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바운드/몬스터

게임 스타바운드의 세부항목들
등장
종족

에이펙스

아비안

플로란

글리치

인간

하이로틀

노바키드

그외 종족
세계관환경몬스터마을 / 던전아웃포스트
퀘스트미션문서(구판)등장인물
아이템블록가구자원소모품
도구무기장비 / 패션제작대
그외
항목
식민지 건설우주선모드 / 모딩테크
베타 테스트OST커맨드플레이 팁

1 개요

게임 스타바운드에 등장하는 몬스터.
우주선의 네비게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는 행성의 위험도에 따라 몬스터의 체력과 공격력이 결정된다.

가장 자주 비교되는 테라리아의 경우 하나의 거대한 맵이라서 몬스터를 세분화하여 수많은 특색을 가진 몬스터들이 존재하지만 스타바운드는 온 우주를 들쑤시고 다니는 게임이고 수천가지의 행성들에 각자 특색있는 몬스터를 만들다간 인류가 정말 우주에 맘대로 나갈 수 있는 시대까지도 게임이 완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몇가지의 종류와 모습이 무작위로 결정되고[1] 이러한 특징들을 무작위로 조합해서 매우 다양한 몬스터들을 생성하는 시스템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행성의 위험도에 따라 몹들의 스탯도 달라진다. 대부분 포켓몬스터에 나올 것만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공격 방식은 그냥 닥돌해서 싸닥션을 날리는 것부터 입에서 레이저포를 마구 쏴대는 비범한 몹까지 여러가지가 있다. 또, 포악한 몬스터들과 중립적인 몬스터들로도 구분할 수 있다.

보스몹을 포함한 유니크 몬스터들은 낮은 확률로 자신의 형상의 작은 피규어 아이템을 드롭한다. 희귀 아이템 수집에 관심이 있으면 참고.

2 펫 시스템

추가바람

3 크리터

여러 장소에서 출현하는 야생 생물들. 플레이어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배경 몬스터다. 종류는 총 84 종으로 매우 다양하며 타 몬스터들에게 공격 받지 않는 대신 플레이어에게는 한방에 죽는다. 포획은 불가능하며 이주기로 장전해 옮길 수 있다.

3.1 벌레

추가바람

3.2 물고기

상단의 크리터들과는 별개로 오직 낚시로만 볼 수 있는 물고기들. 바다, 독 바다, 얼음 바다, 마그다 바다의 네 곳에는 각각 12종의 낚시 물고기들이 존재하며 이 물고기들은 수집품 항목에 포함된다. 또한 낚은 물고기들을 이주기를 사용해 전시해서 수족관을 차릴 수도 있다. 낚시에 대해서는 도구 항목 참조.

물고기들은 다른 수중 몬스터들과는 달리 지상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 숨을 쉬지 못해 결국 죽어버린다. 또한 종류에 관계없이 무조건 날 생선을 하나 얻을 수 있다.
각 물고기들에겐 희귀도 등급이 있으며 등급마다 추가 드랍하는 아이템이 각각 다르다.

  • 흔함 : 픽셀 (30%)
  • 드묾 : 픽셀 (97%), 낚시 부품 (3%)
  • 희귀 : 픽셀 (30%), 낚시 부품 (30%), 조작기 모듈 (15%), 기술 카드 (12.5%), 다이아몬드 (12.5%)
  • 전설 : 낚시 부품 (40%), 애완동물 목줄 (15%), EPP 장착품 (15%), 악기 (15%), 패션 장비 (15%)

다만 이건 낚은 직후 한정이고, 이주기로 한번 장전시켰다가 다시 내보내면 그냥 평범한 크리터가 되어버린다. 즉 지상에서 자동으로 죽지도 않고, 아무것도 드랍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희귀도가 높을 수록 출현률이 낮아지며 특히 전설급 물고기들의 출현률은 굉장히 낮기 때문에 한번 보기가 매우 어렵다. 게다가 원하는 물고기가 나왔더라도 다른 흔한 물고기들이 먼저 미끼를 물어버리면 도망가버리기 때문에 낚는건 더더욱 어렵다. 여러모로 운에 맡겨야 하는 편.

다음은 물고기들의 목록. 출현 조건으로는 바다, 수심, 시간대가 있으며 행동 패턴에 따라 미끼를 물기 전 물고기들의 움직임이 다르다.

