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화

파일:Attachment/박창화/Example.jpg

朴昌和
1889.05.09~1962.03.06

1 개요

떡밥왕
대한민국한문 소설가이자 재야사학자. 는 남당(南堂).

2 행적

구한말이던 1889년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태어났다. 가족의 증언에 따르면 어렸을 때부터 학문에 몰두해 친구나 가족은 뒷전이었다고 한다. 진성 역덕후 일제강점기 시기에 교사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한때 독립운동에 가담하였다는 증언도 있다.[1] 1927년에는 일본의 역사잡지 <중앙사단(中央史壇)>에 세 차례 역사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후 1933년 ~ 1942년 사이에 일본 궁내성 서릉부(왕실 도서관)에서 촉탁(계약직)으로 근무했는데, 서릉부에는 일제가 규장각 등에서 약탈해 간 비공개 고서가 많이 있었고[2] 10여년간 여러 책들을 읽고 손으로 옮겨 적었다고 한다.

해방 이후에는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교사 생활을 했으며, 제자 김종진, 김준웅 형제를 가르칠 때 화랑세기 필사본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손자 박인규의 증언에 따르면 이승만 정권 당시 박창화 자신이 직접 일본에 가서 일제강점기 동안에 약탈해 간 고서들을 되찾아 오겠다며 지원을 요청했으나 당시 정부는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고 한다.

"화랑세기 필사본은 소중한 것이니 잘 간직할 것이며, 강역고<疆域考>는 자신이 직접 작성한 것이며, 나머지는 있으나 마나한 책" - 1962년에 74세로 생을 마감하면서 손자 박인규에게 남긴 유언

3 사후

문제의 화랑세기 필사본은 제자 김종진이 보관하고 있다가 그가 사망한 1989년에 김씨의 아내 김경자씨가 언론에 공개하였다. 이 당시 공개된 것은 32쪽짜리 발췌 필사본이고 1995년에는 162쪽짜리 필사본이 공개되었다. 만약 이 필사본이 신라 당대 김대문이 쓴 화랑세기를 직접 필사한 것이 사실이라면 기존의 삼국사기보다 훨씬 오래된 1차 사료로서 엄청난 가치가 있기에 사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관련 내용은 화랑세기 항목 참조.

4 저서

  • 화랑세기 필사본
  • 강역고 - 역사지리지. 손자 박인규씨가 <우리나라 강역고>라는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 남당유고
    • 고구려사초
    • 고구려사략
    • 을불대왕전 - 고구려 미천왕을 다룬 한문소설.
    • 소수림왕전
    • 어을우동전 - 대한민국에서 마지막으로 지어진 한문소설이다.
  1. 다만 이는 거짓일 가능성도 높은데, 독립운동 경력이 있는 자가 이후 궁내성 서릉부에서 근무한다는 건 상식적으로 무리이다.
  2. 현재 데이터베이스화된 서릉부 도서목록에는 화랑세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궁내청 서릉부는 이전부터 보유 중인 도서의 목록을 전부 공개하고 있지 않다는 의혹이 있어왔고 실제로 건물 공간에 비해 목록에 나와있는 도서의 수는 매우 적다는 게 공공연하게 알려져 왔다. 특히 한국인이나 한국학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에게는 엄격하게 자료의 열람을 막고 있는 것도 유명한 사실이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매우 많았는데, 2009년 8월 13일에 MBC 뉴스후 취재진이 궁내청 서릉부를 방문하여 이를 재확인했다. 서릉부에 들어가 본 유일한 한국인 학자로는 울산대학교 역사문화과 허영란 교수가 있는데, MBC 뉴스후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취재진이 갔던 서고 이외에 다른 서고를 방문했으며 서릉부의 목록은 1950년대에 작성된 것인데 그 목록에 누락되거나 이후 정리했거나 새로 추가된 부분은 우리가 알 수 없고 서릉부 내 한국 관련 사료의 전체 현황도 모르기 때문에 화랑세기 원본이 거기에 없다고 단언하지는 못한다고 했다. 하지만 식민지 출신 일개 촉탁사원(계약직)에 불과했던 박창화가 이런 비밀서고를 들여다 볼 수 있었는지는 대체적으로 회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