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삼국지)

촉서 「동류마진동여전(董劉馬陳董呂傳)」
동화유파마량마속진진동윤여예

董和
(? ~ 221년 이전[1])

1 개요

후한 말의 문신이자 삼국시대 촉한의 인물. 는 유재(幼宰). 동윤의 아버지.

2 정사

2.1 유장 휘하에서

익주목 유장은 그를 우비장(牛□長), 강원장(江原長), 성도령(成都令)으로 임명했다.

땅은 토질이 넉넉하고 곡식이 풍성했으므로 당시 풍속은 사치스러웠고 재산이 있는 사람들은 제후의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었으며, 혼인과 장례에 집안이 기울고 가산이 탕진할 지경에 이르렀다.

동화는 솔선수범해 검소하게 살면서 수수한 옷을 입고 간소한 식사를 했으며, 신분을 넘는 행위를 말리고 금지하면서 이에 대한 규제를 만들었으므로 그가 부임한 곳마다 풍속이 바뀌고 선한 방향으로 변했다. 백성들은 법규를 두려워해 이를 범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의 호족들은 동화의 엄한 법을 싫어했으므로 유장에게 동화를 파동(巴東)의 속국도위(屬國都尉)로 전임시키도록 진언했는데, 수하에 있던 수천 명의 관리와 백성들 그리고 노약자들이 동화의 유임을 간절히 원해 유장은 그를 2년간 더 유임하도록 했다.

그 후 돌아와 익주 태수로 승진했는데, 그의 남다른 청렴함과 검소함은 여전했다. 동화는 남방의 이민족들과 협력하여 일하고, 성의로써 일관되게 일에 매달렸으므로 남방 사람들은 그를 아끼고 신뢰했다.

2.2 유비 휘하에서

214년에 유비가 촉을 평정하자 동화를 초빙해 장군중랑장(掌軍中郎將)으로 임명하면서 군사장군 제갈량과 함께 좌장군 대사마(유비)의 일을 담당하도록 했는데, 옳은 것은 아뢰고 옳지 않은 것은 폐지하도록 진언해 제갈량과 즐거이 사귀게 되었다.

동화는 관직에 올라 봉록을 먹은 이래로 밖에서는 먼 지역의 장관이 되었고, 안에서는 정치의 중추를 담당하며 20여 년을 지냈지만 죽었을 때 집에는 쌀 한 섬의 재산조차도 없었을 정도로 검소했다. 20년을 근속했는데 쌀 한 섬 조차 남지 않았다면 흥청망청 아닌가?

제갈량이 후에 승상이 되었을 때, 부하들에게 훈계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각기 직무를 담당한 자는 사람들의 의견을 모으고 주군에 이익이 되는 의견을 널리 받아들이도록 하라. 만일 작은 불만이 있는 사람을 멀리하고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곤란한 것으로 생각한다면 국가의 큰 일에 해를 입히게 될 것이다. 다른 의견이 타당하다면 찢어진 신발을 버리고 주옥을 얻는 것처럼 하라. 그러나 사람들의 마음이 고통스럽다면 모두 할 수 없다. 오직 서원직(서서)만은 이러한 일에 처했을때 미혹되지 않았고, 또 동유재(동화)는 직무를 담당한 7년동안 불충분한 점이 있으면 10번씩 반복해 상담하고 지적해넀다. 진실로 자네들이 서원직의 10분의 1만이라도 배울 수 있고, 동유재처럼 돌이켜 검토하는 태도를 갖고 국가에 충성한다면 나 또한 잘못을 적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제갈량은 또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이전에 처음에는 최주평(崔州平)과 사귀면서 잘한 것과 잘못한 것을 자주 지적받을 수 있었으며, 후에는 서원직(서서)과 사귀어 그의 가르침을 여러 번 받았다. 이전에 동유재(동화)와 함께 일을 한 일이 있었는데, 그는 매번 자신의 의견을 전부 말했고, 후에 호위도(호제)가 일을 맡으면서는 여러 차례 간언을 하여 부당한 결정을 제지했다. 비록 내 성품이 우매하고 닦여지지 않아 그들의 의견을 전부 받아들일 수는 없었을지라도 이 네 명과는 처음부터 끝까지 친하게 지냈으며, 이는 그들의 직언을 의심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충분하다.

제갈량이 동화가 죽은 후에 부하들에게 동화에 대한 이야기로 훈계를 했을 정도로 제갈량이 이처럼 동화를 아꼈던 추념의 정은 깊었다.

세설신어에서는 허정의 아들 허흠이 죽었을 때 동윤, 비의 등이 장지에 가고자 했는데, 아들 동윤이 수레를 청하자 뒤가 열린 녹거를 내줬다. 동윤은 수레를 타기 어렵다는 기색을 띄었지만 비의는 곧장 앞쪽에서 먼저 올라탔는데, 장지에 도착해 제갈량과 여러 귀인들이 모두 모이니 수레들이 매우 훌륭했다.

동윤은 여전히 안색이 편치 못했지만 비의는 태연했는데, 수레를 몰고 갔던 사람이 돌아오자 동화가 그에게 물어 그 일을 알고 나서 동윤에게 자신은 동윤과 비의의 우열에 대해 의문을 갖고 판가름하지 못하고 있었다가 이제야 자신은 분명히 알게 되었다고 얘기했다.

3 연의

삼국지연의에서는 처음부터 익주태수로서 유장의 부하로 등장하며, 211년에 촉한유비의 공격을 받자 장로에게 가세하는 것을 요구하도록 진언했다. 유비가 성도에 다가올 때까지도 항전을 주장했으나 결국 유장은 항복했으며, 동화 역시 유비를 섬겨 유비는 촉 입성 후에 동화를 장수중랑장으로 임명되었다가 유비 사후에는 제갈량을 보좌했다.

4 미디어 믹스

231-Dong-He.jpg
삼국지 11
삼국지 12,13

삼국지 시리즈에선 아주 쓸만한 무장. 유비의 입촉 이전의 유언, 유장의 무장 중 정치력으로는 단연 최고. 또한 휘하 무장으로 두고 있다면 동화의 아들인 동윤이 딸려오는데 동윤 역시 정치력이 90을 넘는 내정에 특화된 인재이므로 기쁨은 두 배.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41/지력 74/정치력 82의 B급 문관. 혼란과 고무가 있어서 전장에서 활용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35/지력 73/정치력 84/매력 71의 내정특화 문관. 특기가 5개로 많지는 않지만 농업,상업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고 명사 특기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삼국지 11에서는 정치가 87에 달하며, 지력이 74이고 매력이 76인 전형적인 문관형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특기인 친만이 특기 중에서 쓸모없기로는 이를 데가 없어 사실상 특기가 없는 것이나 다름없지만 전풍처럼 전투용으로든 계략용으로든 전쟁터에 내보내야 하는데 특기가 없는 무장과는 달리 이쪽은 전투용으로 내보낼 이유가 없으므로 저들에 비해서 특기가 없는 것이 덜 두드러진다.

삼국지 12에서의 전법은 궁군병격. 장임과 엄안 등 익주의 궁병라인이 막강해서 도움이 될 것 같으나, 이거 쓰느니 그냥 장임으로 원사병격, 엄안으로 노당익장을 쓰는게 더 나은 지라..

삼국전투기에서는 [[김성근|]]으로 패러디. 게다가 인물 설명도 '촉에 대해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인물', '너무 깐깐해 지방 호족에게 미움을 받아 쫓겨남'이라고 되어 있다.(...)
  1. 제갈량이 승상에 오르기 전에 동화는 이미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