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시아 전투

1 개관

BC 190년 리디아 평원에서 안티오코스 3세 메가스가 이끄는 셀레우코스 왕조 군대와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1]가 이끄는 로마 군대가 맞붙은 전투. 안티오코스 3세삽질에 힘입어 로마군이 큰 승리를 거두었다.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를 꺾은 데 이어 동방의 넓은 영토를 가진 셀레우코스 왕조마저 꺾은 로마는 명실상부한 지중해 세계의 최강자로 떠올랐고, 셀레우코스 왕조는 기나긴 몰락과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2 배경

BC 200년 경부터 로마와 셀레우코스 왕조는 그리스마케도니아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었다. 셀레우코스 왕조와 동맹을 맺었던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5세가 BC 197년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로마군에 패하면서 그리스 전역이 로마의 영향력 아래 들어왔지만, 그리스인들의 로마군에 대한 반감이 점차 커지면서 로마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BC 195년 주적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와 평화 협정을 맺은 안티오코스 3세는 그리스에 직접 원정군을 파견해 패권을 잡으려고 했다. 하지만 원정군은 테르모퓔라이에서 로마군에게 패했고, 로마는 동맹국인 로도스페르가몬의 지원을 받아 셀레우코스 해군도 격파해버렸다. 그 결과 오히려 로마군이 셀레우코스 왕조의 영토인 아나톨리아로 쳐들어오게 되었고, 안티오코스 3세의 군대는 마그네시아 앗 시퓔룸이라는 도시 근처의 리디아 평원에서 로마군과 맞붙게 되었다.

이때 셀레우코스 해군을 지휘한 사람이 다름아닌 카르타고의 망명객 한니발 바르카였다. 안티오코스 3세는 명장 한니발을 환영하기는 했지만 해군을 맡겨버렸고 지상전에서는 자신이 모든 권한을 장악한 상태에서 한니발의 조언을 청하는 정도에 그쳤다.[2]

한편 로마군을 지휘하는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는 다름아닌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동생이었으며, 아프리카누스 자신도 지휘관 중 하나로 따라오고 있었다. 하지만 전투 당시에는 병 때문에 참전하지 못했으므로 왕년의 라이벌들 간의 드림매치는 무산된 셈이다.

3 전투

3.1 양측 전력 및 배치

마그네시아 전투를 기록한 역사가 리비우스와 아피아노스는 로마군은 3만여 명, 셀레우코스군은 7만여 명이었다고 했다. 아래는 그 자세한 내역이다(숫자가 기재 안된 부대가 많아서 아래 나온 숫자를 다 합쳐봤자 7만은 되지 않는다).

셀레우코스 우익

  • 갈라티아 보병 1,500명
  • 카타프락토이 3,000기
  • 친위 기병대(아게마) 1,000기
  • 소수의 "은 방패(아귀라스피다이)"
  • 다하이 궁기병 1,200기
  • 코끼리 16마리
  • 크레타, 트라키아 경보병 3,000명
  • 뮈시아, 퀴르티아, 엘람 궁병/투셕병 2,500명

셀레우코스 중앙

셀레우코스 좌익

  • 갈라티아 보병 1,500명
  • 켈트 동맹군 보병들
  • 카파도키아 및 기타 경보병 4,700명
  • 카타프락토이 3,000기
  • 헤타이로이/아게마 기병 2,000기
  • 아랍 낙타 기병 및 낫전차
  • 갈라티아 기병 2,500기
  • 펠타스트 4,000명
  • 기타 수많은 동맹국/속국 보병들
  • 코끼리 16마리

VS

로마 좌익

  • 기병 500기

로마 중앙

  • 로마/라틴 군단병 20,000명
  • 숲 코끼리 16마리

로마 우익

  • 페르가몬 기병/아카이아 동맹 펠타스트 3,000명
  • 페르가몬/아카이아 동맹 보병
  • 페르가몬/로마 기병 3,000기

셀레우코스 군은 여기저기서 끌어온 다채로운 병종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팔랑크스를 중앙에 배치하고 경보병과 기병, 척후병을 좌우익에 고루 분배하는 전통적 진형을 짰다. 가장 강한 전력은 카타프락토이와 인도 코끼리들이었는데, 카타프락토이는 안티오코스 3세가 직접 지휘한 반면 코끼리는 전 부대에 고루 분산배치했다.

