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지

金自知

1367년 ~ 1435년

고려말, 조선 초기의 문관. 김자지라는 이름이 압권이나 고려 중기 문관인 왕자지에 비하면 조금 모자란다. 참고로 호는 일계(逸溪), 자(字)는 원명(元明), 본관(本貫)은 연안(延安).

고려 우왕문과에 급제했다. 조선 건국 뒤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에 따랐으며 음양, 천문, 지리, 의약분야에서 전문가이다. 이쯤이면 만능이라고 불러도 좋겠다. 조선시대 때에는 세종 때까지 벼슬자리에 있었으며 한 때 판결을 잘못 내려 파직을 겪었으나 뒷날 재기용되었다. 태종, 세종 때 형조참의, 형조참판, 호조참판, 형조 판서 등 제법 품계가 높은 벼슬에 여러 번 올랐다.

대사헌 재직 시에는 방자한 세도공신들을 탄핵하러 5번이나 상소를 올려 당시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거기에 준재에다가 박학한 학자였다고도 하니, 이쯤이면 교과서에 나올 법도 한 인물이지만 학생들이 이름으로 개드립을 칠까 봐 교과서에는 전혀 없어서 안습. 그 탓에 김자지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응? 그럼 이 분은 뭐지?[1]

김자지 선생 묘는 양평에 있으며 현재 양평군 향토 유적 30호로 지정했다. 동생의 이름은 김여지로, 김자지와 같은 양평에 묘가 있다. 가족묘로 조성해서 같은 곳에 모셨다. 사실 김자지 선생 형제의 이름 뜻을 새겨보면 나를 알고(自知) 너를 안다(汝知)는 꽤 멋진 댓구가 된다. 다 그놈의 구개음화가 문제다

'잠지'라는 말은 김자지의 후손들이 해괴망칙한 조상의 이름 탓에(또는 피휘를 위해) 만들어낸 단어라고 한다. 절대로 김자지 선생의 형제 이름이 아니다. 첨언하면, 당시 知의 발음은 '디'였기 때문에 '김자디'로 거시기와는 다르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었겠지만 근대국어 시기에 대대적으로 발생한 구개음화로 이리 된 것. 그런데 '잠지'도 일부 지역에서 쓰는 말이니 문제다. 영아의 자지를 잠지라고 부르는데, 대략 1980년 이전까지는 충청도, 경상남도, 전라남도에서 주로 썼다니 특이하다. 이제는 멀리 퍼져 나갔는데 영아보지를 잠지라 부른다고 잘못 안다. 어원을 추측하기 힘들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표준어다.

김자지 선생과 일가친척은 아니지만 조선초의 문관으로 김보지라는 인물도 있다. 공교롭게 이 사람도 세종대왕 시대에 활동하여 시대적으로도 가깝다.

아들만 9명이었다고 한다.이분와는 대비 된다. 이름값 했네

후손중 한명으로 중종 대의 권신인 김안로가 있다. 김자지에겐 고손자[2]에 해당한다.
  1. 그런데 역사상의 중요한 인물 중에서도 교과서에 실리는 인물은 원래 몇 되지 않는다. 시대를 대표하거나 역사의 흐름을 바꾸어 놓은 정도의 인물이 아니면 교과서에서 소개되지 않는다. 김자지 선생이 출중한 인물이었다고 해도 역사상 그만큼의 비중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교과서에 없는 건 당연.
  2. 정식으론 현손으로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