이름소개문바다희귀도크기행동 패턴수심시간대
Jerkfish.png
Jerkfish
This fish has a natural impolite demeanour.바다흔함소형적극적얕은 곳언제든지
Sandy_Dirtwhisker.png
Sandy Dirtwhisker
이 물고기는 눈을 2개 더 발달시켰지만, 그 탓에 슬퍼보일 뿐이다.바다흔함소형소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Toothy_Mudchomp.png
Toothy Mudchomp
서식지인 진흙 투성이 바다 밑바닥에선 위장색이 뛰어나다.바다흔함중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Funnyfish.png
웃음고기
Funnyfish
자신이 웃기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런 것보다 더.바다드묾중형적극적얕은 곳
Squareboy.png
네모돌이
Squareboy
[2]
사각형임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헤엄을 칠 수 있다.바다드묾중형적극적얕은 곳
Frilled_Tadguppy.png
Frilled Tadguppy
커다란 꼬리는 포식자들을 교란시키는 규칙적인 파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바다드묾소형적극적어디든지
Copper_Bonejaw.png
Copper Bonejaw
갓 태어날 때는 말랑한 턱을 가지고 있지만 성장하면서 점점 석회화되며 단단해진다.바다드묾중형소극적깊은 곳
Pink_Sunbeam.png
Pink Sunbeam
A jawless fish often sought after for the way its scales sparkle in sunlight.바다희귀대형적극적얕은 곳
Crescent_Hoopfish.png
Crescent Hoopfish
The hoop through its body creates a current that propels it through water.바다희귀대형적극적어디든지
Hermit_Tonguile.png
Hermit Tonguile
몸체는 길다란 분홍색 근육덩어리이며, 석화된 껍데기 안으로 단단히 말려들어가 있다.바다희귀중형소극적깊은 곳
Banded_Wormeel.png
줄무늬벌레장어
Banded Wormeel
머리에 있는 긴 더듬이는 근처의 행성에서 방출되는 라디오파를 감지할 수 있다.바다희귀소형적극적어디든지
Chucklefish.png
처클피쉬
Chucklefish
이 물고기 어디서 본거 같은데?바다전설대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Barbed_Redeye.png
적목가시고기
Barbed Redeye
섬뜩하게 생긴 붉은 눈은 해저에서 예상치 못하게 마주치는 놈들을 두렵게 만든다.독 바다흔함중형적극적얕은 곳언제든지
Spotted_Gulptredder.png
Spotted Gulptredde
원리는 알 수 없지만 자신의 몸의 질량의 10배에 달하는 양을 삼킬 수 있다.독 바다흔함중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Irradiated_Globfish.png
Irradiated Globfish
Its body contains no flesh - it's entirely composed of an organic slime.독 바다흔함중형소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Silkpig.png
비단돼지
Silkpig
신비하고 비단같은 겉 색과 꿀꿀대는 교미 울음소리 덕분에 애완용으로 인기가 많다.독 바다드묾소형적극적어디든지
Mortilus.png
Mortilus
This cephalopod's tendrils are coated with a deadly toxin that can paralyse even a fully grown Poptop.독 바다드묾중형적극적깊은 곳
Nosy_Scoutier.png
Nosy Scoutier
1마일 밖의 먹잇감의 냄새도 맡을 수 있지만, 반응하기엔 너무 느리다.독 바다드묾중형소극적어디든지
Night_Clawnacle.png
Night Clawnacle
버섯을 닮은 몸의 피부는 위협받았을 때 색이 바뀐다.독 바다드묾소형적극적얕은 곳
Silver_Curloach.png
Silver Curloach
자라면서 점점 몸이 둥글게 말리며, 결국은 너무 많이 말려서 헤엄도 못 치게 된다.독 바다희귀중형적극적어디든지
Blighteel.png
Blighteel
눈이 없기에, 먹잇감도 자신을 볼 수 없는 밤에 사냥하는 것을 선호한다.독 바다희귀중형적극적깊은 곳
Crimson_Fantail.png
심홍부채꼬리
Crimson Fantail
This echinoderm uses curious pink limbs to disguise itself as a decorated fish-like creature.독 바다희귀대형적극적얕은 곳
Brown_Chordopod.png
Brown Chordopod
위장이 지속적으로 맹독으로 흘러넘치고 있다. 그것을 겨우 지탱하고 있을 뿐이다.독 바다희귀대형적극적어디든지
Dark_Gembrane.png
Dark Gembrane
앞 부위의 보호용 두꺼운 껍질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몸이 뇌 물질이다.독 바다전설대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Arctic_Speartooth.png
Arctic Speartooth
몸을 지키기 위해 항상 몸 주변에 단단한 얼음 막을 두르고 있다.얼음 바다흔함소형적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Salt_Rampskull.png
Salt Rampskull
It polishes the diagonal crest in its head against rocks and coral reefs.얼음 바다흔함소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Blue_Sabertrout.png
Blue Sabertrout
작고 날카로운 앞니로 얼음들을 모아오게 훈련시킬 수 있다. 얼음 바다흔함소형소극적얕은 곳언제든지
Sealacanth.png
실러켄스
Sealacanth
[3]
Nearly identical to its prehistoric ancestors, but more blubbery.얼음 바다드묾대형적극적얕은 곳언제든지
Whiskered_Chub.png
Whiskered Chub
Its long, drooping whiskers grow continually. They can eventually exceed the length of its body.얼음 바다드묾중형소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Coral_Chirpfish.png
새울음산호고기
Coral Chirpfish
기분이 좋을때면 짹짹 하며 지저귄다. 이거 완전 새 아냐?얼음 바다드묾소형적극적어디든지
Glacial_Wimp.png
Glacial Wimp
It spends much of its time avoiding predators by scurrying away with its tiny legs.얼음 바다드묾소형적극적깊은 곳
Luminous_Swindler.png
Luminous Swindler
Lures in prey with its shiny head bobble. Infamous among fish for being a bit of a jerk.얼음 바다희귀소형소극적깊은 곳
Garland_Conger.png
Garland Conger
Multiple swim bladders along its body give it fine control of its buoyancy.얼음 바다희귀중형적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Right_Gazer.png
Right Gazer
Its huge eyes help compensate for distortion caused by differing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얼음 바다희귀중형적극적얕은 곳
Muckfang.png
Muckfang
This slow moving amphibian can spend hours approaching prey before paralysing them with venomous fangs.얼음 바다희귀중형적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Variegated_Breacher.png
Variegated Breacher
A strong fish that uses its robust horn to break through thick sheets of ice.얼음 바다전설대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Orange_Ashlet.png
Orange Ashlet
The gray stripes on its body camouflage it against the ridged crust of the magma's surface.마그마 바다흔함중형소극적얕은 곳언제든지
Red_Hand.png
빨강손
Red Hand
이 이상한 생물체는 단일 개체가 아니라 독립된 공생 유기체의 무리라고 하는것이 정확할 것이다. 마그마 바다흔함중형소극적깊은 곳언제든지
Sulphish.png
Sulphish
Its body creates a constant chemical reaction that propels it forward.마그마 바다흔함소형적극적어디든지언제든지
Scarlet_Swellpurl.png
진홍부풀복어
Scarlet Swellpurl
겁을 먹고 몸을 부풀리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심심해서 부풀리는 것이다. 언제나 심심해한다.마그마 바다드묾대형적극적어디든지
Lampred.png
Lampred
It has the highest tooth to body ratio of any known fish.마그마 바다드묾중형적극적깊은 곳
Basalt_Darter.png
Basalt Darter
Its narrow, angular body fits tightly into cracks in the volcanic rocks where it sleeps.마그마 바다드묾소형적극적어디든지
Scorcheye.png
Scorcheye
This creature's feathery tendrils extend from its hard shell to filter bits of food from the magma as it swims.마그마 바다드묾소형적극적어디든지
Gold_Feudibranch.png
Gold Feudibranch
Its tubular body is entirely soft except for the long, keratinous pincers on its head.마그마 바다희귀소형적극적어디든지
Volcaris.png
볼카리스
Volcaris
A creature that has managed to avoid extinction despite its frail body.마그마 바다희귀중형적극적얕은 곳
Imperviray.png
불침가오리
Imperviray
Its smooth skin is coated with a heat-resistant layer of Impervium.[4]마그마 바다희귀대형적극적어디든지
Seadragon.png
해룡
Seadragon
This delicate creature uses the tiny, winglike fins on its back to ride gentle currents in flowing magma.마그마 바다희귀소형소극적어디든지
Magmalodon.png
마그마로돈
Magmalodon
A near-legendary fish said to be magma brought to life. A true challenge to catch.마그마 바다전설대형적극적깊은 곳언제든지

