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누리꾼에서 넘어옴)

Netizen

1 뜻과 어원

네이트 + 네이버 유저.

콩글리쉬가 아닌데도 한국인들 외에는 아무도 쓰지 않으며 있는지조차 모르는 영어 단어.[1]

network(네트워크) + citizen(시민)의 합성어. 한마디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유저를 인터넷 시민이라는 뜻으로 칭하는 신조어이다. PC 통신 시절에 나온 말이지만 인터넷 시대가 된 지금도 그대로 쓰이고 있다.

나무위키와 비슷한 성향을 띄는 영문 신세대 은어 위키백과인 Urban Dictionary에서는 아예 "한국인들만 쓰는 단어"라고 정의를 해놓았으나 Merriam-Webster 사전 등의 모든 영어사전에는 영어 단어로 표기되어 있다. 이렇게 신기하게도 영미권에서는 그리 많이 쓰이는 단어가 아닌 반면, 한국에서는 거의 일반명사급으로 아주 흔하게 쓰는 말로 정착되었다. 그래서 네티즌이란 말은 지금은 '인터넷 내에서 활동하는 한국 사람'이라는 한정된 의미의 용어로 쓰이고 있다.

또한 여러 영어사전에서 Cybercitizen을 유사 단어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 단어 역시 영어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단어이다. 보통 영어권에서는 네티즌을 그냥 인터넷 사용자(Internet user)라고 부르며 모든 네티즌들을 일컫어 인터넷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Come on, 'internet'! We can do it(힘내요, 네티즌 분들! 우린 할 수 있어요)."라든지.

이 단어가 어디서 유래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또한 어떻게 미국 등의 영미권 국가에서 자취를 감추고 한국에서만 쓰이게 되었는지 역시 알려지지 않았다. 여러 영어사전에 따르면 최초로 쓰이기 시작한 시기는 1984년 이후 혹은 1990년대 초반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015B의 노래 중 동명의 노래가 있다. 1994년 PC통신 시절에 나온 노래다!!! 015B 본인들의 말을 빌리자면, 네티즌이란 단어가 최초로 쓰였다고 하는데… 진위 여부는 불분명.

1.1 해외에서의 의미

이렇다 보니 오히려 '네티즌'이라는 단어가 해외에 K-POP 관련 영문 기사들을 통해 알려지면서 영미권에 역수출 되고있는 상황(...) 때문에 해외의 K-POP 팬들 사이에서는 은근히 꽤 알려져 있는 단어이며 한국의 K-POP 팬들이나 팬덤을 뜻하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다만 '네티즌'이 알려진 계기가 주로 아래도 서술되어 있듯이 NCSI의 연예인 개인 정보 유포나 네티즌들 특유의 군중심리로 연예인들을 마녀사냥하는 소식을 다룬 기사들이다 보니(...) 부수적인 의미로는 "잘 알아보지도 않고 특정 연예인을 흠잡아 마녀사냥하거나 그 흠을 잡기 위해 연예인의 개인 정보를 파내는 과격한 한국인 팬들 혹은 팬덤"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담게 되었다. 오타쿠라는 단어가 시간이 흐르며 부정적인 뉘앙스를 띄게 된 사례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뒤집어보면 '네티즌이란 단어를 쓰는 사람은 한국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 되어 일본에서는 혐한초딩들이 'ネチズン'이라 할 때는 거의 한국 네티즌을 가리키는 고유명사나 다름없이 쓰이고 있다.

'네티즌'이라는 단어와 매우 유사한 단어들을 쓰는 나라가 있는데 바로 중국이다. 중국에서는 네티즌과 비슷한 '왕민'(网民:넷시민)이라는 단어가 있으며 '왕유'(网友: 넷친구)라는 단어도 쓴다.

2 유사 단어

2.1 누리꾼의 뜻과 어원

누리(세계) + ~꾼으로, 네티즌을 순우리말로 바꾼 것.

이 단어는 2004년경에 공식 채택되어 쓰이기 시작했으나, 약 10년이 지난 현재도 일부 방송과 언론을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반 대중성이에선 언어순화라는 의도나 네트워크/인터넷의 번역어로 '누리'가 타당한지에 대한 의구심, ~꾼이라는 접미사가 직업적, 상습적이라는 의미를 줘서 네티즌의 의미를 변질시켰다는 등의 이유로 반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2] 결국, 언론에서는 지속적으로 꾸준히 사용되면서 어느 정도 쓰임새를 확보했다. 이 정도면 리플에 대응하는 댓글과 함께 상당히 성공적인 언어순화로 손꼽힌다.[3] 같이 등장했다가 완전히 버림받은 누리집[4]이나 그 외에 누리가 들어가는 누리소통망[5], 누리사랑방[6]국립국어원은 누리를 좋아한데요~좋아한데요교과서로 홍보해도 소용없다. 이후 잠깐 쓰이다가 버림받은 참살이(웰빙)[7] 등의 경우를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3 특성

같은 편이 되어도 도움은 안되는 주제에 적이 되면 피곤한 것들.

