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마의 지팡이

만화타이의 대모험》에 나오는 무기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1 개요

파일:E8w1Roc.jpg

광마의 지팡이(光魔の杖)

대마왕 버언이 사용하는 무기로, 롱 베르크가 제작하였다.

이력의 지팡이 계통의 무기로, 사용시 사용자의 팔을 사슬로 휘감아 그를 통해 마력을 흡수하여 지팡이 끝을 변형시킨 뒤 빛의 창날을 형성한다. 그러나 통상의 이력의 지팡이들과는 달리 위력의 제한 자체가 "아예" 없기 때문에 소유주의 기본 마력이 강대하면 강대할 수록 그것이 비례하여 그만큼 더더욱 더 강력한 강도와 예리함을 지닌 무기로 거듭나며, 가공할 초마력을 지닌 대마왕 버언이 썼을 때는 오리하르콘으로 된 타이의 검조차도 가볍게 잘라내버릴 정도의 강도와 예리함을 선보였다. 한마디로 "MP통 = 위력"으로 사실상 포프블랙 로드와 함께 "이력의 지팡이의 강화판"이라고 할 수 있는 무기다. 또한 창날의 분출을 넓게 하면 모든 공격을 막는 방어막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해 타이가 처음 쓴 도르오라 또한 상처 하나 없이 막아내 보였다.

원래 마력을 공격력으로 바꿀 뿐인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 정도의 무기라서 롱베르크 자신은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마왕 버언의 기본 마력이 워낙 먼치킨급이라서 버언이 잡으면 최강급 무기가 되어버린다.

롱베르크는 자신의 작품 중에선 별로 강하지도 않은 이 무기가 버언이 사용했다는 이유만으로 순식간에 지상 최강의 무기가 되어버리자 몹시 실망하고 분개한다. 이후 롱베르크는 겨우 이 따위 무기로 스스로의 장인으로서의 한계를 결정지을 수는 없다고 판단, 결국 버언의 곁을 떠나게 된다.[1]

타이와의 2차전에서 도르오라 2연타를 막아낸 뒤 부서져버린다. 부서진 건 손잡이 뿐이므로 그대로 놔둬도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복구되었을 터이나, 전성기로 돌아간 버언은 이제 필요없다며 발로 밟아 부숴버렸다. 팀킬이 아니잖아

2 결점

창날 자체가 마력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볼 때 전개한 상태로 들고만 있어도 마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게다가 마력이 소모될수록 그것에 비례하여 그만큼 강도와 예리함 또한 점점 약해지게 되며, 소유주의 전투력도 크게 저하되는게 문제. MP가 소모될수록 무기의 성능과 사용자의 스탯이 함께 떨어진다는 소리. 아니 이게 무슨 소리요 답이 없다 버언은 이 때문에 타이 일행과 처음 싸울 때 이 무기를 꺼내들어 그들을 물리치고 나니 마력이 많이 소모돼서 초마생물 해들러와 싸울 때 위기에 처한 적이 있다. 이걸 보면 매우 심각한 결함이 있는 무기.

제작자인 롱베르크 자신이 광마의 지팡이를 폄하했던 이유도 이런 점 때문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롱베르크가 나중에 만들게 되는 지팡이인 블랙 로드는 똑같이 마력을 공격력으로 바꾸어줌에도 따로 마력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지 않아 소모를 조절할 수 있는데다 신축기능과 변형기능까지 존재해 여러모로 우월하다. 강도와 예리함만 따지면 광마의 지팡이가 블랙 로드를 아득하게 초월하겠지만 그건 소유주인 버언의 기본 마력량이 먼치킨급으로 막대한 탓이라서 그런 것 뿐이지 무기 덕분이 아니다. 그럼 버언이 블랙 로드를 지녔었다면 대체 어떤 참사가 나는거지? 약해지지 않을뿐 그다지 강해지진 않는다. 하지만 스태미너 측면에선...

3 의문

발동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마력을 지속적으로 소모해 약해지기에 해들러에게 밀렸다고는하나, 어찌된 게 나중에 쌍룡문의 힘을 각성한 타이와 싸울 때 버언이 개방한 힘을 보면 그 당시엔 전력을 다한 것도 아니었고 무엇보다 이 때는 이 위력의 감소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앞뒤가 안 맞는다.(...)

이에 대해 타이 일행과 싸우면서 여러모로 마력 소모가 심해서라는 설명도 있지만, 위에서도 말했듯 버언은 이 때 전력을 다한 것도 아니거니와, 광마의 지팡이를 들고서도 완전히 전력을 다한 건 아니었다.[2] 더구나 전성기로 돌아간 뒤 쓴 마법들의 총합을 보면 오히려 이 때가 노인 버전 당시 쓴 마법보다 훨씬 더 많았음에도 딱히 마법력의 고갈 문제는 보이지 않았다. 게다가 지팡이를 들고 있던 시간으로 치면 오히려 전력을 다했던 2차전이 더 길었을 뿐만 아니라, 이 때는 이 지팡이의 빛의 날로 도르오라를 막아낼 정도의 출력까지 보였다. 앞의 모습과 대조해 보면 매치가 안 되는 부분.

그러나 이는 버언 팔레스마력로 때문일수도 있다. 버언 팔레스는 부유석으로 되어 있어 계속 솟구치도록 되어있는데, 버언은 자신의 마력을 마력로를 통해 버언 팔레스에 공급해 고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었다. 즉, 해들러와 싸울때도 버언은 계속 마력을 마력로에 보내 그 거대한 성을 띄우고 있었다는 소리. 그러나 타이와의 재결전 때의 버언은 이미 마력로가 파괴되어 마력을 소모하지 않고 있었다.

4 기타

  • 여담이지만 동인에서는 이 지팡이대신 다른 세계의 마왕지팡이를 쓰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세계는 한방에 멸망한다.(...)

5 관련 항목

  1. 롱베르크가 무기상으로서 그만큼 흥깨지는 손님도 없다고 말한다. 어떤 무기를 만들든 간에 버언이 잡으면 최강이 되어버리니까.
  2. 이 1차전에서 쓴 카라미티 월은 2차전에서 말하길 그저 유흥으로 날린 수준이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