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설경음에서 넘어옴)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1 개요

ᄛ은 반설경음으로, 반설음인 보다 가볍게 소리내라는 뜻이다. 하지만 쓰인적은 드물다. ɾ(ㄹ)과 l을 구별하기 위해서 쓰였다. 훈민정음 합자해에서 설명된 글자로 'ㄹ에 ㅇ을 아래에 나란히 쓰면 반설경음이 되니, 윗잇몸에 잠깐 붙힌다'고 설명하고 있다. 세종대왕한글을 만들다가 모음뒤 혹은 처음오는 ㄹ(ɾ)과 ㄹㄹ(ll)(일러 따위)이 잇따라 나올때의 ㄹ(l)이 다른 점을 찾아내고 비록 우리말에서 이 둘을 구별하지는 않지만 음이 다른 경우가 있을 경우 구별을 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중국어의 來母는 l이고 한국어의 ㄹ은 기본적으로 ɾ로 나며, 이 둘은 변이음으로 취급하니 매우 정확한 구분이라고 할 수 있다. 잇몸이 잠깐 붙는다는 설명을 보면 ㄹㄹ에서 덧나는 초성l의 음가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이를 구별하여 표기할 경우 "나라"는 "나라(naɾa)"로 한라산은 "한ᄛᅡ산(hanlasʰan)
"으로 구별하여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외국말 표기의 보기를 들면 look=ᄛᅮᆨ 등으로 쓸 수 있다. 받침으로도 쓰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ball'을 'ᄇᆞퟝ'로 쓸 수 있다.

2 발음

발음 듣기

혀끝을 윗잇몸에 부드럽게 살짝 댄다. 그러니까, 치경 설측 접근음으로 추정된다. 혀끝을 입천장에 살짝 튀기는 과는 차이가 있다.

아마도 영어의 l발음을 나타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