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타성

排他性

1 개요

 한국 기독교의 배타성 문제_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2013.01.16

 기독교의 배타성1불교 디스

 (Asian Nazi in Japan) We will start Tsuruhashi Massacre like the Nanjing Massacre!

남을 배척하는 성질. 간단히 말하자면 남을 잘 까는 성질.β(베타)가 아니다. 은근히 착각해서 맞춤법을 틀리는 사람이 있는듯
사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본능적인 행태라고 볼 수 있다. 선사시대 이래로 낯선 사람들은 나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해오는 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 지구적인 협력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발생하는 현대에 들어서 배타성은 오히려 부작용이 많이 있다. 배타성이 강한 집단은 기본적으로 새로운 집단,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서 발전 가능성이 적을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자면 한국의 개신교, 근본주의, 네오콘, 수구세력 등이 존재한다.

배타성은 종교, 정치, 인종, 성적소수자, 국가 등에서 대표적으로 일어난다. 집단주의 성향이 강하며 타 집단이나 개인에 대한 차별과 공격 등으로 표출된다. 일본의 혐한시위나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 포비아 성향도 대표적인 배타성이라 할 수 있다. 또 일부 정치 누리꾼들의 극우, 극좌 성향에도 배타성이 들어가 있다. 유럽이나 서구 사회에서 배타성이 적은 이유는 어릴적 부터 평등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

당장 멀리 볼 것도 없이, 한국의 경우만 봐도 게임, 만화 등의 문화 산업을 탄압하는 경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에 비해 다른 나라의 문화를 잘 받아들이는 미국이나 호주등은[2] 오히려 문화 산업을 통해 큰 발전을 이뤘다.

2 관련 문서

(법률용어)배타성
(네이버캐스트)나와 우리

3 관련 항목

  1. 반론으로 꼭 그런 것만은 아닐 수 있다. 결국 그 동네도 역사적으로 나치처럼 미쳐돌아간 적이 있기 때문
  2. 물론 이 나라들은 이민을 통해 열린 사회를 이루고 있디. 다만 이 나라들도 역사들을 통해 발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