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마을버스



동남권 대중교통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 글로벌캐쉬 / 센스패스
철도부산 도시철도
버스부산 시내버스부산 마을버스울산 시내/마을버스
창원 시내/마을버스김해 시내버스양산 시내/마을버스
거제 시내버스통영 시내버스함안 농어촌버스
창녕 농어촌버스고성 농어촌버스경주 시내버스
공항김해국제공항울산공항
관련 기업부산교통공사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한국철도공사
파일:Attachment/부산광역시 마을버스/Bus.jpg

마을버스 부산진15번의 모습


404729_214289_3229.jpg
부산 마을버스 연제3번의 모습

1 개요

부산광역시의 15개 자치구기장군에서 관리하며, 부산광역시, 창원시 진해구, 김해시, 울산광역시 울주군 일대를 운행하는 마을버스의 총칭.

현재 총 61개 업체 135개 노선 477대의 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2 역사

부산에 마을버스가 처음 유상운송 공동 사용 허가를 받은건 무려 1972년의 일로 전국 최초이다. 이후 1978년 자가용 자동차 유상 허가를 얻어 마을버스가 운행하게 된다. [1] 이 또한 전국 최초이다. 서울특별시의 경우에는 유상운송 공동 사용 허가를 받은게 부산에는 이미 마을버스가 운행하고 있던 1981년, 그리고 자가용 자동차 유상 허가를 받은 게 1986년이다. 즉 마을버스에 한해서는 오히려 서울특별시콩라인.[2]

당시의 이름은 새마을버스였고무슨 새마을호도 아니고... 무려 자가용면허로 운행했다. 지금과 같은 체계가 정립된 건 1991년 1월 1일.[3]

본래는 노선번호가 없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기에 이르러 서서히 노선번호를 갖추게 되어 지금에 이른다.

도색은 초기에는 부산 일반버스 구도색과 동일한 도색을 사용했다. 이후 1990년대 중,후반부터 부산 시내버스 구도색을 살짝 변형한 윗부분 라인이 노란색 도색이었다. [4] 도색을 사용하다가 2000년 즈음 빨간색, 파란색의 도색을 사용했고 2013년들어 바뀌기 시작하여 아래는 진한 초록이고 윗부분은 연두색이다. 그 사이로는 흰색 파도를 넣어 구별하였다.

3 특징

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는 기본적으로 서울특별시와 매우 유사하며 타 도시에 비해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다. 지선버스와 G도색을 공용하는 서울특별시와 달리 마을버스 전용 도색이 있으며 노선명 표시방식이나 행선판 디스플레이 형식이 규격화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비교적 통일된 형식을 쓰고 있다. 대학교에 출입하는 마을버스의 경우에는 대학교 로고가 붙은 고유도색을 쓰기도 한다.

노선 길이가 짧은 노선도 많지만 매우 긴 노선 또한 많이 있으며, 특히 강서구기장군은 면적이 매우 넓기 때문에 이 곳을 경유하는 마을버스의 경우 어지간한 마을버스 노선이 시내버스 노선을 뺨칠 만큼 길다. 더군다나 이들 노선의 경우 오지 노선으로 분류하여 다른 자치구의 요금에 비해 비싸며 시내버스랑 요금이 동일하다.[5] 환승할인제는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늦게 실시했다. 동남권 통합 요금 참조. 또한 기장3번은 울산광역시 서생면을 경유하며 강서1번은 창원시 진해구 외곽지역에서도 일부 운행한다.

부산의 마을버스 업체는 운용차량이 예비차 포함 7대 이상만 되면 설립허가가 된다. 하지만 부산마을버스조합이 있기에 실제 신규법인이 생겨나는것 보다는 기존 업체들이 좀 사세가 커진다 싶으면 가족, 친인척를 사장으로 세우고, 법인을 분리하는게 허다하다.[6] 그 외, 모 업체에서 계열분리로 독립하는경우도 존재한다.[7] 대부분의 계열사는 2000년대 중반 들어 생겼다. 예외적으로 성진버스와 부경버스, 연산버스와 대호교통은 계열관계의 역사가 타 업체에 비해 긴 편이다.[8] 이러한 결과 운용차량이 10대미만의 업체가 대부분이다. 제일 운용하는 차량이 많은 업체는 녹산버스(21대)[9]그 다음이 태영교통, 성신여객(17대)이 뒤를 잇는다.