반면 로마군은 기병 전력이 특히 열세임을 감안하여 좌측에 강을 끼는 진형을 잡고 소수 병력만 배치하였다. 로마군도 아프리카 숲 코끼리들을 데리고 있었지만 이들은 인도 코끼리보다 덩치가 작아 정면으로 맞서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여 후방에 배치하였다.

진형을 짜고 난 안티오코스 3세가 한니발에게 자기 군대를 보여주면서 "이 정도면 충분한가?" 라고 물으니 "로마 놈들이 아주 탐욕스러운 놈들이긴 하지만, 이 정도면 충분하고도 남을 것이오." 라고 대답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사실 누가 봐도 충분하고도 남는 전력이었다.

마케도니아/헬레니즘식 팔랑크스는 로마의 레기온과 비교해 볼 때 '정면 한정' 전투력에서는 전투력 우위에 있다. 다채로운 대응을 못한다는 점이 약점이지만 망치와 모루 전술에서 '모루'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오히려 정면에서 레기온을 몰아붙일 수 있는 '최강의 모루'로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오리엔트식 카타프락토이 중기병은 당대에 명성이 높은 중기병이었다. 이후에도 파르티아 시기까지 로마군 기병에 비해서 전투력이 우위에 있다고 평가될 정도. 망치와 모루 전술이라면 '최강의 망치'로 쓸 수 있었다.

전형적인 한니발식 회전 전술이라면 코끼리를 돌격(자마 전투)시키거나 기병에 대응하도록 하여 우세를 점하고, 팔랑크스가 레기온과 충돌하는 사이에 카타프락토이로 로마 기병을 제압한 다음 레기온의 측면을 두들겨서 '필승 패턴'으로 가져갈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3.2 진행 과정

셀레우코스 좌익의 낫전차들이 돌격을 시도하다가 로마 우익의 화살/투석 세례를 받고 혼란에 빠졌다. 셀레우코스 좌익을 지휘하는 안티파트로스와 셀레우코스[3]안티오코스 3세의 명령을 기다렸지만 기병 전체의 지휘권을 가진 안티오코스 3세는 이미 카타프락토이와 함께 돌격해 버린 뒤였고, 낫전차와 코끼리들이 돌아와 기병 대열을 완전히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놓았다. 뒤이어 로마 우익을 지휘하는 페르가몬 왕 에우메네스 2세가 기병/경보병들을 모두 이끌고 들이치자 셀레우코스 좌익은 속절없이 무너져내리고 말았다.

한편 셀레우코스 우익의 안티오코스 3세와 카타프락토이들은 로마 좌익의 소수 기병들을 간단히 패주시켜 버렸다. 로마군 입장에서는 측면이 노출당한 위기였지만, 안티오코스 3세는 로마군의 측면을 노린 것이 아니라 그대로 로마군의 캠프를 향해 돌격해 버렸다. 셀레우코스 우익의 나머지 병사들은 왕을 따라가느라 정신이 없었고, 그 와중에 로마군 중앙도 전진하여 셀레우코스 중앙의 팔랑크스와 교전하기 시작했다.

로마군 캠프에 도착한 안티오코스 3세는 캠프를 지키던 그리스/마케도니아 자원병들의 저항에 맞딱뜨렸고, 자신이 아군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졌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게다가 자칫하면 로마군 중앙의 군단병들이 캠프 쪽으로 올 수도 있었다. 그 순간 왕의 선택은... 도망치는 것이었다. 그런 왕을 따라가던 수천 명의 중장기병들도 고작 2천여 명의 캠프 수비대 앞에서 줄줄이 도망쳐버렸다.