번역 바람.

4 일반 몬스터

Random_Monster_43.gifRandom_Monster_47.gif

행성에서 흔히 보이는 일련의 몬스터들. 자동 생성 매커니즘을 통해 행성의 시드값에 따라 파츠를 마구잡이로 조합해서 생성 되며, 그래서 어디서 본듯한 생물이 여러 행성에 걸쳐 흔히 보이기도 한다. 이 매커니즘 덕분에 생김새는 각 부위가 무작위라 일정하지 않으며 선공여부도 랜덤. 보통 낮의 동물들은 비선공이고, 밤의 동물들은 선공이다. 소형 조류는 이 규칙을 매우 충실히 따르는 편. 잡으면 소량의 픽셀이나 확률적으로 요리재료로 쓰이는 고기를 드랍한다. 사냥도구로 잡으면 무조건 고기를 드랍한다. 현재 볼 수 있는 몬스터 유형은 지상 몹의 경우 이족보행과 사족보행류, 그리고 조류와 어류로 나뉘고 각각은 소형, 대형으로 나뉜다.

몬스터 유형별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은 다음과 같다.

지상 몬스터Raw_Steak_Icon.png 생 스테이크
Raw_Ribs_Icon.png 생 갈비
Leather_Icon.png 가죽
조류 몬스터Raw_Poultry_Icon.png 생 새고기
어류 몬스터Raw_Fish_Icon.png 날 생선

갈비는 대형 4족보행 몬스터를 사냥 전용 무기로 잡아야 드랍되고, 가죽은 Mostly Harmless 위험도 이상의 행성의 몬스터를 샤냥 무기로 잡거나 일부 유니크 몬스터를 잡아야 드랍된다.

특이하게 대형 조류의 경우 어느 정도 상공으로 올라가야 떠돌고 있으며, 다른 몹들이 몸통박치기만 하는것에 비해 이녀석들은 입에서 각종 투사체를 발사하는 능력도 지녔다! 또한 위키아를 보면 크기 분류에 미니보스, 그리고 특대형이라는 더 큰 크기의 분류가 두가지 있는것으로 보아 랜덤하게 생성된 필드 보스전도 염두에 두고 있는듯.

5 유니크 몬스터

랜덤으로 모습이 형성되는 일반 몬스터와는 달리, 모습이 정해진 몬스터들. 주로 던전의 몬스터들과 마을의 동물들이 이 유형이다. 특정 몹들은 조합에 유용하게 쓰이는 희귀한 재료들을 드랍한다.

모든 지역에서 각 환경에 알맞는 유니크 몬스터들이 출몰하며 유니크 몹의 스폰률이 일반 몹의 스폰률을 압도적으로 넘어서고있다. 스타바운드 초기 장점으로 내세운 것들 중 하나가 무작위 몹 생성 시스템이었는데 이점은 정발이 될 때까지 고쳐지지 않았다. 단, 기존 무작위 몹들도 생긴게 다종다양한걸 제외하면 거기서 거기라는 입장도 있어서 앞으로 패치를 지켜보아야 할 듯. 또한 대부분위 유니크 몬스터들은 수집품 항목에 포함된다.

상술했듯이 모든 몬스터는 행성 위험도가 높을수록 스탯이 상승한다. 하단의 체력과 공격력은 각 몬스터의 기초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수집 몬스터는 ★를 표시한다.

5.1 대기후 몬스터

대기후 단위로 출현하여 가장 흔하게 보이는 유니크 몬스터들. 소기후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다.

  • 글립 ★
글립 (Gleap)
Gleap.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488정원
폐광
Living_Root_Icon.png 살아있는 뿌리 (20%)
Gleap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탄력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있다.

스타바운드의 모든 몬스터를 통틀어 최약체 몬스터. 통통 튀어다니며 이동한다.
아래의 너트미지처럼 살아있는 뿌리를 드랍하는데 반드시 버리지 말고 모아두자. 후반에 체력을 100 회복시키는 나노 붕대를 조합하는데 필요하다.

  • 너트미지 ★ / 꼬마 너트미지 ★ / 꼬마 킹 너트미지 ★
너트미지 (Nutmidge)
Nutmidge.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10010정원꼬마 너트미지 2마리
꼬마 킹 너트미지 1마리
가능
꼬마 킹 너트미지 혼자 머릿 다발이 밟혀죽지 않았다.
꼬마 너트미지 (Nutmidgeling)
Nutmidgeling.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253정원Living_Root_Icon.png 살아있는 뿌리 (20%)
Nutmidge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꼬마 킹 너트미지 (King Nutmidgeling)
King_Nutmidgeling.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303정원Living_Root_Icon.png 살아있는 뿌리 (20%)
Nutmidge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갈색 껍질에 뚤러쌓인 형태의 몬스터로 적을 발견하면 머리를 숙인채 그대로 돌진한다. 쓰러트리면 껍질이 벗겨지면서 본체인 꼬마 너트미지 3마리가 출현한다. 꼬마 본체들을 포획하는것도 가능하지만 3마리가 모여있을때도 잡을 수 있어서 별 의미는 없다. 다만 수집 목록을 모두 채우려면 모두 다 따로 잡아야 한다. 애완동물 목줄의 효과는 꼬마 너트미지들 한테도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폭탄 목줄을 착용시키고 내보내면 총 4번 터지는 장관을 볼 수 있다.

