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鐵棒 / Chin-up Bar
1 운동 시설
두 개의 굵은 기둥 사이에 사람 손이 감싸기 좋을 정도의 굵기의 철봉을 수평으로 꽂아둔 기구.
동네 공원이나 대다수의 학교에 한 세트씩 설치되어 있다. 놀이터에서도 종종 어린이용 낮은 철봉을 찾아볼 수가 있다.
주로 턱걸이를 하는데 사용되고, 매달리기만 해도 척추건강에 도움이 된다. 무릎을 철봉에 걸어놓고 거꾸로 매달리고 싶을 때 쓰기도 한다. 악력이랑 균형감각이 어느정도 된다면 앞으로 빙빙 도는 대차라는 걸 할 수 있다.
1.1 비슷한 운동 기구
1.1.1 구름 사다리
기둥들 위에 사다리를 올려놓은 형태. 팔로 봉에 매달려 전진하며 근력을 키우는 게 주된 용도지만, 이걸로 턱걸이를 하거나 위로 올라가서 기어다니며 놀기도 한다. 잘못하면 머리가 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어릴적엔 수월했지만 성인이되고선 (꾸준히 운동을 안했다면) 의외로 힘들다. 어릴 땐 밑에서 어른들이 받쳐주니까 자주해주면 전완근(악력), 광배근, 삼각근등을 단련할 수 있다.
어린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놀이터에서는 코끼리 등 같은 둥그런 아치 형태의 구름사다리도 보인다. 이들의 사용법은 그 위로 올라가서 노는 용도. 용기 측정기
1.1.2 늑목
초등학교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사다리 모양의 기구. 스웨덴 체조의 영향을 받은 기구들 중 하나이다. 영어로는 Wall bar, 일본어로는 기구의 모양이 마치 사람의 갈비를 닮았다고 해서
라고 한다. 보통 여러 개의 사다리로 이루어져 있고, 사다리 맨 끝은 하나의 봉으로 이어져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양손을 위로올려 붙잡고 등을 기댄채 다리만 들었다놓으면 복근단련에 매우 좋다.
재활병원에서 물리치료를 하다 보면 이와 유사한 물건을 볼 수 있는데 이건 따로 슈로스(Schroth)라고 한다. 보통 중증의 척추측만증을 교정하는 데 쓴다.
1.1.3 평행봉
철봉 두 개를 서로 수평으로 놓은 것. 두 철봉을 잡고 팔로 전신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운동 기구가 많은 곳에 있다. 이거 하다 떨어지면 겨드랑이와 어깨가 매우 아프다
보통 높이가 적당하기에 머슬업 연습할때 좋다. 땅을 박차고 올라가는 힘을 이용해 부족한 근력을 보충해주고 머슬업을 연습하는것. 물론 익숙해질수록 박차는힘을 빼줘야한다.
저기에 올라타는 애들 꼭 있다.
1.2 실내용 철봉
실외 철봉과 같이 집안에 설치하는(혹은 세워두는) 철봉이 있고, 문틀에 끼워서 사용하는 철봉이 있다.
예능에서도 철봉 매달리기와 같은 게임을 하는 경우가 있다. 팔의 힘과 몸무게도 중요하지만, 몸을 감싸는 쪽이 대개 더 유리하다.
1.2.1 문틀 철봉
인터넷에 문틀 철봉, 불사조 철봉 등등으로 검색해보면 구매할 수 있다.
문틀에 끼워놓은 모양새를 보면 뭔가 불안하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데, 꽤나 튼튼하고 안정적이라서, 위험한 물건이라고 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유튜브에 검색해보면 이걸로 운동하다 떨어지는 영상이 꽤 있는 만큼 기존 철봉에 비하면 불안한 것이 사실. 쓸때마다 적당히 확인해주자. 문틀에 검은색 흔적이 남게 되는것들도 꽤 있다.