이렇게 지휘관과 좌, 우익이 나란히 사라지고 적 기병대에 완전히 포위돼 버리자, 중앙의 팔랑크스는 사각 방진을 짜면서 어떻게든 돌파구를 만들어 빠져나가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팔랑크스 부대 사이에 두 마리씩 예쁘게 배치해 놓은 코끼리들이 적 기병대의 공격에 놀라 날뛰는 바람에 대열이 전면 붕괴되어 버렸다(...).

4 전투 이후의 경과 및 의의

군사적으로 마그네시아 전투는 가우가멜라 전투, 비수대전과 함께 무능한 총사령관과 막장 지휘체계가 우월한 전력을 어떻게 말아먹을 수 있는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안티오코스 3세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의 라피아 전투에서 이 마그네시아 전투와 거의 비슷한 실책을 보여주며 패배한 바 있다. 그 때 한 번의 실수는 병력을 어떻게든 재건하여 프톨레마이오스 군대를 격파함으로써 만회할 수 있었지만, 두 번째 실수 후에는 답이 없었다.

여유롭게 승리를 거둔 로마군은 우선 셀레우코스 왕조와 휴전을 맺은 뒤 느긋하게 갈라티아를 공략했다. 로마가 그때 당장은 병합을 시도하지 않았으므로, 아나톨리아 각지의 군소 세력들도 셀레우코스를 버리고 로마 쪽으로 줄을 바꿔 잡았다. 전후처리는 BC 188년 아파메아 협정을 통해 이뤄졌는데, 안티오코스 3세는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아나톨리아 주요 영토 대부분을 포기해야 했다. 마그네시아 전투 이전에는 양국의 경계가 에게 해였지만, 패전의 결과 양국의 경계는 타우루스 산맥이 돼 버렸다. 막대한 배상금을 감당하지 못한 안티오코스 3세는 토착 신전의 재물들까지 탈탈 털어갔는데, 이는 안 그래도 좋지 않던 민심이 더욱 나빠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프톨레마이오스와의 대규모 전쟁으로 고갈되어 가던 셀레우코스 왕조의 군사적 자산은 이 전투의 패배로 결정적인 손실을 입었으며 특히 코끼리 군단은 이때 아예 해체되어 버렸다. 게다가 BC 210년의 대규모 동방 원정으로 형식적인 복종을 받아냈던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박트리아 등도 모두 활개를 치기 시작하였다. 결국 패전 후 반세기 만에 셀레우코스 왕조는 메소포타미아와 그 동쪽의 모든 영토를 상실했다.

한니발은 로마를 징벌하겠다는 유년기의 맹세를 지키려다 결국 로마를 지중해 최강 패권국가로 만들어준 안습인생의 정점을 찍고 음독자살했다. 그 "충분하고도 남는 전력"을 주옥같은 삽질로 고스란히 로마군에게 갖다 바치는 모습을 보며 얼마나 속이 뒤집혔을까... 1승만 하라고 막장 시발들아(...)

  1.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동생으로, "아시아티쿠스"라는 이름은 이 전투에서 승리해서 얻은 것이다.
  2. 물론 태생부터 바다와 친한 카르타고인이 해전에 무지했을 것 같지는 않다. 지상전에서 한니발이 보여준, 상식을 벗어나는 재능을 고려했을 때 로마군에 대한 경험을 살린다면 어느 정도 괜찮은 활약을 펼칠 수 있으리라 추측은 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지상에서 로마군을 숱하게 때려잡으며 스스로를 증명한 한니발에게 해군을 맡겨버리고 지상군에 대해서는 단순한 조언가로 만들어버린 것은 한니발이라는 강력한 카드를 가진 상황에서 택할 수 있는 최선은 아니었다.
  3. 사람 이름이다. 셀레우코스 왕조의 시조 셀레우코스와 동명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