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건 당시 사진. 위에 부산타워와 성조기가 보인다. | 현재의 모습. 성조기는 태극기로 대체됐다. |
1 개요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104에 있는, 당시 부산 미국 문화원을 1982년 3월 18일에 부산 지역 대학생들이 불을 지른 사건.
2 배경
해당 건물은 과거 일제강점기에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건물로 지어졌고 해방 후 미국 문화원으로 사용됐다.
제5공화국 시기 5.18 민주화운동의 강경진압을 미국이 묵인함으로써 반미 성향을 가지는 대학생들이 많아졌고, 부산대학교 재학생 최인순, 류승렬,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 재학생 김지희, 고신대학교 재학생 문부식, 김은숙, 이미옥 등 일련의 대학생들이 항의의 의미로 미 문화원 방화를 계획한다.
1982년 3월 18일 낮 12시경 문화원 문을 준비된 공구로 뜯어내고 준비된 휘발유로 불을 지르고, 다른 팀은 동시에 인근 건물 위에서 전두환과 노태우를 비난하는 수백 장의 유인물을 살포했다. 이 유인물은 일본 쓰시마 섬까지 날아갔다고 한다.
미국인 피해자는 없었고 문화원 내 도서관에서 공부 중이던 동아대학교 재학생 1명이 질식해 숨졌다.
처음에는 북한의 테러로 추정했으나 주모자가 평범한 여대생들이라는 데서 아직 반미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지 않던 당시 사회분위기에 큰 충격을 줬다.
3 이후
1983년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1985년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은 먼저 일어난 이 사건의 영향을 받아 비슷한 동기로 발생한 사건이다.
당시 미국문화원 건물은 미국이 부산시에 기증하고 리모델링을 거쳐 부산박물관 산하 부산근대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