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급 장교

대한민국 국군신분
군인 (장병)
사병준사관장교
(병사/수병)부사관준사관위관급 장교영관급 장교장관급 장교
준군인
훈련병부사관후보생준사관후보생사관후보생사관생도군무원
  • 한자 : 將官級 將校
  • 영어 : General Officer(육군, 공군, 해병대) / Flag Officer(해군, 해안경비대)

1 개요

장군, 제독이라고 하기도 하며 장성이라고도 한다.

장교임원급으로 영관급 장교보다 위이다. 준장(Brigadier General/Rear Admiral(lower half)), 소장(Major General/Rear Admiral), 중장(Lieutenant General/Vice Admiral), 대장(General/Admiral)으로 구성된다. 원수대원수를 두는 경우도 있다.

장(將)성급은 말 그대로 군대 전체를 지휘통솔하고 군대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사람을 의미한다. 장관급의 장(將)은 군대 전체를 통제하는 총수를 상징하는 한자이다.

우리나라 군의 준장은 Brigadier General/Commodore Admiral 이다.
(계급은 육군,공군,해병대/해군,해안경비대 순이다.)

대인관계 등 소프트웨어적인 내용은 임원 문서 참고. 회사냐 군대냐의 차이지 결국 똑같다.

기행병과는 간혹 소장까지도 갈 수 있으나 육군과 해병대는 보병포병, 해군은 항해, 공군은 전투조종사 출신만 중장 이상 달 수 있다. 그리고 사단장(함대사령관, 공군기능사령관 포함)까지는 거의 현장, 즉 야전 지휘관 커리어를 밟아야 그나마 확률이 올라간다.

2 나라별로

장관급 장교/국가별 비교를 참고할 것.

3 하는 일

임원에 해당한다. 준장은 보통 참모[1]로 일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휘관을 할 경우 보병여단이나 특전여단의 여단장을 한다. 어쨌거나 여단장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참모 보직을 맡는 준장의 역할상 유럽에선 오랫동안 준장을 장관급 장교로 보지 않았다. 유럽에 상급대령이 많았던 이유가 이 때문이다. 명색이 장군이나 제독이면 전투부대를 지휘해야 하는데 참모가 많은 준장은 장성이라 보기에 격이 떨어진다고 봤다. 물론 미군이 여단의 중요성을 깨달으면서[2] 준장의 역할과 위상을 많이 발굴했기 때문에 나토군이나 다른 여러 나라에서 준장을 장관급 장교로 대우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중국 인민해방군이나 자위대에는 준장이 없다. 물론 위의 참모가 많다는 것은 육군기준이다.

  • 해군의 경우에는 가장 중요한 전투 단위인 전단지휘관전단장이 준장이라 준장들의 역할이 막중하다.

소장사단장이나 각 군 본부에서 00참모부장, 국방부에서 기획관 및 국장으로 근무하며 중장군단장이나 각 군 본부에서 참모차장, 국방부에서 실장, 합참에서 본부장을 맡는다. 즉, 해당 부서의 총책임자급이다. 대장의 경우 군사령관, 각 군 참모총장 및 합동참모의장을 담당하며 실무자 보직은 없다.

2005200620072008
450487468460
대장910108
중장37383936
소장127141129126
준장278298290290

위의 자료는 감사원의 자료를 참고한 것이다. 한국군 기준으로 숫자는 약 4백 명으로 장교 전체의 2% 정도를 차지한다. 이중 대장은 8명. 계급별 인원 현황은 본래 2009년까지 공개를 했으나 2010년부터 대외비로 지정하고 있다.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등은 정원외 초과 운영 등의 상황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 자군의 계급별 인원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육군의 경우 육사가 장관급의 70%를 차지한다. 비육사 출신이 나머지를 차지하는데 그나마도 올라갈 수록 더 작아져서 대장까지 가면 1명 이외에 모두 육사 출신이 된다.[3]

미군과 비슷한 구조를 받아들여 대한민국 국군과 장관급 장교의 직책 형태가 비교적 비슷한 편인 자위대를 살펴 보면 장관급 장교들이 맡은 일을 참고할 수 있다. 자위대는 전 세계 군사조직 가운데 장관급 장교들의 이름을 모조리 공개하는 몇 안 되는 곳인데 자위대/장관급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장관급 장교 265명 가운데 전투부대 지휘관은 71명이며 그 외의 지휘관은 73명, 참모는 121명 수준이다. 중장급에서는 그나마 지휘관의 비중이 높지만 소장급에서는 참모의 비중이 더 높다.