마을버스 업체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업체는 성진버스로 80년대 새마을버스 시절부터 운행하던 회사이다. 이외에는 부영버스도 새마을버스 시절부터 운행해서 역사가 긴편이다.

마을버스 노선 중 가장 많은 대수가 운행하는 노선은 성진버스 금정6번(12대+예비1대)이다. 그 다음이 태영교통의 사상 6번(11대+예비1대)가 뒤를 잇는다.

면허의 경우 1996년 번호판 개정 이전에는 부산 5 자 96XX, 97XX를 사용했고 번호판 개정 이후에는 부산 70 아 10XX ~ 16XX의 면허를 사용한다. 16XX는 부산시티투어 노선에서도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 김해공항리무진에서 사용한 적도 있었다.[10]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교통카드 단말기는 이비카드의 것이 아닌 삼원FA의 3G 단말기를 이용하였다가 2016년 2월부터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 사용하는 신형 단말기로 교체되었다. 동시에 안내방송도 시내버스와 동일한 형태로 변경되었다.

2015년 7월 부터 기장군 마을버스 노선에 시내버스랑 똑같은 LED 행선판을 장착하기 시작하였다. 형태는 양산 시내버스에서 사용중인 LED 행선판이랑 동일하다.

최근 새로 부착한 버스 도착안내에 마을 이라는 이름이 따로 있는데, 마을버스도착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것이며, 올해 6월19일 부로 일부노선들에 한해 도착안내가 시행중이고, 6월 30일부로 대다수의 노선으로 확대되었다. 7월중으로 전 노선에 대해서 시행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정류장이 다르다. 근데 구 이름은 어떻게 쓰지

참고로 부산 마을버스는 천연가스버스 의무출고 대상이 아니다. 그래서 디젤 차량을 뽑는 회사도 많다.

4 공차회송과 차고지문제

타 지역의 마을버스 대부분이 그렇지만, 거의 대부분의 노선이 차고지에서 공차회송한 후 운행을 시작한다. 즉, 차고지가 기점인 노선이 매우 드물다.[11] 공차거리가 짧으면 다행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머나먼 길을 달려와서 운행을 해야 하는 경우도 심심찮게 있다. 차고지가 부산진구 초읍동에 있는 신지교통의 경우 부산진17번의 공차거리는 매우 짧지만(차고지가 기점에서 매우 가깝다), 강서2번의 경우 고속도로까지 타고 저~멀리 강서구청역까지 가야 한다.[12] 차고지가 강서구청역 옆의 구포대교 밑에 있는 지사교통의 경우도 마찬가지.[13] 동래5번의 경우도 고속도로타고 저~멀리 동래역까지 가야 한다. 세성교통의 경우 서구3번 이외에도 해운대구 쪽에 공영주차장을 별도로 임차해서 공차거리를 줄……였지만 2015년에 삼강버스라는 계열사로 분리했다. 성진버스의 경우 주력노선인 금정6번과 금정6-1번의 경우 운행 노선 중간에 차고지가 있으며[14] 해운대3번의 경우 재송동에서 금사동까지 공차거리가 있다. 그래도 이정도면 많이 짧은 수준. 기장 12번 또한 출퇴근시 정관에서 기장까지 공차거리가 꽤 된다.

일부 영세한 업체의 경우 자사 소유의 고정된 차고지가 없어서 공영주차장 등을 임차해서 쓰는 경우도 많다. 이런 업체의 경우 일정기간 사용료를 내고 임대 계약을 맺는데,[15] 이 때 계약을 갱신하지 않으면 짤없이 주차장을 비워 줘야 한다. 이게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몇 년 단위로 차고지를 이리저리 옮겨다니는 일도 생긴다. 공차거리와 더불어 근무여건 악화, 정비 소홀 등 승객 안전과 연관될 수 있는 문제이니만큼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 다만 시내버스 계열의 업체는 차고지를 시내버스와 같이 쓰고 있으므로 이런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물론 시내버스 계열 업체의 노선이라도 공차거리는 존재하는 노선도 많다.

