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분실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넘어옴)
파일:/image/277/2012/11/30/2012112912200110396 1 59 20121130132108.jpg
▲ 경찰청 인권보호센터(舊 서울 남영동 대공분실/보안분실 건물)
파일:/image/308/2011/04/01/9886 20210 4920.jpg
▲ 서울 홍제동 대공분실/보안분실[1]
파일:/image/277/2012/11/30/2012112912200110396 5 59 20121130132108.jpg
▲ 박종철이 사망한 남영동 대공분실/보안분실 조사실. 2001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파일:/image/002/2011/11/14/10111106151302(4).jpg
▲ 박종철을 고문하여 숨지게 한 경찰들에 대한 현장 검증을 하는 모습
540px-Gyeonggi_Provincial_Police_Agency_National_Security_Investigation_Squad_IV_-_1.jpg
▲ 2015년에 촬영된 실제 대공분실 건물(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북부지방경찰청 대공분실. 출처 : 위키미디어 공용(사진원본))

1 개요

對共分室, 保安分室

대한민국 경찰청 보안수사대가 설치한 기관. 보안분실이라고도 부른다. 설치 당시 형식상 목적은 방첩, 국가보안법 위반을 한 사람을 조사하는 것이지만, 실상은 서슬퍼런 군사독재 시절 높으신 분들의 심기를 건드린 자들에게 코렁탕을 대접하고, 혹은 죽여서 내보내던 곳.

민주화 이후에는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일부 재야세력(특히 NL계열 인사)에 대한 수사를 하고 있다.

2 역사

대한민국 경찰청 인권센터 홈페이지의 역사관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2]

치안본부 대공분실은 1948년 10월 대간첩 수사 업무를 위해 치안국 특수정보과 중앙분실로 발족하였으며, 1970년 10월 정보과 공작분실로, 1976년 5월에는 치안본부 대공과 대공분실로 바뀌었고, 1983년 12월에는 좌경의식 수사 업무를 흡수하고 제4부 대공 수사단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경찰청 대공수사 1단․2단, 대공2부, 보안3과 등으로 직제가 개편되었다. 남영동 대공분실 청사는 업무 특성상 ‘00해양연구소’라는 간판으로 철저히 위장, 70-80년대 민주화 운동을 하던 많은 인사들을 취조․고문하던 곳으로 특히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 현실

목적이야 진짜 간첩을 색출하고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사람을 조사하는 것이지만, 국보법을 전가의 보도로 휘두른 군사독재 시절엔 헌법상 보장된 자유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민주화운동을 하거나 정권 입장에서 마음에 안드는 사람을 고문해서 빨갱이로 몰아 고문하고 죽이던 악명높은 장소.[3] 경찰서처럼 간판이 설치되어있지 않았고 지도에서도 나와있지 않다. 지번도에서도 정식 명칭은 나와있지 않고 번지수만 나와 있거나 위장 상호가 적혀있다. △△상사, □□산업 등으로 되어있다. 이름 그대로 되어있는 곳을 보고 일반 회사인줄로 아는 사람도 있었다.(관련 기사) 또 소속 경찰관끼리 정식계급을 붙이지 않고 ☆☆계장님, ○○사장님 식으로 말한다. 일부 보안수사대는 청사 내에 태극기를 상시 게양하여 공공청사임을 추정정도는 할 수 있다.

군사정권시절때 고문을 가해서 빨갱이로 몰았었던 과거사와 폐쇄적인 환경에 따른 인권침해 이유로 폐지 여론이 거세다.

간판도 달지 않고 그나마 몇몇 있던 곳도 간판을 뗀 상황인데, 2015년 간판 30개를 다는데 3억여원이 넘는 예산을 신청해 논란이 되고 있다. 간판 1개당 천만원 수준.(관련 기사) 통째로 철거한대도 그보단 덜들겠다

2012년 2월 17일 백재현 민주통합당 의원의 요청으로 경찰청이 공개한 전국 보안수사대는 아래와 같다. 부산지방경찰청과 대전지방경찰청은 별도의 보안분실을 조성하지 않고 청 내에서 수사한다. 이후에 상세 위치 및 현황에 대해 재공개하지 않았기에 폐쇄된 곳도 있을 수 있다.(한겨레 기사)