4 특징

상당히 해괴한 특징을 갖고 있다. 군대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면서 동시에 너무 많이 존재하면 군대를 오합지졸로 만드는 사람들이다. 그런 즉 절대로 꼭 필요한 자리에 꼭 필요한 인원만큼만 보직시켜야 하는 것이 장관급 장교이다. 조선인민군이 이 부분에서 멋대가리도 없고 엄청 병신같은데 장관급 장교 1인당 할당되는 병력이 1000명 미만으로 거의 대대 수준이다. 반면 독일군은 장관급 장교의 숫자가 정말 적어서 장관급 장교 1인당 병력 숫자가 북한의 10배 이상이다.

또한 장관급 장교가 많을수록 보직 대비 계급이 높아지는 기현상이 생긴다. 대장의 예를 들자면 독일군의 경우 대장국방참모총장폴커 비커 장군이 유일한 반면 대한민국 국군은 8명에 달하고 조선인민군은 수십명으로 개나소나 대장을 하고 있는 꼴이다. 하지만 이녀석들은 아기돼지 맘대로 계급을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독일군은 대장 보직이 국방참모총장이 유일한 반면 대한민국 국군은 야전군사령관부터 대장이며 조선인민군은 개나소나 별의별 해괴한 이름을 끌어다 붙이며 대장이라 칭한다. 특히 김씨네 일족이면 자기 꼴리는 대로 달고 다닌다. 일례로 김경희김여정 등이 단지 자기 조카가 김정은이라고, 자기 오빠가 김정은이라고 해서 지맘대로 대장 계급을 달고 다닌다. 그래서 조선인민군의 경우는 국가에서 손에 꼽는 주요보직은 대부분 차수가 담당하게 된다. 이게 왜 문제가 되냐 하면 상위보직인데 계급이 같기 때문에 항명이 일어날 가능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계급이 같으면 일단 상관은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상위 보직이 하위 보직에게 행사하는 명령권이 축소된다. 군대란 상위 보직이 하위 보직에게 명령을 내리는 체계인데 계급이 같으면 아무래도 상급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희미해서 자신에게 불리한 명령 같으면 반발할 여지가 있다. 한 마디로 장관급 장교가 많을 수록 군대의 가치가 하락할 뿐 절대 정예해지지 않는다.

가장 정예 강군은 장관급 장교가 적은 군대이다. 반면 장관급 장교가 너무 많은 군대와 장관급 장교가 없는 군대는 둘 다 동일한 오합지졸이다.

5 정치적 성향

장관급 장교들은 보수적 성향이 강하다. 군인 항목에서 예전에 다룬 적이 있지만 장관급 장교 출신들은 보수주의적인 기질이 강하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도 상당수의 예비역 장성들이 한나라당이나 새누리당에 입당하여 활동하였다. 재향군인회 소속의 군인들도 보수적 성향이 강하다. 미군에서도 많은 군인들이 미국 공화당을 지지한다. 자위대에서도 장성 출신인 다모가미 도시오가 극우적인 발언을 내세우며 정치인으로 나선 바 있다.

군에서 한 평생을 보내며 과거의 군대와 체계, 관습 등을 그대로 경험한 쉽게말해 구세대인 이유가 있다. 그러나 일반화하기도 어려운 것이 상대적으로 진보주의로 분류되는 미국 민주당이나 더불어민주당 등에서 활동하는 예비역 장성도 있다. 어디까지나 보수주의자가 많다는 것이지 모든 장관급 장교가 보수주의자인 것은 아니다.

6 장관급 장교의 타입

  • 명장(名將) : 뛰어난 장수. 일반적으로 용장과 지장, 덕장 세가지를 겸비한 경우 명장이라고 불리며, 이쯤 되면 위인전 여러 권은 나온 수준이다.
  • 용장(勇將) : 맹장과 비슷하지만 맹장이 말 그대로 싸움만 잘 한단 의미가 강하다면 용장은 어느 정도 덕망도 있는 사람이란 느낌이 강하다. 병 계급이 용사가 되고 분대장을 맡는 병을 용장(勇長)이라 부르게 된다면... 사실 용장하면 좀 머리가 나쁘단 느낌도 강하긴 하다.
  • 맹장(猛將) : 이른바 전투부대 지휘에 뛰어난 싸움꾼들을 말한다. 맹장들의 단점은 평시에는 맹장이란 게 잘 드러나지 않아서 그냥 성격 나쁜 장성들을 맹장이라고 가리킬 때도 많다.
  • 지장(智將) : 지장보살과는 무관하다. 학식이 높고 지략이 뛰어난 참모 타입의 장성을 가리킨다. 지장들의 경우에는 필드보다는 정책이나 학문 쪽을 연구하다가 높은 자리로 올라간 사람들이 많다.
  • 덕장(德將) : 성격 좋은 장성들을 말한다.
  • 운장(運將) : 관우 말고관운(官運)이 좋은 장성을 뜻한다. 주로 한직에 있다가 윗사람들이 잘려나가면서 어부지리로 올라간 아재들이 많다. 전쟁에서 운 좋게 잘 이기는 장성들도 운장이라고 한다.

