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목록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진월75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남구 송하동(송암공단) |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도산동) | ||
종점행 | 첫차 | 06: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출퇴근 17분/평시 17~19분 | 주말배차 | 17~19분 | ||
운수사명 | 을로운수 | 인가대수 | 평일, 공휴일 12대 | ||
노선 | 송암공단 - 송원대학교 - 인성고 - 효천초교 - 신기교 - (→ 노대 →) - 노대제 - 송화마을5단지 - (→ 송화마을3단지 → 진월저수지 → 효덕동주민센터 →/← 진남초교 ← 송화마을1단지입구 ←) - 동성고 - 대광여고 - 호남삼육고 - 서남하이츠 - 원광대한방병원 - 신암마을 - 풍암저수지 - 마재부영아파트 - 서창농협 - 무등교회 - (← 동산교차로 ←) - 서창사거리 - 공항역 - 영광통 - 광주송정역 - 도산동 |
2 개요
을로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6년 12월 노선 개편 때 봉선75번이 전신이다. 봉선동과 진월동. 주월동 일대를 순환하는 노선이었으며, 특이하게 내선은 봉선동종점에서, 외선은 노대 및 덕남에서 회차했다. 당시엔 버스가 들어가지 않았던 화산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진월지구가 개발되면서 75번이 들어가게 되었으나, 외선 3대, 내선 2대로는 감당하기 힘들었고 더불어서 진월지구와 봉선동을 왕래하는 노선이 75번 이외에도 금남55번 등이 새로 들어오게 되어 분담이 덜어지게 되었다.[1]
- 결국 봉선75번을 없애고 신암마을과 서구문화센터를 경유하는 진월75번이 신설되었다. 차량은 봉선76번에서 2대를 가져왔고, 덕분에 봉선76번은 배차간격이 1시간으로 벌어졌다.
- 남구 지역의 광주송정역 경유 노선 확충을 위해 2015년 4월 29일에 서광주역에서 도산동으로 연장되었고, 반대 방향도 송화마을에서 신효천마을과 송암동까지 연장되었다. 이에 따라서 7대가 증차되어 12대의 대수로 운행하게 되었다.
- 효천역세권2지구까지 연장되었다.
4 특징
- 비슷하게 '진월지구 - 진월동 - 풍암지구'를 이어주는 진월77번과 다르게 이 노선은 신암마을을 경유한다.
- 본래 노대동 출발 → 서광주역 회차 노선이었기 때문에, 노선 연장 이후에도 2대 중 1대 꼴로 노대동을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