3.1 익명성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인지 상당히 호전적인 사람이 많으며, 상대를 비방하는 일을 아르바이트로 하기도 한다카더라. 또한 익명성 때문인지 도를 넘은 특정인에 대한 인신공격, 비방을 서슴치 않고 하여 법적으로 구속된 사례도 많다. 대표적으로 최진실 사건으로 인하여 최진실법을 제정해 모욕죄에 관한 대폭적인 처벌 향상이 계획되었으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대폭적인 향상까지는 미치지 못했다.

3.2 냄비근성

온라인의 특성상 여론 형성은 빠르지만 시간이 조금 지나고 관련 사건이 잠잠해지면 그 여론이 빨리 식어버리기 때문에 이를 냄비에 비유한다.

3.3 2D[8]

인터넷의 특성상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한 곳에 모일 수 있어서, 물량 진리를 보여주기도 한다. 브레인스토밍은 기본이요, 많은 인력을 동원한 스토킹조사도 가능한데다가, 능력자가 존재할 확률도 증가한다! 물론 이들의 조사능력이 아주 정확하다고는 볼 수 없다.

3.4 군중심리

위에 언급된 익명성과 냄비근성이 합쳐져 어떤 사건이 터지면 해당 용의자를 우루루 까다가, 마녀사냥으로 드러나거나 상황이 반전되면 아무런 자성없이 언제 그랬냐는듯 버로우타거나 반대로 동조하는 식의 사실이든 아니든 일단 신나게 까고 보자 아니면 말고 식의 무책임한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특히 평소에는 인터넷 기자들을 기레기라고 부르며 매우 부정적으로 보면서도 자기가 믿고싶은 기사에는 그대로 기사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여 낚이고, 또 아니라고 밝혀지면 모든 발단을 기자탓으로 돌리며 발빼는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4 각 국가의 네티즌 인구

아래는 모두 영어 위키백과에서 출저한 이미지들이다.

파일:Attachment/네티즌/WorldInternetPercentage.png
각 국가의 인터넷 보급률. XX%라면 그 나라 전체 인구의 XX%가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파일:Attachment/네티즌/WorldInternetNumbers.png
각 국가의 인터넷 사용자 인구.

파일:Attachment/네티즌/WorldInternetTerritories.png
한국 위에 어느 반국가단체가 사라졌다 그럼 사이버 전사는???.
인터넷 사용자 인구 1백만 명 당 영토 세 칸으로 계산해 다시 그린 세계지도. 국가 영토가 더욱 붉은 색일 수록 인터넷 사용 인구외에 보급률 또한 높은 것을 나타낸다.

육안 상으로만 따져도 원래 크기의 몇 배 이상은 물론이고 동유럽보다 커진 한국이 얼마나 인터넷 보급력과 영향력이 엄청난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영토보다 네티즌 영토가 훨씬 크면서도 인터넷 보급률 80%이상을 유지하는 나라는 영국, 독일, 네덜란드, 그리고 한국 뿐이다.

5 관련항목

  1. 현재는 한국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유저를 칭하는 고유명사로서만 쓰이고 있다.
  2. ~꾼이 부정적 어감을 주는 어미라서 좋지 않고, 심지어 이것이 네티즌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덧씌우기 위한 모종의 음모라는 주장을 하는 한 사람이 있지만, 이는 사리에 맞지 않는다. 우선 ~꾼은 해당 행위를 직업적, 습관적,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을 뿐 부정적인 어감이 내포된 것은 아니다. (예컨대 나무꾼, 파수꾼, 일꾼 등) ~꾼이 붙은 말이 부정적인 어감을 발생하는 것은 그 앞에 붙은 어간 그 자체에 부정적인 선입견이 널리 유포되어 있기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컨대 정치꾼, 장사꾼, 거간꾼 등)
  3. 하지만 걸러서 봐야할게 댓글은 대중들이 자의적으로 썼지만 누리꾼은 거의 억지 밈으로 시작했다는 차이가 있다.
  4. 홈페이지를 다듬은 말이였으나 최근에는 블로그를 뜻하는 경우가 잦다. 반강제적으로 쓰게 할려고 교과서로 세뇌시키며 일부 관공서 홈페이지에는 누리집 안내도 라는 이해하기 힘든몇몇 어르신은 이게 뭔 말인고 하며 이해하지 못하신다. 이상한 단어며 쉽고 편리하게 단어를 쓰란 언어순화의 취지에는 맞지 않다.일단 쓰이지가 않는다.
  5.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순화한 단어로 이해하기 힘들어 교과서 외에는 잘 쓰이지 않고 있다.
  6. 게시판을 순화한 단언데 아무도 안 쓰며이걸 누가 알아먹나 이상한 교과서 단어 취급받는다.
  7. '참혹하게 죽이다'라는 뜻의 참살(斬殺)과 발음기 같기 때문이다.
  8. 가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