5 BIS 연동

2016년 연초에 BIS 연동을 위해 시내버스와 동일한 제품의 단말기로 교체하였고(다만 하차단말기는 1개만 달려 있다), 7월경부터 BIS에 의한 배차관리가 실시되었다. 하지만 정류장의 전광판에는 아직까지 연동이 되지 않고 있다. 인터넷에서도 다음 지도는 아직까지 연동이 되지 않았지만, 네이버 지도는 일부 노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에 한해 연동을 시작하였다.

네이버 지도에서 실시간버스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6 노선 목록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목록 문서 참조.

7 업체 목록

※ 부산시마을버스조합 비회원사들은 시내버스 회사로써 마을버스 운행을 직영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 공동배차 노선은 번호 뒤에 †표시를 붙였다.
※ 사무소 소재지 주소의 회색 글씨는 마을버스운송조합에 등록된 사무소 소재지(정확하게는 면허지)이다. 실제 사무소와 차고지 주소가 아니므로 정확한 위치를 아는 사람은 수정바람.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운송 조합 조합원 목록
업체명사무소 소재지운영노선
감만버스남구 양지골로 37 (감만동 239-6)남구 6
강서교통강서구 대저1동 2330-1강서 1, 강서 7, 강서 12†
광안교통수영구 망미번영로 105 (망미동 271-3)수영 2
구덕교통사하구 을숙도대로709번길 8 (구평동 112-28)사하 9, 서구 1
금정버스동래구 금정마을로 6 (온천동 1723-17)금정 5, 금정 5-1, 동래 3
기장교통기장군 기장읍 대청로13번길 65 (대라리 1041)기장 8, 기장 9, 기장 11, 기장 12†
녹산버스창원시 진해구 남의로 155 (두동 1088-27)강서 9, 강서 9-1, 강서 9-2, 강서 16, 강서 17, 강서 20, 강서 21
당리교통강서구 새진목길 46-11 (명지동 3174-27)사하 2, 사하 2-1, 사하 2-2
대영버스금정구 장전로 13 (장전동 680-36)금정 7
대용운수남구 용호동 산196-4남구2, 남구2-1
대일교통강서구 대저1동 2330-1강서 3, 강서 11, 강서 13
대일버스영도구 태종로 830 (동삼동 1024-5)영도 5, 영도 7
대저여객강서구 대저1동 2330-1강서 5, 강서 12†, 강서 14
대호교통강서구 강동동 3761-2강서 15, 강서 19
동서교통사상구 가야대로 331 (주례동 1233-6)사상 5, 사상 5-1, 사상 5-2
동아버스사하구 을숙도대로709번길 8 (구평동 112-28)사하 10, 서구 5
동주교통사상구 동주로 28 (주례동 620-2)사상 3, 사상 3-1
범양버스남구 못골번영로71번길 38 (대연동 1555)남구 1
범우교통부산진구 양성로 44 (양정동 458-52)부산진 1, 부산진 2, 부산진 12
부경버스금정구 금사로 121 (금사동 34-2)남구10
부민교통남구 동명로 195 (용호동 514-23)남구 8, 남구 9
부영버스남구 천제등로 51 (대연동 894-1)남구 3
산성버스금정구 산성로 530-1 (금성동 928-5)금정 1
삼강버스해운대구 청사포로 155 (중동 509-4)기장 6, 해운대 2, 해운대 10
삼경여객사하구 옥천로 119 (감천동 10-10)사하 1-1†, 서구 2, 서구 2-2†
