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목록
2008년 8월의 모습. 지금은 대차된 현대 에어로시티 차량이다.
650px
2013년 현재. 위 차량은 진월75번으로 넘어갔다. 뒤에 스파이가 있다
650px
임시노선인 1187-1번.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광천동)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2:00 | 막차 | 22:00 | ||
평일배차 | 출퇴근 20분/평시 25분 | 주말배차 | 20~25분 | ||
운수사명 | 대원시내버스, 동화운수, 천일버스 | 인가대수 | 8대 | ||
노선 | 광천동 - 광천e편한세상 - 유스퀘어 - 신세계백화점 - 상록회관 - 북광주수협 - 광주역 - 중흥1동주민센터 - 금남로5가역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동구청 - 동구노인복지회관 - 법원입구 - 장원초교 - 제4수원지 - 충장사 - 원효사 |
20px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1187-1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전남여고)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원효사) | ||
종점행 | 첫차 | 07:00 | 기점행 | 첫차 | 07:00 |
막차 | 18:20 | 막차 | 18:20 | ||
평일배차 | 운휴 | 주말배차 | 10~25분 | ||
운수사명 | 세영운수 | 인가대수 | -[1] | ||
노선 | 전남여고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동구청 - 동구노인복지회관 - 법원입구 - 장원초교 - 제4수원지 - 충장사 - 원효사 |
2 개요
419번, 518번과 더불어 노선번호 부여법칙을 따르지 않는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18번 시내버스(신창동 - 광주역 - 전남여고 - 농장다리 - 원효사)가 전신이다. 당시에는 호남대 광산캠퍼스에서 구.도청을 거쳐 무등산으로 올라가던 777번 좌석버스가 있었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50~60분으로 크게 길었다.
- 광주시에서 좌석버스가 쇠퇴해감에 따라 777번도 이런 흐름을 버티지 못하며 입석버스로 전환되는 동시에 노선이 크게 변하게 되었다.
- 2004년 개편 때 777번의 종점이 지산유원지로 바뀌고, 18번은 구.도청으로 단축된 동시에 번호가 1187번으로 바뀌었다. 이 때는 10개 회사가 모두 운행하기도 했다.
- 2007년에 광주역과 유스퀘어 연계를 위해 광천동까지 연장되었다.
4 특징
- 1187은 광주광역시의 유명 관광지이자 상징 중 하나인 무등산의 해발 고도가 1187m이라서, 이를 상징하기 위해 붙여진 번호다.
- 무등산 등산로로 가는 노선들은 많지만, 이 노선을 제외하면 전부 증심사로 간다.
- 산수오거리에서 무등산장 입구까지 깊숙히 들어가는 덕분에 행락철에는 많은 등산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2] 이 때문에 주말[3]에는 세영운수 차량 중에 주말에 쉬는 3대를 가져와 임시노선인 1187-1번을 운행한다.
- 버스가 자주 안 오는 신안동 자동차거리와 양동 주공아파트 지역에서 시내를 이어주는 역할도 한다.
- 금정산을 오르내리는 부산 버스 203에 비하면 양반이지만 이 노선도 산을 타는 노선인만큼 급커브가 상당히 많아 이니셜 B(...)를 느끼기 나쁘지 않은 노선. 대신에 산수오거리에서 출발하여 무등산으로 올라가는 도로구간은 드라이브 명소로 손에 꼽는 명구간인 만큼 혼잡한 도심을 벗어나 자연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인 노선이다. 다만 급경사 구간을 오르내리는 만큼 눈이 내리는 날에는 '광천동 - 산수오거리' 구간만 운행한다. 1187-1번은 당연히 결행. 대신 증심사 쪽은 결행이 적으니 그 쪽으로 가면 된다.
- 아트버스 차량이 2대(2772호, 3714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