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

context
脈絡

1 사전적 의미

어떤 사물이나 대상 등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

2 인류학에서의 맥락

미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E.T.Hall)은 의사소통의 이론을 정리하면서 "고맥락(high-context) 문화와 저맥락(low-context) 문화가 존재한다" 고 주장하였다. 고맥락 문화는 별도로 명시된 바 없이 같은 문화권 내에서 그것이 자명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부분이 많으며, 비언어적이고 상황 중심적인 메시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반면 저맥락 문화는 모든 전달되어야 할 메시지들이 언어로 또는 서면으로 확실히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구분은 종래의 집합주의(collectivism) 대 개인주의(individualism)의 구도와 많이 비슷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위키러 여러분도 짐작하듯이 대한민국일본은 대표적인 고맥락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 우리 집에서 라면 먹고 갈래?" 라는 말은, 아니 왜 를 들어도 하필 이런 예를... 단순히 라면을 먹는 행위를 권유하는 메시지로서가 아니라, 상황적인 면을 고려함으로써, 즉 성인 남녀 사이에 오가는 로맨스의 일부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일본인들의 경우도 겉마음과 속마음이 서로 다르다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런 문화권에 있어서 고도의 눈치스킬과 의중을 읽는 능력, 상황 전체를 감안하는 능력은 대인관계에 필수이다.

일반적으로 고맥락 문화는 일본, 대한민국, 중국, 아랍 국가들 정도가 거론되며, 저맥락 문화는 독일, 미국, 프랑스 정도가 거론되고 있다.

3 심리학에서의 맥락

어떤 대상이나 정보 자체와는 별 관계가 없지만, 그것이 제시되거나 자극으로 기능할 때 함께 제시된 바 있는 다른 대상이나 정보.

예를 들어 동창회에서 "그때 우리 기억나? 제주도에서 한 명이 사라져서 다들 찾아다니고 난리도 아니었잖아... 그게 누구였었지?" 라는 말에는 기억해내지 못하다가, "그 수학여행에서 네가 팬티를 안 가져왔다고 투덜거린 적도 있었어" 라고 말하자 문득 "아, 이제 기억났다, 김철수 찾으러 갔었지!" 라고 다급히 말을 돌리는? 뒤늦게 회상(recall)해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처럼 어떤 기억을 인출(retrieve)하기 위해서는 그 기억과 함께 제시되었던 전후 맥락적 단서(contextual cue)들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지각심리학에서도 맥락은 굉장히 중요해서, 특히 시각적 정보들의 맥락이 이상하게 구성될 경우에는 오지각을 일으켜서 사실과 다른 지각을 하거나, 있는 걸 없다고 보거나, 없는 걸 있다고 보는 경우가 생긴다. 인간의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할 때, 인간의 가 맥락을 감안해 가면서 정보를 다룬다는 것.

인지심리학의 의사결정 관련 파트에서도 인간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언급이 있다. 예를 들어, 값이 싼 대신 질도 안 좋은 로마산 비단이 있고, 값이 비싸지만 질은 확실한 중국산 비단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 상황에서 가상의 상품을 하나 더 고려해서, 가격도 로마산보다 비싸고 질도 로마산보다 떨어지는 아프리카산(?!?) 비단이 있다고 가정하자. 로마산과 중국산 사이에서 로마 시민들은 어떤 비단을 사야 할지 갈등을 겪게 되겠지만, 아프리카산 비단이라는 제3의 상품이 맥락으로써 작용하게 되면, 이것보다는 적어도 확실히 우위인 로마산 비단을 구매하는 것이 어째 중국산 비단보다도 더 합리적인 구매결정이라고 느껴지게 된다고. #

4 질적 연구법 중 하나

텍스트를 분석함에 있어서 그 텍스트와 결부된 상황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에 보다 주목하는 연구방법론. 양적 연구법에서 맥락이라는 단어는 (상기 별도로 적힌 몇몇 분야의 용례를 뺀다면) 거의 보통은 쓰일 일이 없다. 즉 어떤 연구에서 방법론을 설명하는데 "맥락" 이라는 단어가 등장했다면 이 연구법은 질적 접근을 일부 혹은 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고 봐도 될 정도이다.

이 관점에서는 어떤 연구의 대상이 그 자체로서 외딴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둘러싼 환경과 시간, 수많은 상호작용, 거대시스템(megasystem) 등등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존재하고 있다고 본다. 즉, 지나가다 툭 던진 한 마디 말이라 할지라도, 결국 그 전후 배경을 전부 훑어보면 맥락적 의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말은 없다는 것.

이러한 관점은 역사학, 민속학, 민족지학, 정치학, 심리학(일부 분야), 사회복지학, 커뮤니케이션학, 종교학, 신학(일부 분야) 등에서 종종 발견될 수 있다.

4.1 생태학에서의 맥락

각 유기체들이 처한 환경과 조건들이 서로간에 갖게 되는 의미. 생태학은 본질적으로 주관성과 같은 질적인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는데, 여기서 맥락이라는 의미는 연구의 대상이 되는 유기체 "입장에서의" 환경적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인접 학문들 중에서 생태학적 접근법을 수용하는 경우 이 관점을 배울 기회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발달심리학 같은 경우는 별도로 생태학적 발달이라고 해서 브론펜브레너(U.Bronfenbrenner)의 이론들을 배우게 될 것이다.

맥락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는 경제적 특성(economic characteristics)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맥락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지역 특산물이 영 홍보가 신통치 않고 관광업도 부진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 중소도시는, 그만큼 교육 분야에도 교육환경 개선이나 기자재 구입, 도서관 장서 확보 등등을 지원하기 힘들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그 도시의 어린이들의 학업수행에도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둘째는 서비스적 특성(service characteristics)으로, 예를 들면 공공보건 서비스가 더 우월한 나라의 경우 그렇지 못한 나라에 비해서 더 많은 노인들이나 지체장애인들이 사회참여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할 수 있다. 셋째는 사회적 특성(social characteristics)으로, 이 관점에서는 비행청소년 문제가 개인 내적인 문제 혹은 가정사 문제 외에도 사회해체로 인한 지역사회의 서포트가 부족한 결과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특성(physical characteristics)이 있는데, 이것은 흔히 말하는 소음공해 문제나 녹지의 부족으로 인한 열섬 현상, 일조량, 거주 환경 등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어떤 고층아파트 입주민이 건강이 쇠약해졌다면, 아파트라는 물리적 환경에서는 외출에 많은 무리가 있을 것이므로 요양을 하는 것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맥락의 구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직관적이며 이해하기 쉽다는 평가가 많다. 또한 어느 특성 하나 버릴 것 없이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도 그 가치를 더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비판도 존재하는데, 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맥락 연구가 대부분이라는 것, 그리고 직관적인 대신 너무 자의적이라는 것이다. 차라리 분류기준으로써 2개의 차원을 만들어서 2 by 2 매트릭스 형태로 정한다면 모를까, 이것은 그냥 일개 연구자가 자기 되는대로 뚝뚝 잘라서 유형화를 시도한 게 아니냐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