  • 팝탑 ★
팝탑 (Poptop)
Poptop.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6014정원, 정글
폐광
Sharpened_Claw_Icon.png 날카로운 발톱 (20%)
Poptop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팝탑은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먹잇감을 혼란에 빠트린다.

어딘가에서 예쁜 노랫소리가 들려오면 팝탑이 근처에 있다는 것. 평소에는 혼자 노래를 부르며 산책하고 있지만 적을 포착하면 노래를 멈추고 입을 열어 물기 공격을 가하기 시작한다. 나름 귀여운 외모라서 그런지 장식용 가구중에 팝탑을 본뜬 인형도 존재하고, 플레이어들에게 많이 포획당하는듯.

  • 성체 팝탑 ★
성체 팝탑 (Adult Poptop)
Adult_Poptop.png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18013정글
폐광
Sharpened_Claw_Icon.png 날카로운 발톱 (20%)
Adult_Poptop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크다...

팝탑이 자란 모습. 튼튼한 체력과 몸집이 특징. 어릴때 부르던 노래는 없어지고 적 공격시 발톱으로 할퀸다.
폐광에는 팝탑 서너마리와 성체 팝탑 한마리가 있는 방이 반드시 하나 존재하는데, 이곳의 성체 팝탑은 '마더 팝탑'이라 불린다. 체력 500의 괴수 몬스터로 쓰러트릴시 코어 파편 20개를 드랍하고 도전 과제 하나가 열린다. 마더 팝탑을 포획해도 스탯은 일반 성체 팝탑으로 되돌아 온다.

  • 크루스토이스 ★
크루스토이스 (Crustoise)
Crustoise.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508숲, 사막, 사바나, 정글, 깊은 밤, 화산, 마그마, 부패
폐광, 미니크녹 실험시설
Hardened_Carapace_Icon.png 단단한 껍질 (20%)
Crustoise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날카로운 가시로 그 어떤 우주장비라도 뚫을 수 있다.

지하에서 자주 보이는 몬스터. 공격시 몸을 일으켜 그대로 돌진한다.

  • 틴틱 ★
틴틱 (Tintic)
Tintic.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5510사바나
폐광
Hardened_Carapace_Icon.png 단단한 껍질 (20%)
Tintic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무언가를 먹거나 수면을 취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기계인가?

벽에 붙어 다니는 벌레형 몬스터. 이동 속도는 느린편이며 적 발견시 탄막을 뿌려 공격한다.

  • 배통 ★
배통 (Batong)
Batong.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508숲, 사막, 사바나, 깊은 밤
폐광, 미니크녹 실험시설, 글리치 지하던전
위대한 군주의 신전
Leather_Icon.png 가죽 (20%)
Batong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By tasting the particles in the air it can sense what's ahead of it.

박쥐형 공중 몬스터. 적에게 접근하면서 공격해온다. 지하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글리치 지하던전이나 위대한 군주의 신전엔 배통이 끊임없이 스폰되는 함정이 있다.

  • 스푸킷 ★
스푸킷 (Spookit)
Spookit.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458숲, 깊은 밤
글리치 지하던전
Phase_Matter_Icon.png 상 물질 (20%)
Spookit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When it closes its eyes it becomes immune to attacks by entering a different plane of existence.

외눈에 고양이 모습을 하고있는 유령 몬스터. 공격 당할시 잠시동안 눈을 감고 전신이 투명해지는데 이 때에는 어떤 피해도 줄 수 없으므로 한방이 강력하고 끝없는 넉백으로 쉴 틈을 만들지 않는 무기로 처리하면 편하다.

  • 페블릿 ★
페블릿 (Peblit)
Peblit.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489숲, 사막, 사바나, 화산, 마그마, 부패Hardened_Carapace_Icon.png 단단한 껍질 (20%)
Peblit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Because of the size of its head in proportion to its body, it can't run long distances.

외눈박이의 걸어다니는 돌맹이. 대미지를 입으면 몸을 웅크리고, 이때는 직접적인 피해는 입히지 못한다. 독이나 불같은 상태이상의 경우 웅크렸을때도 대미지가 들어간다.

  • 봅페 ★
봅페 (Bobfae)
Bobfae.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6510숲, 정글, 설원, 툰드라Hardened_Carapace_Icon.png 단단한 껍질 (20%)
Bobfae_Figurine_Icon.png 피규어 (0.1%)
가능
Not the most efficient flyer, it's a mystery how bobfae have survived as a species.

추운 환경에서 자주 보이는 비행 몬스터. 접근해오면서 공격 해온다. 날아오는 도중 숨이차 헐떡이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 에르키우스 유령
에르키우스 유령 (Erchius Ghost)
Erchius_Ghost.png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10001000-불가

Erchius_Ghost_gif.gif
우주선 연료를 얻으러 달 행성에 가면 만나는 몬스터. 본격 우주호러 스타바운드 분명 생명체가 없다고 했는데[5][6] 플레이어가 에르키우스 광석이나 액체 에르키우스를 채굴하면 소리없이 나타나서[7] 쫒아오기 시작한다! 설정상 플레이어가 채굴한 에르키우스를 감지하고 쫓아온다고 한다. 그래서 인벤토리에 에르키우스 연료를 얼마나 많이 가지고있느냐에 따라 이동속도가 빨라진다. 해당 달에서 연료를 채취하지 않았어도 연료를 보유중이라면 쫓아온다. 연료를 바닥에 버리면 이동속도가 확연히 줄어들긴 하나 연료를 전부 버려도 아주 느리긴 하지만 꾸준히 쫒아 온다. 가까이 가면 플레이어 캐릭터가 하얗게 질리면서 같은 연보라색의 구체가 송송 빠져나가는 이펙트가 있는데 에르키우스 광물에서 나오는 기운인 듯 하다.

