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대령

上級大領. Senior Colonel.

영관급 장교의 하나로 한국군에는 존재하지 않는 계급이다. 선임대령, 특무대령, 고급대령 등 번역어가 난무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관급의 상급 장교로 굳이 한국어로 줄여서 표현한다면 상령(上領)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엔 이미 북한에서 소-중-상-대의 4단계를 정해놓은 걸 한국에서 활용하기 때문에 헷갈리게 된다. 이 체계를 쓰면 타국의 대령을 상령이라 부르고 타국의 상급대령을 대령이라고 하는 식이 될 것이다.

1 개요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상급대령을 준장을 유지하지 않는 군 체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계급이라 설명하고 있다. 상급대령을 유지한 국가로는 나치 시절의 독일이나 공산권 국가들이 대표적이다. 인민해방군에서는 대교가 이에 해당한다.

2 위상

상급대령을 장관급 장교으로 볼 것이나 영관급 장교으로 볼 것이냐는 의전상에서 골치 아픈 문제이다.

2.1 장관급으로 보는 경우

일단 인민해방군의 경우 교관급 장교가 소교-중교-상교-대교의 순이며 장성소장-중장-상장의 순서이다. 본래는 원수대장(계급)도 존재했지만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계급이며 상장은 타국의 대장과 상당한다. 그때문에 중국군과 타군이 만날 경우에는 대교를 준장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북한군의 경우 한국전쟁 당시에 상좌가 없었고 대좌 위에 총좌라는 계급을 두었는데 한국전 당시의 포로 교환은 무조건 교환내지 교환 때 포로들의 자유의사의 문제였고 딘 소장이 사로잡힌 사실은 그 당시까지 미국에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포로수용소에 들어가는 것은 대령까지이고 장군급은 따로 수용한다.

자위대는 공식적으로 계급이 분리된 것은 아니지만 대령을 1종, 2종, 3종으로 나누는데 1종 대령의 경우에 준장과 사실상 비슷하게 대우해서 별 하나짜리 성판을 붙일 수 있게 한다.

1좌(대령) 1종 → 장보(소장) 2종

  • 방위성, 합동
    • 방위대학교훈련부장, 방위교육학군장[1], 방위교육학군지휘/전사교육실장, 방위감찰본부감찰관, 장비시설본부 부본부장, 정보본부정보관(3인), 미국수석방위주재관[2], 통합막료감부지휘통신시스템부장, 수석후방보급관, 통합막료감부운영부장, 자위대정보보전대사령관 등 13명.
  • 육상자위대
    • 육상막료감부 감리부장, 운영지원/정보부장, 위생부장, 장비차장, 감찰관, 법무관, 방면총감부 막료차장(5인), 부사단장(9인), 중앙즉응집단부사령관, 단장[3](6인 추정), 경무대(헌병단)장, 중앙정보대장, 중앙업무지원대장, 각 직종학교장[4](10인 추정), 중앙회계대장, 자위대체육학교장,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육상자위대고등공과학교장[5], 육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고다이라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 통신과장, 특과장, 기갑과장, 보급통제본부 부본부장, 보급처장[6](?인), 연구본부간사/통합연구부장, 자위대 도쿄/오사카/오키나와지방협력본부장[7](3인), 육상자위대 센다이/구마모토/한신병원장(3인), 자위대중앙병원제1치과부장 등 수십명
  • 해상자위대
    • 해상막료감부 총무부장, 총무부부장, 지휘통신정보부장, 기술부장, 수석위생관, 오미나토/구레/마이즈루 지방총감 부막료장(3인), 호위함대사령부 막료장, 항공집단 막료장, 군[8] 사령관(9인), 경무대(헌병단)장[9], 한신기지대 사령관, 연습함대사령관, 개발대군 사령관, 잠수의학실험대 사령관, 해상자위대보급본부 부본부장, 해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술과학교장[10] (3인) 등 수십명
    • 항공자위대
      • 항공막료감부 총무부장, 운용지원/정부부장, 기술부장, 감리감찰관, 수석위생관, 항공총대사령부막료장, 항공방면대부사령관(4인), 서남항공혼성단부사령관, 항공단[11]단장, 경무대(헌병단)장[12], 기지경계관리단사령관, 제83항공대사령관, 항공안전관리대사령관, 항공의학실험대사령관, 제1운송항공대사령관, 항공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각 술과학교장(5인), 각 보급처장.

2.2 영관급으로 보는 경우

총좌나 북한군의 대좌는 대령으로 본다. 남북 실무자 회담 등에서 한국군 대령이 참가할 때 북한 쪽에서는 대좌가 참가한다. 이는 북한군의 장성이 소장-중장-상장-대장의 4단계로 한국의 준장-소장-중장-대장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중화권중국과 달리 중화민국은 영관급을 3단계(소교-중교-상교)로 돌리기 때문에 상급대령이 없다. 근데 문제는 중화민국군의 장성이 소장-중장-2급상장의 3단계라는 점. 1급상장은 현재 쓰지 않는 계급이다.

나치 친위대역시 상급지도자(Oberführer)를 독일 국방군의 대령소장의 중간계급으로 취급하였다. [13]
  1. 방위대학교의 학장 중 하나이다.
  2. 국방무관을 말한다.
  3. 여단과 같은 일본의 부대 단위이다. 통신단, 고사특과단(방공포병단), 시설단, 제1특과단, 방면혼성단, 개발실험단, 후지교도단 등이 있다. 여기서 혼성단은 대령급 지휘관으로 제외한다.
  4. 후지와 간부학교를 빼면 10곳이 있다.
  5. 한국의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와 비슷한 곳이다.
  6. 관동보급처장 제외
  7. 지방협력본부를 줄여서 지본이라고 한다.
  8. Flotilla와 Squadron으로 호위대군, 해상훈련지도대군, 항공군, 잠수대군, 소해대군, 정보업무군, 개발대군, 교육항공군, 시스템통신대군, 해양업무군 등 10곳이 있다. 여기서는 개발대군을 제외.
  9. 우리나라의 해군헌병단은 준장인데 비해 해자대는 가끔 1등해좌를 임용하지만 가끔 해장보(2종)를 임명한다
  10. 1술과학교를 제외한 2-4술과학교장
  11. 한국의 비행단에 해당하며 2(홋카이도), 3(미사와), 6(이시카와), 7(이바라키), 5(미야자키), 8(후쿠오카), 1(하마마츠), 4(미야기) 항공단이 있다.
  12. 우리나라의 공군헌병단은 대령이고 간혹 준장인데 비해 공자대는 가끔 1등공좌를 임용하지만 가끔 공장보(2종)를 임명한다
  13. 계급 창설 초기에는 소장으로 취급되었으나 차후 격하되었다. 참고로 독일 국방군 육군에는 준장계급이 존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