  • 경찰청 보안수사1·2·3대(경찰청 세검정로 별관):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283-25.
  •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1대: 서울 종로구 옥인동 45-21. 지도 상 명칭 부국상사. 1979년 10월 신축. 2015년 이전 추진(한겨레 기사).
  •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2대: 서울 동대문구 장안동 439-1. 1989년 1월 신축. 지도 상 명칭 경동산업.
  •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3대: 서울 양천구 신정동 1289-1. 2001년 11월 신축. 지도 상 명칭은 치안연구소.
  •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4대: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 16-6. 1979년 1월 신축.
  • 인천지방경찰청 보안수사1·2대: 인천 남동구 만수동 6-60.
  • 대구지방경찰청 보안수사1대: 대구 남구 대명6동
  • 대구지방경찰청 보안수사2대: 대구 수성구 범어2동
  • 울산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 울산 중구 학성동 462-1. 1989년 중구 태화동에서 옮김.
  • 광주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 광주 남구 봉선동 26-13 광주남부경찰서 내.
  • 경기지방경찰청 보안수사1·2·3대: 경기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441-1.
  • 경기지방경찰청 보안수사4대: 경기 의정부시 신곡동 610-5.
  • 강원지방경찰청 보안수사1·2대: 강원 춘천시 효자1동
  • 강원지방경찰청 보안수사3대: 강원 강릉시 견소동 230-7. 지도 상 명칭 영동물산.
  • 충북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 충북 청주시 상당구 지북동
  • 충남지방경찰청 보안수사1대: 대전 중구 옥계동 162-1
  • 충남지방경찰청 보안수사2대: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신계리 172-2 . 지도 상 명칭 흑성산업.
  • 전북지방경찰청 보안수사1·2대: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1동
  • 전남지방경찰청 보안수사1대: 전남 목포시 온금동
  • 경북지방경찰청 보안수사1대: 경북 경산시 계양동
  • 경북지방경찰청 보안수사2대: 경북 포항시 용흥1동
  • 경북지방경찰청 보안수사3대: 경북 구미시 남통동
  • 경남지방경찰청 보안수사1대: 경남 창원시 사파동 41.
  • 경남지방경찰청 보안수사2대: 경남 진주시 초전동 1191-1.
  • 제주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 제주 제주시 아라1동

구 사용 청사

  • 남영동 분실 - 서울 용산구 갈월동 98-8. 경찰청 보안3과로 사용되던 곳으로, 지금은 경찰인권센터로 쓰는 곳. 민주화 운동가를 고문하던 곳으로 악명이 높았던 곳

4 남영동 대공분실 : 대한민국 건축의 수치

이 중 이 문서의 첫 사진으로 나와있는 남영동 대공분실의 경우,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가 김수근의 악명높은 설계로 유명하다. 얼핏 봐도 외관이 상당히 멋지게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설계 의도를 들여다보면 건물 자체를 고문에 최적화된 구조로 설계했다는 설이 유력한 사실로 받아들여질 정도로 다양한 기법이 동원되어 있다.[4]