기본적으로 모든 블럭이나 지형을 통과할 수 있다. 에르키우스 유령과 거리가 가까워질 수록 체력이 서서히 줄기 시작하며 완전히 접촉했을 때엔 체력이 순식간에 빠져나가 사망한다. 체력이 매우 많은 게 아니라면 접근조차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실제체력은 1000이나 데미지를 입지 않으므로 사실상 무적이다. 용암에 닿으면 죽지만 어디선가 리스폰 되었었는데, 패치로 용암에도 면역을 가지게 되었다.

이 놈 때문에 보통은 지표면 부근에 있는 에르키우스 광물만 달 표면을 빙빙 돌며 호구유령이라고 놀리며 캐다가 도망가지만 겁이 없거나 지하에 들어가서 에르키우스를 채취하다가 빠져나오지 못하고 완전히 궁지에 몰렸다면 '저장후 종료'를 눌러 메인화면으로 나온뒤 다시 접속하면 에르키우스의 유령이 사라진다.다만 곧장 스폰해 다시 쫒아오므로 빠르게 도망치자.

가뿐하게 도망치는 방법이 있다. 캐주얼 난이도면 다른 행성에서도 어지간해서는 통용되는 방법인데, 땅속에서 자원을 실컷 채취하다가 몹이 가까이 다가오면 캐릭터 뒷쪽의 벽을 마우스 오른쪽클릭으로 파내 활성화된 우주선 귀환버튼을 눌러 탈출해버리면 된다. 단 서바이벌 이상 난이도라면 지상까지 도망쳐야한다. 지하에서는 지상과 배경음악이 달라지므로 지상 배경음악이 들리면 벽을 파내고 튀자.

메인 미션 에르키우스의 공포도 그렇고[8] 이런 정체불명의 위험한 생물까지 돌아다니는데 대체 이 위험한 물질을 어떻게 수많은 여행자들의 우주선에 연료로 공급할 수 있는건지 궁금할 따름(...). 채굴기지까지 설치하고 굴리는 걸로 봐선 달에 따라 케이스가 다른 것일수도 있다. 기지 설치하고 첫 채굴 하자마자 얘가 쫒아왔으면 퀘스트 성립이 안되니까 메인 스토리에서 깔끔하게 끝낸 파멸과 다르게 아직 곁다리로 빠져있어 앞으로 관련 업데이트를 이쪽으로 할 수도 있을테고.

5.2 소기후 몬스터

소기후 단위로 출현하는 몬스터들. 특정 소기후에서만 출현하며 경우에 따라 다른 몬스터들 보다도 보기가 힘들다.

5.3 던전 몬스터

특정 마을, 던전에서만 출현하는 몬스터들. 미션에서만 모습을 보이는 몬스터들도 있으며 여기서부터 포획 불가능 몬스터가 섞여있다.

  • 달연변이
달연변이 (Moontant)
Moontant.gif체력공격력출현장소전리품포획
605에르키우스 채굴 시설-가능

6 가축

아웃포스트의 Terramart에서 판매하는 가축 알을 구입해 기를 수 있다. 플레이어가 관리해줄 필요는 없고 그저 다 자랐을때 주기적으로 수확만 해주면 된다. 우호적 몬스터라 공격이 불가능 해서 화염병 등으로 밖에 제거할 수 없으며 자기 멋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나가버리지 않도록 신경 써줘야 한다. 대신 이주기를 가지고 있다면 가축들을 마음대로 옮길 수 있다. 포획은 할 수 없다.

구입 가격성장 과정생산물
Hen_Egg_Icon.png
1000 픽셀
Hen_Egg.png
암탉 알
Hen Egg
병아리
Chick
Chicken.gif

Chicken
Egg_Icon.png
Robot_Hen_Egg_Icon.png
1000 픽셀
Robot_Hen_Egg.png
로봇 암탉 알
Robot Hen Egg
로봇 병아리
Robot Chick
Robot_Chicken.gif
로봇 닭
Robot Chicken
AA_Battery_Icon.png
AA 건전지
Mooshi_Egg_Icon.png
2000 픽셀
Mooshi_Egg.png
무시 알
Mooshi Egg
새끼 무시
Baby Mooshi
Mooshi.gif
무시
Mooshi
Milk_Icon.png
우유
Fluffalo_Egg_Icon.png
2000 픽셀
Fluffalo_Egg.png
플루팔로 알
Fluffalo Egg
Baby_Fluffalo.gif
새끼 플루팔로
Baby Fluffalo
Fluffalo.gif
플루팔로
Fluffalo
Plant_Fibre_Icon.png
식물 섬유
Electric_Fluffalo_Egg_Icon.png
2500 픽셀
Electric_Fluffalo_Egg.png
전기 플루팔로 알
Electric Fluffalo Egg
Electric_Fluffalo.gif
전기 플루팔로
Electric Fluffalo
Static_Cell_Icon.png
정전기 세포
Fire_Fluffalo_Egg_Icon.png
2500 픽셀
Fire_Fluffalo_Egg.png
불꽃 플루팔로 알
Fire Fluffalo Egg
Fire_Fluffalo.gif
불꽃 플루팔로
Fire Fluffalo
Scorched_Core_Icon.png
그슬린 핵
Ice_Fluffalo_Egg_Icon.png
2500 픽셀
Ice_Fluffalo_Egg.png
얼음 플루팔로 알
Ice Fluffalo Egg
Ice_Fluffalo.gif
얼음 플루팔로
Ice Fluffalo
Cryonic_Extract_Icon.png
냉기 추출물
Poison_Fluffalo_Egg_Icon.png
2500 픽셀
Poison_Fluffalo_Egg.png
독 플루팔로 알
Poison Fluffalo Egg
Poison_Fluffalo.gif
독 플루팔로
Poison Fluffalo
Venom_Sample_Icon.png
독 표본

7 미니 보스

다른 몬스터보다 크기가 더 크고 주변에 빨간도트가 흩날리는 연출이 나오는 몬스터. 빨간 스팀팩의 그것과 비슷하다. 약을 빤 일반몹 외형은 대체로 기존의 몬스터의 거대화 버전이다. 상당히 강하며 반드시 언커먼 이상의 무기가 드랍된다.
대거 보스들의 공격력은 강하니 잡을때는 Bandge나 Medikit을 들고가는것이 현명하다