삼안교통동구 안창로 65 (범일동 산65-163)동구 1, 동구 1-1
삼진교통북구 만덕대로155번길 86-98 (덕천동 814-1)북구 2, 북구 8, 북구 8-1, 북구 8-2, 북구 9
성신여객동래구 명서로112번길 6 (명장동 507-1)동래 1, 동래 1-1, 동래 7, 해운대 3†
성우교통사상구 새벽시장로64번길 50 (감전동 151-6)사상 2, 사상 2-1
성진버스금정구 금사로 121 (금사동 34-2)금정6
세성교통서구 해돋이로 382 (서대신동2가 558-1)부산진 13, 서구 3, 서구 3-1
세성서비스동래구 온천천로531번길 35 (안락동 167-11)동래 2
센텀버스해운대구 재송동 1034-14해운대 3†, 해운대 3-1, 해운대 3-2†
수정여객동구 수정공원로12번길 1 (수정동 1166-5)동구 2
신라버스사상구 백양대로659번길 10-19 (괘법동 226-10)사상 1-1, 사하 3
신아교통동래구 쇠미로17번길 16 (사직동 981-124)동래 8
신지교통부산진구 초읍동 330-1강서 2, 부산진 17
연산버스연제구 월드컵대로73번길 13 (연산동 720-1)[17]연제 6, 연제 7
연제여객연제구 황령산로 506 (연산동 산182)연제 1, 연제 3
영도여객영도구 청학동 48-226영도 1, 영도 2
용진교통금정구 두구동 산78-1금정 2-1, 금정 2-2, 금정 2-3, 남구 5
우성버스사하구 감천로 143 (감천동 42-3)사하 1, 사하 1-1†, 서구 2-2†
중구버스금정구 금사로 121 (금사동 34-2)중구 1
지사교통동래구 쇠미로 129번길 58(온천동 1647)강서 7-2, 동래 5
차성교통기장군 기장읍 대청로13번길 65 (대라리 1041)기장 2, 기장 3, 기장 8-1, 기장 12†
창신교통동래구 복천로 135 (명장동 287-7)동래 6, 동래 6-1
태성여객연제구 봉수로 138 (연산동 2039)금정 3, 금정 3-1, 연제 2
태영교통부산진구 개금온정로26번길 23 (개금동 290-1)사상 6, 사상 8, 사상 8-1
하나교통사하구 신산로 85 (신평동 370-7)사상 7, 사하 5
한국교통부산진구 양지로8번길 14 (양정동 363-61)부산진 7, 부산진 8, 부산진 11
화린교통사하구 서포로 61 (구평동 173-2)사하 3-1, 사하 14, 해운대 3†[18]
시내버스 업체 계열 마을버스 업체 목록
업체명사무소 소재지운영노선
국제여객동래구 사직북로5번길 49 (사직동 89-1)동래 10, 북구 3†
대도공영부산진구 엄광로 143 (가야동 478)부산진 6, 부산진 6-1, 부산진 9
대명여객부산진구 진사로 78-11 (개금동 783)부산진 10, 부산진 10-1
동원교통사하구 장평로 22 (장림동 523)사하 6, 사하 7, 사하 8
동진여객사하구 다대로 722 (다대동 1548-9)사하 12, 사하 15
부산여객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16)해운대 8†
부일여객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 313 (청강리 416)해운대 3-2†, 해운대 7, 해운대 8†, 해운대 9
삼진마을버스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53-5)북구 3†, 북구 7-2
삼진운수서비스북구 효열로 282 (금곡동 53-5)북구 7
태진버스북구 시랑로185번길 66 (구포동 857-1)북구 1-1, 북구 6
한창교통부산진구 성지로 128 (초읍동 475-1)부산진 15

