 시전하면 3배(RGB)인 288 dpi의 ppi로 폰트를 표현할 수 있기도 하다.
    • 경쟁사의 레티나 디스플레이 이후, Windows 8에서 HiDPI라는 고 PPI를 지원하지만, FHD가 사실상 표준지위를 누려왔던 만큼, 기존에 사용하던 구형 프로그램들은 이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150 dpi(ppi)
    • 문서용 보통 품질의 프린터에서 적용되는 dpi. 적당히 무난한 화질을 보여준다.
    • 저가 소형 휴대기기의 ppi로 주로 적용된다. 4~5인치 디스플레이에 800X600의 구형 기기 역시 이 ppi 범주 안에 들어가며, 7~8인치 HD급 태블릿에서도 적용되는 ppi이다.
  • 200 dpi(ppi)
    • 노트북용 레티나 디스플레이. 망막이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고해상도를 구현하려면 300dpi까지 가야 하지만, 컴퓨터 모니터는 멀리서 보기 때문에 괜찮다카더라
    • 2014년형 맥북 프로는 13.3인치에 2560x1600 해상도를 구겨넣어 226.98ppi의 화소 집적도를 구현하였다.
    • FHD 이후, QHD (3200x1800 해상도) 패널을 장착한 노트북들이 이 범주의 ppi를 갖는다. 대표적으로 Razer Blade 14인치AORUS X3 Plus 모델이 있다. 다만, 밝기, 배터리, 픽셀배열(펜타일) 등의 문제와 윈도우 레거시 앱의 HiDPI 미지원문제 때문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잘 팔리지는 않는 모양.
  • 300 dpi(ppi)
    • 일반 가정용 프린터의 고품질 인쇄시 출력되는 해상도.
    • 레티나 디스플레이. 눈으로 픽셀의 계단현상을 거의 분별할 수 없는 정도의 고해상도.
    • 2010년 애플(기업) 사가 아이폰 4를 출시하면서 레티나 디스플레이용어를 사용한 이후로, 삼성 등 경쟁 업체에서도 고PPI 디스플레이 제품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PPI 개념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PPI가 곧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잡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 그런데 이미 FHD 해상도의 스마트폰은 충분히 300ppi를 넘겼다. 보급형 스마트폰들이 FHD 해상도를 채택하는 이유이다. HD 해상도 스마트폰은 저급형 스마트폰(...)
  • 600 dpi(ppi)

6 주요 디바이스별 ppi

주요 디바이스군 별로 시판되는 모델을 예로 들어 ppi라는 단위의 범위를 파악하기 쉽도록 알리는 것이 목적으로, 특정 업체의 제품의 광고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님을 밝힙니다.

6.1 컴퓨터 모니터

디바이스명해상도크기ppi
알파스캔 AOC 22691920x108055.8cm(22인치)100.13
DELL Ultrasharp U2312HM1920x108058.4cm(23인치)95.78
LG전자 24MA53D1920x108060.9cm(24인치)91.79
삼성전자 T27C370KD1920x108068.6cm(27인치)81.59
Achieva Shimian QH27002560x144068.6cm(27인치)108.79

같은 27인치 모니터를 사더라도 2560x1440 해상도가 지원되는 모니터는 108.79의 ppi를 구현하지만, 1920x1080 해상도까지밖에 지원하지 않는다면 81.59의 ppi를 구현한다. 그만큼 화소의 집적도가 떨어지는 셈. 27인치 모니터로 전문가급 컴퓨터 작업을 처리할 사람들은 반드시 이 부분을 체크해야 한다. 전문가쯤 되면 그런 건 다 알겠지

6.2 노트북

디바이스명해상도크기ppi
ThinkPad X1 Carbon (2016)2560x144035.56cm(14인치)210
소니 VAIO SVT11215CK1920x108029.46cm(11.6인치)189.91
애플 맥북 프로 레티나(2014)2560x160033.78cm(13.3인치)226.98
HP 파빌리온 14-E038TX1366x76835.56cm(14인치)111.94
삼성 아티브북2 NT270E5U1920x108039.62cm(15.6인치)141.21
AORUS X3 Plus3200x180035.3cm(13.9인치)264.17
삼성 아티브북9 플러스NT930X3G3200x180033.7cm(13인치)282.42
Razer Blade Stealth UHD3840x216031.75cm(12.5인치)352.47

6.3 스마트폰

디바이스명해상도크기ppi
갤럭시 S 41920x108012.67cm(4.99인치)441.46
갤럭시 S 51920x108012.95cm(5.1인치)431.94
애플 아이폰 5s1136x64010.16cm(4인치)325.97
갤럭시 노트 31920x108014.48cm(5.7인치)386.47
갤럭시 노트 42560x144014.48cm(5.7인치)515.3
갤럭시 노트 엣지2560x160014.22cm(5.6인치)539.08
LG GX1920x108013.97cm(5.5인치)400.53
LG G32560x144013.97cm(5.5인치)534.04
LG G41440x256013.97cm(5.5인치)538
팬텍 VEGA 시크릿노트1920x108014.99cm(5.9인치)373.37
Sony XPERIA Z5 Premium3840x216013.97cm(5.5인치)801.06

6.4 태블릿 PC

디바이스명해상도크기ppi
애플 아이패드 에어2048x153624.64cm(9.7인치)264.1
애플 아이패드 미니 레티나2048x153620.07cm(7.9인치)324.28
갤럭시 노트 10.1 20142560x160025.7cm(10.1인치)298.9
갤럭시 노트 프로 12.22560x160030.99cm(12.2인치)247.45
소니 Xperia Tablet Z1920x108025.4cm(10인치)226.42
LG G Pad 8.31920x108021.08cm(8.3인치)272.79
  1. 최근 3D 프린터의 등장으로 '점'의 개념이 기존 2차원의 dot에서 3차원의 voxel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