8 보스 몬스터

각 미션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일반 몬스터와는 차원이 다른 강력한 몬스터들이다.
이 보스 몬스터들은 일반 몬스터와달리 공격력이 상상을 초월하니 좋은 방어구와 많은 치료제, 음식이나 스팀팩, 약물같은 버프 아이템들을 충분히 들고가는 것이 좋다

8.1 주 미션 보스

8.1.1 에르키우스의 공포(Erchius Horror)

Crystal_Boss.gif
인간 미션 에르키우스 채굴 시설(Erchius Mining Facility) 마지막에 등장하는 커다란 분홍색 크리스탈형의 몬스터. 통상적인 공격 수단들은 먹히지 않고 몹주변을 돌면서 4개의 래버를 내려 작동시키는 특수 채광 레이져 드릴로 공격해야만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3번 공격하면 잡을 수 있다.

별 의미는 없지만 총 체력은 5280. 10% 확률로 에르키우스 눈 특수무기를 드롭한다.

달연변이(Moontant)를 소환하거나 주변으로 레이저를 쏘는 공격을 하는데 레이저의 패턴이 공격을 받을때마다 바뀐다. 맞으면 꽤 아프므로 성급하게 깰 생각 버리고 레이저 움직이는 대로 이동해 피하거나 방패나 두손검으로 적절히 막으면서 레버를 내리자. 암만 높은 티어 방어구라도 직격당하면 순삭이다. 낙하대미지를 받지않도록 신중하게 공략할 것. 두 플랫폼씩 내려가는게 좋다.

8.1.2 익소둠(Ixodoom)

Ixodoom.gif
플로란 미션 사냥의식의 동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보스 몬스터. 매년 새로운 익소둠을 어디선가 구해오는 듯 하다. 플로란 NPC 누루와 같이 싸운다.

총 체력은 1252. 10% 확률로 익소둠 발톱 무기를 드롭한다.
데미지를 3%로 줄여받는 껍질이 있는데 일정 데미지 이상을 받으면 껍질이 깨지고 재생될때까지 잠깐동안 데미지를 100%로 받는다. 공격패턴은 작은 거미 소환, 산성 침 뱉기, 내려찍기가 있다. 장비랑 무기만 좋으면 쉽게 잡기때문에 오히려 레이저 한방이면 죽는 에르키우스의 공포보다 잡기 훨씬 수월하다. 사실 얘가 쉬운게 아니라 에르키우스의 공포가 쌘거다. 하지만 잡으려고 가는것은 에르키우스의 공포보다 더 힘들다.

8.1.3 아스라 녹스 (Asra Nox)

Asra_Nox_Boss.gif
하이로틀 미션 파고다 대도서관(The Grand Pagoda Library)에 등장하는 보스 몬스터. 하이로틀 파고다 대도서관을 습격한 광신도 집단의 수장. 여자다.

녹스는 여러 패턴을 전개하며 공격해오는데, 패턴 전개 중에는 무적이라 공격이 먹히지 않는다.

  • 지상에서 앞으로 돌진하며 칼로 한 번 벤다. 점프로 가볍게 피할 수 있다.
  • 모프볼로 변신해 플레이어를 향해 통통 튀며 돌진한다. 움직임이 변칙적이다. 이 패턴이 끝나면 녹스가 지쳐서 잠깐 정지하는데 이 동안 보호막이 사라지므로 공격할 수 있다.
  • 공중에서 지상으로 탄막을 흩뿌린다. 탄막은 땅에 부딪혀도 사라지지 않고 박혀있다가 2차로 폭발한다.
  • 지상에서 앞으로 레이저를 발사한다. 보스전 방에 발판 역할을 하는 책꽂이가 있으므로 그 위로 올라가면 맞지 않는다.

총 체력은 추가바람. 10% 확률로 자신이 사용하는 솔루스 카타나를 드롭한다.
게이트를 열 때부터 보스전이 시작되기 때문에, 게이트만 열어두고 들어가지 않으면 첫번째 패턴 전개를 전부 회피하고 딜을 넣을수 있다![9]
기뻐하는 기린 패치로 이젠 옛말. 게이트를 열면 강제로 보스룸에 들어가도록 패치되어서 위 취소선처럼 날로 먹는건 이제 안된다. 그래도 첫번째 패턴은 책장위에 올라가 있으면 완벽히 피해진다.

촉수에서도 파멸하고 싸우기전에 한번 더싸운다.

8.1.4 클루엑스의 화신 (Kluex Avatar)

Kluex_Avatar.gif
아비안 미션 위대한 군주의 신전(The Great Sovereign Temple)에 등장하는 보스 몬스터. 클루엑스 신전 깊숙한 곳에 있다.

페이즈가 2개가 있다.

  • 1페이즈 - 바닥에 고정되어있다.
    • 빨간색의 탄환을 발사한다.
    • 불특정 위치의 바닥에서 얼음기둥을 솟아올린다. 얼음기둥이 나오기 전 바닥에 냉기가 서리는 이펙트가 있으므로 보고 피하면 된다. 일단 피격당하면 냉기로 인해 둔화되므로 여러 번 피격당하게 되어 체력 소모가 심해지는 패턴.
    • 발판을 2개 솟아올리고 바닥에 용암을 깐다. 발판을 올려주므로 그 위로 올라가서 원거리 무기로 공격하면 된다.

1페이즈는 체력이 낮으므로 쉽게 클리어할 수 있으나 1페이즈를 클리어하고 나면 보스가 공중으로 날아오른다.