7.1 폐업 또는 사명변경이 된 업체

부산은 타 지역에 비해 유난히 버스 회사의 인수 합병 사례가 많은 편이다.

2000년대 즈음하여 마을버스노선 또한 시에서 모니터링 하기 시작하였고, 규제화 하면서, 이에 따라 마을버스 업체 설립, 유지에 최소 인가대수를 7대로 정립하게되면서, 소수차량만 운용하던 업체들은 빠르게 통폐합되었다.

7.1.1 폐업한 업체

괄호는 당시 운행노선이다. 차순은 행정구획별로 정리한다.

업체명노선
가덕버스강서구 1번
강동교통강서구 2번
덕두교통강서구 3번
남성교통강서구 6번, 17번
신호교통강서구 9번
강서버스강서구 3-1번, 11번
서남버스강서구 12번
하신교통강서구 14번
태화교통강서구 10번, 16번
금성버스금정구 1번
선두교통금정구 2번
오륜버스 > 회동버스금정구 5번
동남버스남구 1번
동성여객동구 3번
동래교통동래구 2번
삼동여객동래구 7번
전포버스부산진구 12번
남부운수사하구 14번, 사상구 7번
신익교통사하구 9번
씨케이버스연제구 3번, 9번
조양버스 > 신성여객영도구 5번, 6번, 7번
중앙버스중구 1번

7.1.2 사명이 변경된 업체

사명이 변경된 업체
황성교통 > 경마여객 > 강서교통
작지버스 > 대저여객
미성교통 > 신지교통
삼보교통 > 삼안교통, 삼경버스
선동버스 > 태성여객
일신마을버스 > 센텀여객
일용버스 > 차성교통
일회버스 > 기장교통
화명교통 > 삼진교통, 삼진운수서비스
해운대순환버스 > 부일여객, 부산여객
  1. 최초의 노선은 선동 신천마을~동래 방향의 노선이였으며, 현재의 금정3-1번과 유사하다.
  2. 또한 의외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좌석버스 또한 부산이 서울보다 2년 정도 먼저 운행했다. 당시 이름은 시내직행버스.
  3. 이는 부산뿐만이 아니라 서울, 인천 등 당시 마을버스를 운행하던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렇게 시행했다. 참고로 인천은 부산보다 조금 늦게 영업용 면허를 받았으며 서울은 1996년에야 마을버스도 영업용 번호판을 달게 된다.
  4. 참고로 강서구에 운행했던 일부 무냉방 에어로시티, 냉방초기형 BS106의 경우 윗부분이 아닌 아래부분에 노란색을 입힌 차량이 대부분이었다.
  5. 성인 현금요금 기준 1,300원.
  6. 범양교통-범우교통, 신아교통-지사교통, 성신여객-창신교통, 연산버스-대호교통-화린교통, 삼안교통-삼경여객, 세성교통-세성서비스, 부경버스-중구버스, 센텀버스-부민교통 등이 해당된다.
  7. 성우교통-하나교통, 세성교통-삼강버스가 해당된다. 사실 삼강버스는 과거부터 존재하던 회사였으나 2000년대 중반에 세성교통에 통합되고 이후 세성교통에서 기존 삼강버스 경영진이 기존 삼강버스 노선을 가지고 다시 분리독립을 하면서 삼강버스가 부활한 것이다.
  8. 90년대 후반, 성진버스가 동성여객 계열에서 갈라져 나오면서 부경버스를 인수해 계열관계가 성립되었으며, 대호교통은 설립때부터 연산버스 사업자가 1995년에 강서 마을버스 운행 목적으로 설립한 업체이다.
  9. 심지어 중형차량이 18대 이상(예비차 제외)이다. 사이에 있는 몇 대의 대형은 덤.
  10. 현재는 부산71자 60XX로 변경.
  11. 아주 없지는 않다. 대표적으로 금정산성으로 들어가는 버스. 대용운수 남구2번과 남구2-1번 역시 기점이 차고지(오륙도선착장). 기장군의 마을 버스중 기장시장에서 출발하는 기장2와 기장9, 기장2주공에서 출발하는 기장3번, 교리에서 출발하는 기장6번, 정관신도시 순환노선인 기장12번을 제외하면 차고지 출발 (기장고 입구)
  12. 초읍동 ~ 당감동 ~ 백양터널 ~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가거나, 초읍동 ~ 사직동 ~ 만덕터널 ~ 남해고속도로를 타고 간다.
  13. 이 곳에 경마여객, 대일교통, 대저여객 등 강서구 연고 마을버스 업체의 차고지로 쓰고 있다. 2014년 상반기까지는 대저역 고가 밑에 있었으나 이전하였다.
  14. 거리상으로도 거의 중간지점에 위치해있다.
  15. 주차장뿐만 아니라 업체 사무실, 간이 정비시설도 같이 들여 놓는다.
  16. 네이버 지도에는 해운대11번으로 되어 있다. 빨리 업데이트 안해?
  17. 지도로 확인결과 해당 부지는 재건축으로 없어졌기 때문에 자세히 아시는 위키러는 추가바람
  18. 본래 성진버스가 운행했으나 화린교통이 차량인가가 1대 부족해서 공배하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