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라근자

木羅斤資 もくら-こんし

1 개요

생몰년 미상. 백제근초고왕 대의 장수.참고 자료

국내나 중국사서에는 그 이름이 언급되지 않으며, 오직 일본서기에서만 존재가 언급되는 인물이다. 대성팔족 가운데 하나였던 목(木)씨로, 목씨 인물들 중에서는 기록상 최초로 등장하는 인물이다. 목라근자 이후에 가야지역에 기반으로 하여 목씨 세력이 성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목씨의 가야경영 자체가 일본측 기록에서만 확인되므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진구황후 시기인 3세기의 인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일본서기의 고질적인 문제인 이주갑인상에 대해 고려했을때 근초고왕 시기의 인물이었음이 추정 가능해진다.

즉, 근초고왕이 벌였던 백제의 가야 정벌 당시에 핵심 인물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연하겠지만 일본서기에서는 왜국의 진구황후가 주도했다는 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진구황후 삼한정벌 이야기 자체가 그렇듯이 영 확증할 수 없는 기록이다. 일본서기 스스로 출병도 백제에서 했고, 가야 정벌군 주력도 다 백제라고 적고 있다(...).

2 활약상

369년에 목라근자는 근초고왕, 사백, 개로, 장군 사사노궤 등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나가 탁순국(대구)에서 모였다가 가야 지방을 공격하여 신라 군대를 격파하였다. 그리고 뒤이어서 비자벌(창녕), 남가라(김해), 탁국(경산), 안라(함안), 다라(합천), 탁순(대구), 가라(고령) 등의 가야 7국을 평정하였다고 한다.

이 기록에 대해서는 가야를 모두 군사적으로 평정하지는 않았다는 의견도 있다. 일본서기의 기록에 의문점이 있기도 해서, 백제가 신라와 가야를 군사력으로 격파했다기 보다는 외교적으로 회유했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가야는 백제군에게 왕창 깨진 것치고는 이후로 멸망하지 않고 잘 지냈으며, 일본서기에서는 백제 성왕이 이 사건에 대해 언급하며 '안라, 가라, 탁순의 한기들과 부형자제(父兄子弟)가 되었다고 말했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어쩌면 군사적으로 공격하여 기선제압을 한 후 외교적으로 회유한 것일 수도 있다.

382년, 카츠라기노 소츠히코라는 또라이가 여자에게 홀딱 넘어가(...) 치라는 신라는 내버려두고가야국[1]을 쳐서 이시품왕이 백제로 도망 오자 목라근자가 다시 나서서 왜군을 격파하고 금관국왕을 다시 자리에 앉혔다.

한편 목라근자는 훗날에 신라 여자와 혼인하여 아들인 목만치를 얻었다고 하는데, 목만치는 아버지의 공이 큰 덕분에 임나[2]에서 벼슬을 지내다가 전지왕이 즉위하자 권신이 되어 높은 권세를 부렸다고 한다.

3 의문점

임나일본부설의 핵심인물격인 진구황후와 얽혀있기 때문에 목라근자에 대한 이야기 자체가 근거가 없는 왜곡된 기록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대체로 백제가 가야를 공격한 것은 사실로 인정하는 추세다.

그 시기에 근초고왕이 활발한 정복 활동을 벌였던 것이 사실이고, 일본서기에 존재하는 후대의 기록을 보면 성왕을 왜국의 긴메이 덴노가 조종하는 식으로 서술했지만, 백제가 가야에 대한 영향력을 보였던 것과 관련 기록들은 삼국사기와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어쨌거나, 이 사건을 계기로 하여 백제는 신라와 가야 7국을 묶어 강력한 패권을 형성하고 한반도 남부의 진정한 패자로 거듭나게 되었으니, 현장에서 이를 직접 주도한 인물인 목라근자의 비중은 결코 작지 않다.

4 현대 매체에서

  • 게임 천년의 신화에서는 백제의 영웅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거대한 창을 쓰는 근접 공격계 보병 영웅. 근데 들고 있는 무기가 잘못 보면 처럼 보인다. 삽이다. 목라근자의 모델링은 신라 미션의 황산벌 전투 미션에서 계백으로 재활용되었는데 얼굴 포트레이트는 근구수왕 것을 우려먹었다사용했다. 성우엄상현인데 제법 거친 이미지로 연기했다.
  • 근초고왕(드라마)에서는 한정수가 연기했다. 초반부터 근초고왕을 따르는 심복 무사로 이때는 '복구검'이라는 정체불명의 이름으로 등장하다가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목라근자로 개명한다.(…)
  1. 어느 국가인지는 불명.
  2. 일본서기에서의 가야지방의 통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