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도(도검)

Military Sword/軍刀

1 개요

근대 이후의 군대에서 사용하는 도검.

군대에서 도검을 사용한 것은 고대부터이므로, <군대에서 사용하는 칼>이라는 개념이라면 매우 오래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군도라는 개념은 18세기 이후의 유럽 군대에서 시작되었다. 17세기까지는 달리 제식 도검이라든가 동일한 규격으로 생산해서 전군을 똑같은 무기로 무장시킨다는 개념이 없었으며, 군복이나 도검, 창이나 폴암 등의 무기에 이르기까지 알아서 장만[1] 해오는 방식이었다. 장교들의 경우 특별히 화려한 검을 장만하거나 부대에 따라 디자인을 맞추는 경우가 있었으나 제식이나 통일된 규격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계급을 상징한다기보다는 개인의 자랑에 더 가까웠다.

30년 전쟁에서 큰 활약을 펼친 17세기 스웨덴의 왕인 "북방의 사자" 구스타브 2세 아돌프 대왕은 근대 군대의 효시가 될 군복을 최초로 제정하였으며, 구스타브 2세의 영향을 충실히 따라 18세기가 되면 대부분의 유럽 군대가 군복과 제식 무기를 지정하고 생산하여 전군을 동일한 무기로 무장시키는, 현대 군대와 같은 개념이 정착되어 있었다. 18세기는 이미 전 병력이 총으로 무장하고, 주요 백병전 무기는 총검으로 이행되어 있었으므로, 도검의 실전성은 기병을 제외하면 크게 퇴색된 상태였다.

또 18세기에는 17세기처럼 귀족부터 평민까지 호신을 위해 광범위하게 도검을 휴대하고 다니던 문화가 사라졌으며, 귀족만이 휴대하고 다니는 물건이 되었다. 18세기의 장교들은 대부분 귀족이었으며 도검은 귀족의 상징처럼 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장교들의 권위를 상징하는 수단으로써 도검을 활용하게 되었다.

또 자신이 소속된 부대나 병과에 따라 도검의 디자인을 다르게 함으로써 소속 부대를 구분하도록 하였고, 계급에 따라 외장을 다르게 제정함으로써 일종의 계급장, 소속부대 표시의 역할도 맡게 되었다. 이처럼 단순히 실전성뿐만이 아니라 실전 외적인 요소를 크게 내포하였으며, "제식"에 따라 동일한 디자인으로 생산되었다는 점이 이전 시대의 군용 도검과 18세기 이후의 "군도"를 구분하는 가장 큰 요소이다.

2 양상

군도의 착용 및 디자인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 착용주체 - 장교와 부사관. 병사의 경우 척탄병이나 기병과 같은 특수병과에서는 착용이 허용되었다. 장교의 권위를 특별히 세워야 하므로 장교와 부사관의 도검 디자인은 다른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보병병사나 포병병사의 경우 브리큇이나 포병도 같은 간략한 도검을 착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철저하게 실용적인 이유로 있는 것이고 전투보다는 작업에 곧잘 사용되는 것이었다.
  • 병과별 차이 - 기병의 경우 경기병은 휘어진 세이버, 중기병과 흉갑기병은 곧거나 약간만 휜 세이버를 사용했다. 이 차이는 경기병은 빠른 속도로 전투하므로 고속전투에 알맞는 곡도, 중기병과 흉갑기병은 덩치를 바탕으로 적에게 강력한 타격을 주어야 하므로 타격력에서 우월하다고 평가되는 곧거나 덜 휜 도검을 사용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기병대는 도검전투를 빈번하게 하기 때문에 장식적 요소보다는 실전적인 도검 디자인을 선호했다.
보병은 척탄병같은 정예 특수부대를 제외하면 장교와 부사관만이 군도 패용이 허용되었으며, 이들의 군도는 실전에서 칼싸움을 하기보다는 권위를 상징하고 돌격을 선도하는 지휘봉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곡률이 낮은 세이버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결투에나 어울리는 스몰소드도 제법 사용되었다. 또 기병도에 비하면 장식적이고 계급장적인 요소가 강했다. 보병병사의 경우 브리큇(Briquet)이라 불리는 75cm 정도의 짧은 도검을 소지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황동주조 손잡이로 싸게 만들어진 것으로 백병전용으로 주어진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작업에 훨씬 유용하게 쓰였다.
포병은 포병도(Artillery sword)라는 독자적인 규격이 일반적이었으며, 포병도는 고대 로마군글라디우스에서 영향을 받은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황동 일체성형 손잡이에 60cm전후의 짧은 칼날을 가지고 있었고, 작업에 쓰라고 길이 재는 눈금이 새겨지거나 등에 톱날이 달린 것도 있었다. 이러한 것은 부사관이나 병사가 소지하던 것이고, 장교들은 보병들처럼 평범한 세이버를 소지했다. 포병장교의 세이버는 보병이나 기병과는 다른 디자인을 제정해서 사용했다.
해군은 함상전투를 위한 커틀러스를 소지하였다. 당시는 배에서 배로 건너가 싸우는 보딩전투가 많았기 때문에 병사들도 커틀러스를 소지하였으며, 장교나 부사관은 평범한 세이버를 따로 제정해서 차고 다녔다. 해병대도 동일하였는데, 당시의 해병대란 상륙작전과는 별 관계가 없고, 보딩전투를 전문적으로 맡는 병과였기 때문이다.

3 군도 검술

18세기에서 20세기까지 군도술은 군도의 형태와 특징에 관계없이 단 하나의 세이버 검술(Saber exersice)에 의해 통제되고 있었다. 스몰소드 형태의 군도만이 스몰소드 검술에 의해 통제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획일화는 도검이 실전주체에서 멀어졌기 때문에 굳이 형태별 검술을 따로 제정할 이유가 없었고, 검술도 제식이었기 때문이었다. 오랜 시간 동안 세부적인 변화가 있었고,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들어 변화와 간략화를 거치지만, 근본 검리는 전혀 달라진 바가 없었다. 자세한 내용은 세이버 검술 항목 참조.

4 전세계적인 영향과 현대의 군도

19세기부터 유럽 각국이 제국주의를 내세워 동양을 침략하면서, 군사력에 압도된 동양 국가들은 앞다투어 서양식 군사 제도를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서 유럽식 군도 개념이 그대로 아시아 국가에 이식되었으며, 그 덕택에 현재 전 세계는 군도에 대한 동일한 관념을 가지고 있다. 일본군도의 경우 형태가 일본도일뿐 유럽식 군도에 해당하는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장교가 군도를 착용하는 전통이 유지되었으나, 1차대전 이후에는 일본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군대가 군도를 폐지하였다. 장교의 권위의 상징의 역할은 권총으로 넘어간 상황. 현대 군대에서는 예식용으로 일부 군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실전에 나서지는 않는다.

5 관련 항목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군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전근대 군대는 갑옷과 무기를 모두 자기 돈으로 사야만 했다. 규격화된 장비를 지급해도 무기 값은 월급에서 따로 빠져나가는 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