  • 2페이즈 - 공중에서 날아다닌다.
    •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며 빨간색의 탄환을 발사한다. 발사 위치는 보스의 움직임에 따라 달려있으므로 운이 중요한 패턴.
    • 가운데로 날아와 정지한 뒤 바닥에서 얼음기둥을 솟아올린다. 1페이즈보다 얼음기둥을 까는 바닥이 많아진다.
    • 바닥에 내려앉아 자신의 위치로 바람을 일으켜 플레이어를 빨아들인다. 중간중간 좌우로 바닥을 기어가는 에너지 파동도 발사한다. 바람 자체는 뒤로 걷기만 해도 끌려가지 않을 정도이지만 점프를 하게 되면 순식간에 가운데로 빨려들어가며 좌우로 발사하는 에너지 파동이 점프를 유발한다. 대시 테크를 이용하면 바람에 끌려가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된다.
    • 발판을 4개 솟아올리고 바닥에 용암을 깐다. 이후 발판 위로 이리저리 움직이며 용암을 쏟아부어 발판을 부순다. 한 번에 한 발판 밖에 부수지 못 하므로 보스의 움직임을 보고 발판을 옮기면서 공격하면 된다.

총 체력은 추가바람. 10% 확률로 클루엑스 지팡이를 드롭한다.무려 레이지 존을 생성하는 좋은 무기이다.

8.1.5 빅 에이프 (Big Ape)

Big_Ape.gif
에이펙스 미션 미니크녹 요새(Miniknog Stronghold)에 등장하는 보스몹. 에이펙스 종족의 독재자 빅 에이프의 홀로그램 형상이다. 원숭이 얼굴 말고 주위의 홀로그램 프로브들을 파괴해야 한다.
에리나에 있는 두개의 큰 스크린이 다음 공격이 어떤 것일지를 알려준다.

빅 에이프는 홀로그램을 투사하는 6개의 투사기들이 주변을 회전하고 있으며 이 투사기가 약점이다. 투사기들을 공격해 파괴하면 홀로그램이 에러가 나며 사라진다.

빅 에이프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본격 탄막 슈팅게임

  • 주변의 프로젝터에서 주먹처럼 생긴 에너지장을 발사한다. 발사 위치가 고정되어있지만 발사 타이밍은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회피가 어렵다.
  • 눈에서 검 모양의 투사체를 발사한다. 범위는 빅 에이프 홀로그램 바로 아래이며 그렇게 넓지 않기 때문에 여유롭게 피할 수 있다.
  • 홀로그램 투사기를 빠르게 회전시키며 맵을 크게 한 번 휩쓴다. 테크나 버프가 있다면 점프로 넘어갈 수도 있고 회전 사이클에 맞춰서 지나가며 피하는 방법도 있다.
  • 홀로그램 투사기에서 유도 미사일을 발사한다. 폭발 범위만 조심하면 대쉬랑 점프 몇 번으로 간단히 피할 수 있다.
  • 홀로그램 투사기를 파괴하면 빅 에이프 홀로그램에서 탄환을 다수 발사한다. 탄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피하기 어려워 회복약 한두 개를 잡아먹게 하는 패턴.

프로브 하나당 체력은 1000. 10% 확률로 미니크녹 런쳐를 드롭한다. 시간이 많이 흐르면 모든 프로브의 체력을 단숨에 최대치까지 회복하므로 하나씩 집중적으로 떨궈내야한다.

8.1.6 해골룡 (Bone Dragon)

Bone_Dragon.png
글리치 미션 바론의 성채(The Baron's Keep)에서 광신도 레이드에 수장 녹스가 타고 나타난다. 베타 때 나왔던 드래곤 왕과 외관이 거의 비슷하다.

해골룡의 타격 판정은 몸통.
패턴은 날아다니면서 입에서 불덩이를 뱉는 것밖에 없지만, 부하 광신도들이 여전히 계속 밀려오는 것은 물론 세이브 포인트가 없기 때문에 보스전부터 시작할 수가 없어 난이도가 높은 편.

예전에는 섹터 3보스였다.

베타 때 총 체력은 2250이었으나 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수정바람. 10% 확률로 용두포를 드롭. 보스를 잡고 얻는 코덱스[10]를 보면 이 용은 진짜 뼈로 된 드래곤이 아니라 뼈 처럼 생긴 물질로 도금된 강철 로봇이라는 걸 알 수 있다.

8.1.7 파멸 (The Ruin)

The_Ruin.png
최종 미션 파멸(The Ruin)에서 쓰러뜨려야 되는 스타바운드 세계관 최종보스. 미션을 수행하게 되면 워프하게 되는 행성 전체가 보스 자체다. 플레이어와 싸우는 건 보스의 심장이다. 다키스트 던전 어둠의 심장? 크툰 이 녀석?

우선 파멸을 만나기 위해서는 행성 아래로 땅굴을 파야 한다. 그러나 행성 전체에 파멸의 부하 몬스터들이 일반적인 행성의 몬스터가 소환되는 양과는 비교도 할 수 없게 많이 나와서 전투에도 신경을 써야 하며 지상과 지하 곳곳에 독액 웅덩이가 있어 체력이 부족해진다. 해독제를 지참하면 좋다. 땅굴을 어느 정도 파고 들어가면 SAIL이 거대한 동공이 감지된다며 추락에 주의하라고 하는데 진짜로 아무 것도 없는 낭떠러지가 나타난다. 그냥 가만히 있으면 추락사하고 다시 땅굴을 파고 내려가야 하므로 2단점프나 대시 테크를 이용해 낙하 데미지를 무효화해야 한다. 무사히 아래로 내려가서 한 쪽으로 전진하다 보면 파멸의 심장이 있는 보스룸을 마주할 수 있고 파멸과 본격적 전투를 펼치기 이전에 아스라 녹스와의 1차전이 시작된다. 패턴은 하이로틀 미션에 나왔던 아스라 녹스와 똑같으나 주인공의 장비는 훨씬 좋아진 상태이므로 어렵지 않게 격퇴할 수 있다.

파멸의 패턴은 아래와 같다.