1.3 철봉체조
기계체조 중 하나. 말 그대로 철봉을 이용한 체조인데, 기본적으로는 앞뒤로 도나 여러 가지 고난도 기술이 있어 남자 기계체조의 꽃으로 평가받는다. 이걸 할 때 손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장난이 아니므로 장갑을 끼고 손에 파우더를 바르는데 전용 장갑이 있지만 그냥 목장갑을 끼기도 한다. 올림픽에서 사용되는 전용 철봉은 상당히 낭창낭창하여 고난도의 기술을 보다 쉽게 선보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올림픽 종목으로는 1896년 첫 대회부터 채택되었다. 여기서 메달을 기록한 한국 선수로는 이주형이 시드니 올림픽에서 기록한 동메달이 유일하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일본과 중국이 강세를 보였다가 현재는 골고루 메달을 따고 있다.
여자 기계체조 종목에는 이단평행봉이 있다. 평행봉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운동장에 있던 것이 생각날지 모르나, 해당 문단의 사진을 보면 높낮이가 다른 두 개의 철봉을 나란히 늘여놓은 것이다. 실제로 흔하게 볼 수 있는 평행봉도 철봉의 아류이기는 하지만 이쪽은 남자 전용 종목이다.
1.4 기타사항
대부분의 철봉은 쇠 재질인데다 야외에 방치되어 있어 비로 인한 녹이 슬기 쉽다. 이 때문에 철봉을 오래 잡고 난 후 손 냄새를 맡아보면 진한 쇠 냄새를 음미할 수 있게 된다.
또 철봉을 잡고 한바퀴를 도는 묘기를 부리다가 떨어지면 목이 꺾이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철봉으로 묘기를 부릴 때는 사전에 바닥에 매트를 설치하는 것이 낫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았을 때에는 함부로 묘기를 부려서는 안된다. 철봉위에 올라가 서지 말자 미끄러져서 다리 사이에 들어가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허접한 철봉은 손으로 잡는 봉부분이 기둥에 제대로 붙지 않아 구멍 안에서 회전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동물도 할줄 안다
1.4.1 철봉과 혀
겨울철에는 차가워진 철봉에 혀를 대었다가 혀가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그런데 대체 누가 왜 그런 짓을? 차가운 철봉에 혀가 달라붙는 이유는 침이 얼어붙어서이다. 혀는 매우 축축하고 그것의 온도는 체온보다 따뜻한데, 그 상태에서 혀를 차가운 물체에 갖다대면 순간적으로 침의 물기가 냉각되면서 침과 물체가 같이 얼어붙게 된다. 당연히 이 이야기는 어디에나 적용된다. 얼음에 혀를 갖다댄다든지. 영화 덤 앤 더머에서도 스키장 가서 탄 리프트에 이렇게 장난치다가 혀가 붙는 장면이 나오는데, 결국 떼지 못하고 계속 리프트에 앉아 다음 승객과 인사를 하게 된다(...).
놀란 마음에 급하게 혀를 떼어내려하면 혀의 살점이 쉽게 뜯겨 나가고 치명적인 상황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대처법은 미지근한 물을 달라붙은 혀에 조금씩 부어주는 것이다. 곧 혀가 다시 녹기 때문에 쉽게 혀가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주변에 미지근한 물이 없다면, 차가운 물이라도 혀 주위에 여러 차례 부어서 혀가 완전히 떨어진 다음에 안전하게 조치하는 것이 낫다. 하지만 그 마저도 없는 상황이라면 입 안의 침을 최대한 혀 끝으로 흘려보내 녹인 뒤 조심히 떼어내야한다. 위 내용은 KBS의 프로그램 위기탈출 넘버원의 2012년 12월 17일 방영분에서 안내되었다.
1.5 관련 문서
2 철 재질의 둥근 대
철로 만든 둥근 봉, 즉 쇠몽둥이이다. 이것으로 맞으면 매우 아프고 아마추어 경기에서 쓰는 알루미늄 배트와는 다르다. 쇠파이프 문서 참조.
1번 항목의 철봉은 이 2번 항목의 철봉 3개로 만들 수 있다.
3 철봉 라인
아프리카 TV bj 철구 + 봉준이 합동방송 혹은 스타 대전을 할 때 철봉 라인이라는 말을 쓴다. 또는 철봉록이라는 말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