  • 방마다 문을 엇갈리게 설치했다. 설계도를 보면 알겠지만, 문이 열렸을 때 보이는 것은 벽면 뿐이다. 고문당하는 사람들끼리 혹시 서로 마주쳐서 연락을 주고받는 상황을 방지하며, 또한 건축적으로 시각적인 불안정을 야기시켜 공포감을 부추기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각된다. 다른 조사실의 소리는 들리지만, 시각적으로는 서로 철저히 차단되어 있다.
  •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로 통하는 문도 다른 취조실과 같은 모양, 일정한 간격으로 되어 있다. 빠져나가는 길을 찾기 어렵게 하여 탈출할 수 없게 하기 위한 의도이다.
  • 계단이 나선형의 좁은 원형 계단으로 되어있고, 계단의 옆면은 벽으로 막혀있으며, 계단 전체가 철제로 되어있다. 두 눈이 가려지고 신체가 결박된 채 끌려가는 조사대상자들은 자연스럽게 방향 감각과 고도 감각을 상실한다. 공간이 협소하고 경사가 급해 아래에선 누가 붙들려 올라가는지 분간이 어렵다. 이 원형 계단은 1층 쪽문 출입구에서 취조실이 있는 5층의 복도로 곧바로 연결되어 있다.
  • 천장을 높게 했다. 구두굽 소리가 크게 울려퍼지도록 해 고문실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에게 청각적 공포를 주기 위한 장치다.
  • 조사실의 문에는 보통 집의 현관문과 마찬가지로 외부 확인용 렌즈가 달려있는데, 일반적인 외부확인용 렌즈와는 달리 이곳의 렌즈는 안에서 밖을 볼 수 없다. 밖에서만 내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 윗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중간층에 밖에서 보이지 않게 세로로 길고 좁은 창으로 되어 있는게 전부 고문실 창문이다. 창문을 깨더라도 사람이 나가기 어려울 정도로 좁을 뿐만 아니라, 채광량 자체도 적어 공포감이 극대화되게 된다.
  • 직원이 사용하는 정문으로 통하는 일반 계단과 수용자를 들일 때 사용하는 건물 뒤 쪽문이 따로 존재한다.
  • 1층부터 5층까지 층수표시도 없고 조명도 없이 어둡게 되어있는 나선계단인데, 취조를 받으러 이 계단을 처음 올라가는 민주운동인사들에게 방향감과 공감각을 혼란시켜 공포감을 주기 위한 구조로 만들어졌다.[5]
  • 취조실에 샤워기와 욕조가 설치되어 있다. 물고문을 위한 용도이다.

이외에도 숱하게 많다.

몇 가지 고문 관련 사건은 이근안이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김근태를 칠성판에 묶고 물고문전기고문을 가한 사건과 박종철이 물고문을 당해 죽은 사건이 있다.[6]

파일:/image/028/2012/11/07/135229114256 20121108 59 20121107213614.jpg
▲ 남영동 분실 설계도

'남영동 대공분실'이지만 정작 위치는 남영동이 아닌 갈월동인데, 근처에 남영역이 있기 때문이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소재지는 갈월동.

현재 남영동 대공분실 건물에는 상술했듯이 경찰청 인권보호센터가 들어서 있다. 과거 경찰이 행했던 과거를 반성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5 기타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캠퍼스에 있는 클럽 이름도 대공분실인데,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캠퍼스가 옛 국가안전기획부 건물이 있던 자리여서 그렇게 지어진 듯하다. 이때문에 귀신을 목격했다는 학생들의 괴담이 속출하기도 했다. 이쪽은 약칭 DGBS라고도 하는데, 이 약칭은 과거 조선펑크의 산실이었던 홍대 드럭[7]의 리스펙트를 겸하는 듯하다. 홍대 드럭은 보통 DGBD라고 줄인 영칭이 있었다. 이쪽 대공분실에서는 주로 방송에 나온 적이 없거나 특성상 나오기가 힘든 비주류 인디밴드의 공연들이 이루어진다.

  1. 사진 오른쪽에 있는 다리는 내부순환도로. 해당 구간을 지나다보면 철망으로 된 터널형태로 설치된 구조물이 있다. 화염병 등을 투척하지 못하도록 하는 목적이라는 카더라가 있다. 그리고 그런 곳은 몇 군데 더 있다
  2. 1차 출처, 2차 출처.
  3. 군사정권 시절때는 대공분실 말고도 일반 경찰서에서도 고문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특히 연행된 사람이 여자라면 성고문까지 했었고, 민주화 운동가가 빨갱이로 몰리는 것 말고도 연쇄살인사건이 터졌을 때는 살인범으로 의심되는 사람도 경찰서에서 고문을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4. 대공분실 탐방 블로그 참조.
  5. 본래는 5층건물, 증축을 통해 지금의 모습인 7층이 되었다
  6. 저 위에 박종철이 고문당한 방 사진을 보라. 조사실에 욕조와 샤워기가 뭐하러 필요했을까? 그런데도 1988년도에 치안본부의 모 대공차장은 대공분실에 욕조를 설치한 이유는 조사받는 사람이 목욕하기 위한 것이라는 식으로 말했다. 물론 남영동 대공분실에 끌려와서 실제로 목욕했다는 이가 없어 망언에 가깝다.(당시 기사1, 당시 기사2)
  7. 크라잉넛도 여기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