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중구1

700px
더 나은 사진이 있으면 대체바람.

1 노선 정보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중구1번
기점부산광역시 중구 부평동2가(자갈치역, 서구청)종점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2가(서여고)
종점행첫차06:30기점행첫차06:45
막차23:40막차23:55
평일배차12분주말배차12분
운수사명중구버스인가대수6대(예비 1대)
노선서구청 - 부평시장↔책방골목↔고가길↔복지관↔중앙공원로↔구덕운동장 - 서여고

2 개요

부산광역시 중구마을버스 노선.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원래 이 노선은 보수사거리가 기점이었고 중앙공원이 종점이었다. 운행사는 중앙교통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에 부경버스에 인수되었고, 2009년 3월 초에 중구 경계를 넘어 동대신동~서여자고등학교 노선과 보수사거리~부평시장~서구청까지 각각 연장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중구의 유일한 마을버스 노선이다.

  • 한때 중구2번도 있었다. 2008년 7월 2일 마을버스 환승할인제 실시와 동시에 개통되었다. 당시 노선은 중앙공원을 출발하여 중앙도서관-혜광고등학교-중구종합사회복지관-대청북길-메리놀병원후문-중구청-새들맨션을 거쳐 국제시장-부산극장-자갈치역-서구청-부평시장-광일초등학교-새들맨션까지 편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알수없는 이유로 개통연기되어 7월 15일에 운행을 시작하였다. 콤비 1대에 배차간격이 60분이라 존재감이 심하게 없었고, 운행수익 악화를 이유로 부경버스 측에서 임의결행을 하였다. 더는 버티지 못하고 그해 12월 8일에 폐선되고 말았다. 2001년경에 폐선된 97번에 이어 두번째로 중구로의 국제시장 구간을 운행한 버스로 알려졌지만 두 노선 모두 안습한 꼴을 면치 못했다. 참고로 해당 구간은 통행량이 상당히 많은데다 주차 차량까지 많아서 정체가 상당하다.

4 특징

중구서구에서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한 고지대를 오가는 데 중요한 노선이다. 단독 운행구간이 많고 이들 동네가 대부분 산복도로 구간에 위치한 달동네이기 때문에 노인들의 이용이 많다. 또한 노폭이 좁아서 모든 차량이 현대 카운티이다. 보수아파트 앞(망양로319번길)에서 양쪽에서 마주치는 차량이 힘겹게 교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참고로 예비차가 여기에 주차한다.)

중구서구에서 중앙공원으로 가는 데 버스를 타면 굽이굽이 돌아가야 하는 구간을 직선거리로 쏴준다. 이 차이가 상당해서 서구청에서 중구사회복지관을 갈때 70번을 타면 5km를 가야하지만 중구1번은 1.5km밖에 되지않는다. 혜광고등학교 후문을 직접 경유하는 노선이라 혜광고 통학생들의 수요 또한 많다. 특히 보수동책방골목과 중구종합사회복지관 구간을 잇는 도로인 고가길에는 그야말로 203번에서 볼 수 있는 금정산성 업힐/다운힐을 체험할 수 있다. 중앙도서관 정문에 바로 정차하기 때문에 방문시 참고할 것.

부경버스의 사무소와 차고지는 금정구 금사동의 성진버스와 같이 쓰고 있지만, 공차회송하기가 상당히 버겁기 때문에 운행종료시 중앙공원 공영주차장에서 주차한다. 정비할 일이 아니면 금사동으로 갈 일이 없다. 막차 중간종착을 중앙공원에서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 막차는 23:30분이나 23:00부터는 양방향 다 중앙공원까지밖에 가지않는다.

2016년 1월경에 신차를 대량으로 뽑았는데, 차량의 사명에는 ‘중구’라고 표시되어 있다. 차량 내의 업체정보에도 중구버스로 써져있다. 부경버스에서 중구버스가 분리된 것이라고 한다. 주소 및 전화번호는 성진버스로 연결된다.

그리고 2016년 9월경에 성진버스와 함께 태영운송그룹에서 분리되었다. 참고로 부경버스는 태영운송그룹 소속으로 남아있다.

5 연계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