  • 부하 몬스터 소환 : 그로테스크하게 생긴 신체 기관에서 부하들을 뿜어내는데, 꽤 빠른 속도로 소환한다. 장비를 잘 갖췄다면 칼 한 방에 다 썰리는 수준이기 때문에 큰 위협은 되지 않는다. 단, 자폭 몬스터는 상당히 아프니 접근하지 말아야한다.
  • 양 쪽에서 촉수 소환 : 무엇인가 올라오는 듯한 이펙트가 생성된 뒤, 촉수가 소환된다. 맞으면 데미지를 입는다.
  • 중앙에서 안구 빔 시전 : 중앙의 넓은 범위에 타격을 입힌다. 데미지가 상당하지만 범위가 뻔히 보이고 빔을 발사하는 동안에는 아무 행동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옆에서 원거리 무기로 공격하면 된다. 또한 이 공격은 소환된 몬스터들에게도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주변이 깔끔하게 청소된다.
  • 다른 바이옴의 몬스터 소환 : 온갖 바이옴에 서식하는 유니크 몬스터들을 소환한다. 가끔 체력이나 데미지가 높은 유니크 몬스터들을 소환해 공략을 어렵게 만든다. 이 몬스터들은 파멸이 소환[11]하는 부하 몬스터와 달리 스텟이 튼튼해 빨리 처리하는 편이 좋다.

가끔 보스인 파멸의 심장이 부하 몬스터를 비정상적인 속도로 뿜어내는 버그가 걸리는데, 난이도 상승은 둘째 치고 엄청난 렉 때문에 도저히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부활해서 보스룸 앞에서 다시 시작해도 마찬가지이며 해결 방법은 미션 재시작밖에 없다.

총 체력은 5000이다.

8.2 보조 미션 보스

8.2.1 드레드 윙(Dread Wing)

Ufo300%25.gif
보조미션 드레드윙(Dreadwing)에 등장하는 보스. 아웃포스트 지하에 있는 펭귄 술집의 주인 펭귄의 의뢰로 처치하게 된다. 미션을 시작하고 우측으로 이동하다보면 나온다. 외형은 코알라업데이트 때의 펭귄UFO와 같다.

총 체력은 추가바람

펭귄 소총병, 펭귄 폭탄병, 펭귄 탱크를 소환하며 체력이 많이 깎이면 소형펭귄 UFO도 소환한다.

이 미션을 클리어한 다음부터 술집에서 펭귄 용병들을 고용할 수 있다.

예전엔 섹터1의 보스였다.

8.2.2 쇼크후퍼 MK 1호(Shockhopper Mk I)

Shockhopper_MK_I.gif
병기 가동 실험소(Weapon Testing Site)에 등장하는 보스몹. 아웃포스트 지하의 펭귄 무기상의 의뢰로 처치하게 된다. 공격패턴은 유도미사일, 돌진, 화염방사기, 오버로드가 있다. 이 중 오버로드라는, 작은 전기구를 탄막슈팅게임 마냥 발사하는 패턴은 생각보다 피하기 어려우나, 가시박힌 공 테크를 이용해 벽에 붙은채로 회피하면 생각보다 쉽게 피할 수 있다.

총 체력은 추가바람.

미사일은 파괴가 가능하며 돌진시에는 잠시 멈추기때문에 점프로 피해주면된다.
화염방사기의 경우 체력이 어느정도 줄면 쓰는데 갑자기 사용하므로 거리를 두고 싸우는게 현명하다.

이 미션 클리어 후부터 아웃포스트 지하 왼쪽의 특별 무기 상점을 이용할 수 있다.

8.3 삭제된보스

8.3.1 페이탈 서킷(Fatal circuit)

Active_Robot.png
예전 섹터시스템 2번째보스.

8.3.2 젤리 (Jelly boss)

Jelly.gif
예전 섹터4보스.

8.3.3 촉수유성(tentacomet)

Tentacomet.png

마지막 섹터보스. 사실 파멸로 부활했다 카더라
  1. 다만 기뻐하는 기린 업데이트 이후로 특정 바이옴에서만 나오는 몬스터들이 추가되었다.
  2. 실제 Squareboy 라는 이름의 패스트 푸드점이 있다.
  3. 발음은 실러캔스와 똑같지만 원본의 영어 스펠링은 Coelacanth 로 다르다. 실제 영어권 사람들도 잘못 읽는 단어.
  4. Rampaging Koala 버전 당시 존재하던 합금 재료. 현재는 삭제된 루비움과 석탄을 합성하여 만들었었다. 어원은 불침시킨다는 뜻의 'impervious' 로 추정.
  5. 달에 착지하는 순간 체력바 밑 버프/디버프 창에 보랏빛 유령 표시가 뜨며 "spooked" 상태가 된다. 눈치가 빠른 플레이어라면 저걸 보고 뭔가가 있다는 걸 알아챌 수도 있을 것이다. 대충 "불안한/공포에 질린" 이라고 번역할 수 있을 듯. 이 디버프를 해제하는 방법은 두가지 뿐이다. 달에서 벗어나거나 사망하는 것. 물론, 죽으면 달을 벗어나므로..
  6. 해당 디버프의 효과는 몬스터가 플레이어를 따라가게 만드는 것. 플레이어가 달에 도착한 직후 디버프가 걸리고 인벤토리에 에르키우스만 없다면 유령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아무 영향이 없지만 한번 채굴하던지 이미 들고 왔던지 간에 인벤토리에 에르키우스가 있기만 하면 곧바로 유령이 생성되고, 에르키우스 광석/액체를 다시 전부 떨궈도 디버프는 계속 되기에 멈추지 않고 쫒아온다.
  7. 인벤토리에 첫 에르키우스가 들어오는 순간 SAIL이 "에르키우스에 영향을 받는생명반응이 감지됐다"며 경고를 해준다. 어느 방향에서 오는 건지는 랜덤이므로 경고가 온 후 좌우를 살펴보면 된다. 지표면에 있을 시 보통 아래쪽 어딘가에서 나타나는 편.
  8. 여기선 아예 감염 현상까지 나타나서 데드스페이스급 호러를 연출한다!
  9. 스태프와 원드의 경우 문을 열고 공격을 반복하면 모든 패턴을 맞지 않고 클리어가 가능하다. 중간에 보스룸과 멀어지면 보스전이 초기화된다.
  10. 해골룡을 구매하라는 내용의 광고지이다.
  11. 이때 파멸의 눈부분에 해당 바이옴의 배경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