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릉역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역에 대해서는 가능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333;padding:12px;"
{{{+1 주의. 폐지된 역 또는 신호장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지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교외선
능곡 방면
송 추

3.0 km
가 릉시종점
가릉역

다국어 표기
영어Gareung
한자佳陵
중국어佳陵
일본어カルン
위치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586 (추정)
일반 철도
운영기관교통부 철도국
교외선 개업일1961년 7월 10일
교외선 폐업일1963년 8월 20일
역등급폐역

佳陵驛 / Gareung Station

1 개요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에 있었던 교외선의 철도역.

교외선이 처음에 능의선이라는 이름으로 부설되어 개통 됐었을 때, 임시 시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 역의 이름을 물려받은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가능역일단은 가능동에 위치해 있지만,[1] 무려 3km나 떨어져 있는 엄연히 다른 역이다.

현재의 경원선 가능역과 한자 표기상 이름이 같지만, 이 역은 개통부터 폐역 때까지 가역이란 이름으로 쓰였다가 폐역되었으므로 직접적인 관련은 전혀 없다. 애초에 가릉역은 수도권 전철이 생기기도 훨씬 전에 사라졌으니까.[2]

여기에 보면 당시의 자료가 상세히 나와 있다.

이 역과 의정부역 사이에는 1개소의 터널과 2개소의 교량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교외선이 완전 개통됨과 동시에 폐역.

2 역 위치

경민대학교 앞이 건널목이고, 송추역 방면은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역이 없어진 지가 하도 오래된 지라, 정확한 자료가 크게 없다. 단지, 추정되는 자료는 가능동 586번지 일대에 있었다고만 추정하는 것. 경민대학교 일대 전체가 가능동 586번지 일대이다. 위치도 그 근처였다고 한다. 다만, 586번지로 추정되는 곳은 아파트가 들어서 있고, 승강장이 들어설만한 입구라던가, 흔적이 거의 없는 상태. 일단 경민대학교 앞에 있는 제일 오래되어 보이는 주택도 그 이후에 지어진 것이고, 인근이 모두 개발된 상태. 능의선 개통식 기사를 보면, 주위가 엄청나게 허허벌판이다. 예전의 강서구 마곡동과 비슷할 정도로. 경민대학교도 가릉역이 철거된 뒤인 1968년에 들어왔다.

교외선이 능의선으로 짤려서 이 역까지만 개통되었던 이유가 이 역과 의정부역 사이에 있는 선로가 미군부대 전용선이였고, 이 걸 확보하지 못 해서 능의선으로 개통한 것. 쉽게 말해, 완공된 구간만 먼저 개통한 임시 개통과도 같은 것. [3] 개통 당시, 이 지역은 죄 다 허허벌판이였고, 건물이 있어봤자, 인근에 미군부대가 유일했기 때문. 이 때 미군부대 선로를 확보하지 못 하여, 임시 시종착역 역할을 하기 위해, 지은 역이 가릉역인데. 경민대 일대가 가능동 586번지 일대이며, 경원선 가능역에서 약 3km 떨어지고, 의정부역에서 5.4km 정도 떨어진 곳이 이 곳이기 때문이다. 경민대학교 인근에 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 어디까지나 추정이지만, 연희역과 같은 구조였으리라 추정된다. 경원선 가능역에서 약 3km 떨어지고, 의정부역에서 5.4km 정도 떨어진 곳이 이 곳이기 때문이다.

2년 남짓 쓰고 없애버린 임시 역사였기 때문에, 당연히 역사는 없었을테고, 임시승강장으로 승강장 하나만 달랑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민대학교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 옆에 알 수 없는 용도의 건물이 존재한다. 코레일이 철도청 시절에 활용했던 건물로 추정된다. 이 건물의 사용용도가 무엇인지 안다면 추가바람. 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자리에는 풀이 자라나고 있다.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

3 기타

정식 시종착역은 아니였다. 교외선의 완전 개통이 미루어져서, 이 역이 임시로 시종착역 역할을 했을 뿐.

교외선의 완전 개통일이 지연되어 왔었던 이유는 이 역과 의정부역 사이에 미군기지가 있었기 때문. 때문에 이 구간이 이어지려면, 미군기지의 이전이 필요했는데, 일단은 가릉~능곡 간의 26.5km를 1961년 7월 10일에 우선 개통하고, 나머지 구간인 가릉~의정부 구간은 미 군사시설로 인해, 계속 미루어지다가 미군이 시설을 옮김으로서, 1963년 4월 27일에 광속으로 착공하여, 8월 20일에 완전 개통하게 된 것.

2년 1개월 정도만 운영되고, 시종착역과 역 역할까지 모두 의정부역에게 넘겨준 역. 참고로 이 역과 의정부역과의 거리는 5.4km이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송추역부터 의정부역까지의 구간은 군부대 기름 탱크 운반을 위해, 열차가 소수 다녔다고 한다.

교외선의정부역까지 연장되자 서울교외선은 순환선으로 운영되었다. [4]

원래 이 문서는 가능역과 합쳐져 있었으나, 한 철갤러[5]가 경민대학교 인근의 철길을 조사하다 보니 수상한 점이 보여 마을 주민의 의견을 듣고 다녔다고 한다. 관련 게시물 아쉽게도 아는 주민이 없다시피했고, 그나마 알고 있던 사람도 역 위치가 가물가물하다며 자세한 얘기를 듣긴 어려웠다고.
  1.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가능역의 현 소재지는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197-1.
  2. 1960년대만 해도 '가능'과 '가릉'이 혼용되었기 때문에 실제 의정부시 행정상에서는 이미 가능동이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철도청 고시에서는 '가릉'을 단독 역명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전 문서에는 가능역을 치면 현재의 가능역과 분기되는 형태로 되어 있었으나, 철도청 관보에서 '가릉역'만 정식으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로 이 문서가 따로 만들어지면서 별개의 링크로 처리되도록 조정되었다. 이처럼 역명과 역 소재지 행정구역명이 실제로는 같은데도 한쪽만 두음법칙이 적용되어 달라진 사례는 경춘선 사릉역과 진건읍 사능리에서도 찾을 수 있다.
  3. 수도권 전철을 한창 짓고 있던 경춘선이 완공된 지역은 터널이 무성한 신선으로 달리다가 구선로로 가는 것처럼.
  4. 서울역 ~ 능곡역 ~ 의정부역 ~ 성북역 ~ 청량리역 ~ 용산역 ~ 서울역이 서회선, 역방향은 동회선.
  5. 오천역 협궤역사를 보존하려던 그 사람과 동일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