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템

스타크래프트프로토스용 전술. 대저그 전용 빌드이다.

원조는 삼성칸 프로토스들. 당시 저프전에서 드라군을 주력으로 하는건 삼성 토스들 밖에 없었다.[1] 삼성에 주로 쓰이는 토스라 해봤자 허영무, 송병구 둘.

발업질럿이 몇년만에 각광을 받게되고, 발업질럿에 대응하여 저그들이 심시티로 대처하고, 저그의 저프전 정석 빌드인 탈네오가 완성되자 삼성식 드라템이 그에 대응하듯 자주쓰이게 되다가 정석이 됐다.

최대한 가스를 안쓰고 모아서 아둔의 성지-템플러 아카이브를 올린후 스톰업을 한뒤 4템을 모으고 코어에서 사업을 돌리면서 드라군을 주력으로 모으는 빌드이다. 이후 로보틱스까지 올려야 하기때문에 앞마당 가스를 다른 빌드들보다 일찍 캐야한다.

드라템의 장점은 레어테크의 모든 저그유닛과 싸움이 된다는 점과 그 안정성에 있다. 드라군이 성능이 어떻든간에 사거리가 긴(6) 유닛이기 때문에 숫자가 어느정도 있다면 운영이 쉬워진다. 거기에 그 드라군을 뒷받침해주는게 하이 템플러사이오닉 스톰이다.

당연하지만 스톰의 사용에따라 전투의 결과가 천지차이로 변한다.

결론적으로 하이템플러를 잃지않는게 중요하다.

드라템도 정석이 된만큼 선수들 마다 쓰는게 다르다. 리버를 섞어서 완전 한방, 인구수 110정도까지 채운 후 멀티, 발질 후 드라템 등등.

드라템의 약점은 딱히 없지만 강점도 딱히 없으므로 전투 잘하는 사람이 이긴다고 보면된다. 물론 저그가 하이브태크를 타면 다른 조합으로 바꿔야한다.

요즘 저그들은 스커지로 토스본진을 정찰해서 무슨 빌드인지 다 보기때문에 커세어 리버 체제는 로보틱스를 보여주면 저그가 견제 대비를 하고, 발업 질럿은 아둔을 보거나 아예 포지에서 공업이 돌아갈경우 눈치채고 대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하면 드라템은 보여줘도 하이템플러 저격만 잘 대비만 하면 되는 안정성 높은 빌드.

이와 유사한 전략으로 드라군리버가 있다.

드라템이 가장 빛을 발하는 맵은 능선이 많은 맵. 특히 단장의 능선에서 자주 나왔는데 레인지 유닛이 주력이기 때문에 언덕을 점거할 경우 효율성이 극대화됐고 거기다 단장의 능선 맵의 멀티들이 본진과 멀티들 사이로 계속 이어져 있는 맵이였기 때문에 드라템의 안전성과 맞물려 좋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때문에 저그도 기를 쓰고 뮤탈로 하이템플러를 저격하려고 했고, 덕분에 보기힘든 다크 아칸의 마엘스트롬도 간간히 나오기도.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불고기 조합(불멸자 + 고위 기사)으로 이어졌다.
  1. 2006년에 신 백두대간에서 이제동을 온리 드라군 물량으로 관광보낸 경기도 있으니 김택용도 드라군을 주력으로 사용했다는 말이 있지만 이 경우는 그저 한방조합에 드라군을 많이섞은 정도일뿐이지 드라군을 하나의 전략에 핵심유닛으로 본 경우가 아니며 주력으로 사용한건 더더욱 아니다.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다크템플러 견제 이후 중반까지 김택용은 아칸-질럿-하이템플러만 중원싸움에 사용했다.이후에 한방조합에 드라군을 섞는건 안전성을 위해 다른토스들도 다 하는 방식이니 김택용이 드라군을 주력으로 사용했다고 보기엔 어렵다.
  2. 무시가 가능한게 드라템의 경우 커세어를 최소숫자로 유지하면서 최대한 빠르게 드라군과 템플러 물량을 확보하는 빌드이기 때문이다. 다른 빌드일때 커세어 무시하고 하이템플러 저격하려다간 뽑은 뮤탈이 커세어에게 다 녹고 G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