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계급)

한자:上將
영어: General (중국), Colonel-General (소련/러시아)

01300000307427124809594125770_140.jpg

중국 인민해방군의 상장 계급장.

간체로는 上将이라 쓴다. 구 소련군이나 러시아군, 중국 인민해방군, 북한 조선인민군 등에 존재하는 계급으로 대장중장 사이이다.

영어로는 Colonel General(러시아군)이나 General (중국)이라고 쓰지만, 해군은 Admiral이다. 보기에 따라서는 그냥 그런가보다 할 수도 있지만 다국적군이나 재외무관 등으로 타국군과 자주 만나는 군인이나 관계자들 입장에서는 골때리는 부분인 것이, 해군 제독들의 계급명은 영미권과 공산권이 차이가 없고 실질적인 대우도 그럭저럭 맞는 반면 이 육군식 계급명만 이렇게 차이가 난다. 그런데 해군식 계급에서 육군식의 Colonel General 같은 요상한 계급명이 없는 것도 아니며, 그런 요상한 계급명을 쓰는 나라도 없지 않다. Squadron Vice Admiral[1] 같은 계급명이 횡횡하고 러시아군과도 자주 만나야 하는 나토군 관계자들은 지못미 씁 어쩔 수 없지. 외국어 공부 역사 공부 열심히 하는 수밖에(...)[2]

F200904221407376959201001.jpg
오른쪽 사진의 우측 인물이 우성리 인민해방군 해군사령원으로, 공산권 해군이 그렇듯이 수장이 정복의 소매 부분을 한바퀴 휘감지 않고 그냥 바깥쪽으로 보이기만 하는 등의 차이는 있지만 좌측의 정옥근 당시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의 서방 해군식 4성 제독 수장과 같다. 원래 해군의 제복은 영국 해군이 원형으로 어느나라나 비슷하다. 심지어는 북한군이나 문화대혁명 당시 중국군도 해군제복은 국제 표준과 비슷하게 만들고 있다.

국군에서는 북한은 준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장이 준장, 중장이 소장, 상장이 중장급이 된다고 대응시키고는 있는데... Colonel General이 북한에만 있는게 아니라 문제(...) 또한 나라마다 취급이 다르다(...)

450px
중국 국방부장 창완취안(常万全) 상장. 중국의 국방부장은 서방 국가의 국방장관 정도 되는 위치지만 제복군인이 올라가는 자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국의 경우 대장이 원수와 마찬가지로 운용하지 않는 계급이 됐고 준장은 없지만 상급대령대교준장급의 업무를 맡는 경우가 생겨 상장이 대장급이 되었다. 중화민국군 역시 1급상장은 폐지하고 2급상장을 한국군의 대장과 같은 수준의 계급으로 운용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중화민국제복군인 최선임은 상장이다. 계급장은 별 셋이지만 영어로는 colonel-general이 아니라 대장(General/Admiral)으로 번역한다.

소련군 시절에는 원수나 대장이 심심찮게 나왔지만 소련 해체 이후의 러시아군은 21세기에 들어서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다고 판단된 소련군 시절의 편제를 점차 단순화하면서 계급 인플레이션이 적어짐에 따라 상장이 각군별 최선임으로 정해지고 오직 총참모장국방장관 등 일부 국방부 관료들[3]만이 대장(단, 영어로는 Army General로 미 육군 원수 General of the Army와 같다. 키릴문자로는 генера́л а́рмии.)급으로 보임되고 있다.
  1. 프랑스 해군의 예. 얘네는 Commodore 계급이 없고 Vice Admiral 다음에 Vice-amiral d'escadre(영어로는 Squadron Vice Admiral)라는 계급이 있다. 이를 상장으로 번역할지 대장-상급대장으로 번역할지조차 나라별로, 그리고 언어별로 다르다.
  2. 나토에서도 이런 이유로 골머리를 앓다가 계급코드를 지정해서 대응하는 시도를 한다지만 유럽연합이 통번역 문제로 막대한 비용을 소모하듯이 나토에서도 어떻게 명쾌하게 해결할 방법은 없다.
  3. 러시아는 제복군인으로 활동하다 국방부 장, 차관까지 진출하기도 하고, 이런저런 정치적 이유로 정치하던 사람이 갑자기 장군 계급을 달고 오는 경우도 있으며, 아예 쌩 민간인 신분으로 활동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