고대에는 맹장이나 용장이 매우 중요했다. 전투가 근접전이다 보니 장성급들이 직접 부대원들을 독려해야 했기 때문. 심지어 국왕도 전선에 나가던 시절이었다. 그러나 무기가 발달하고 전술이 발달하면서 장성급들이 앞에 나가 싸우다 뒤지면[4] 모랄빵 나고 지휘체계도 붕괴하기 때문에 장성급들은 포스트를 세우고 작전을 지휘하는 역할이 중요해졌다. 그에 따라 수십명의 참모진이 장성에게 붙게 되었다. 인사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덕장이 각광받고 전략의 중요성으로 지장도 위상이 높아졌다. 물론 현대전에서도 맹장이나 용장들은 중요하다. 전쟁이 고착상태일 때 다른 장성들이 리스크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면 맹장이나 용장들은 리스크를 과감히 뚫어내며 전투에 임하기 때문. 맹장 타입의 장성의 대표로 패튼을 들 수 있다. 다만 주요 지휘관들을 죄다 맹장이나 용장 타입으로 채워넣으면 기동전은 잘 할지 몰라도 전쟁이 고착화되면 무리한 작전을 시행하다 패전을 부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7 의전

예포 등 군대에서 사용하는 의전 기준과 일반직 보직에 부임할 때 기준이 다르다.

군 내부에서 사용하는 기준 및 공무상 여비 기준에서는 대장은 장관, 중장은 차관, 소장은 1급, 준장은 2급 공무원에 상당한다.

다만 일반직과의 관계 하에서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은 다르다. 우선 대장은 국방장관의 지휘를 받으며 권한의 경우 대장들은 차관급인 경찰청장과 비슷하다.
준장의 경우 3급 공무원 및 1급 군무원에 상당한다. 방위사업청에서 보직을 맡기거나 당직근무를 맡길 때 3급 공무원과 동등하게 한다. 일반 공무원이라면 2급 고위공무원(고공단 나급)에 해당하는 국방부 국장직위를 군인이 맡을 경우 소장이 보임되고, 1급 고위공무원(고공단 가급)에 해당하는 국방부 실장(차관보급)의 경우 중장이 보임된다.

미국에선 국방장관 하에 육군청, 해군청, 공군청 각 청장들이 있고 그 밑에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이 있다. 국방장관과 각 군청의 청장들은 4성기를 들게 된다는 점에서 일단 의전에선 한국과 같다. 다만 문민통제가 철저해 장관이나 청장들이 장관급이 아닌 민간인 또는 위관급 장교에서 대부분이 나오며 간혹 영관급 장교들에서 나온다. 사병 출신인 척 헤이글의 경우도 있다.

일본군총리까지 맡으며 난리를 피운 일본의 경우엔 문민통제를 중시해 내각총리대신이나 방위대신장성기에 별이 다섯 개 표시되며 국방차관인 방위부대신이 각 군 대장과 같은 4성기이다.

8 각군의 장관급 장교의 계급장

8.1 한국군의 장관급 장교[5][6]

계급준장소장중장대장원수[7]


파일:3essKAo.gif파일:D1dmgDB.gif파일:52eyKRW.gif파일:RiDLs37.gif파일:BL1nlqE.gif

Brigadier General
육군
공군
해병대
Commodore Admiral
해군
Major General
육군
공군
해병대
Rear Admiral
해군
Lieutenant General
육군
공군
해병대
Vice Admiral
해군
General
육군
공군
Admiral
해군
General of the Army
육군
General of the Air Force
공군
Fleet Admiral
해군

파일:SMrrRaO.png파일:NAMR4Ae.png파일:NpmTrQj.png파일:BNP4BXW.png파일:BXbWFRC.png

Commodore Admiral
해군
Rear Admiral
해군
Vice Admiral
해군
Admiral
해군
Fleet Admiral
해군

8.2 미군의 장관급 장교

구분준장소장중장대장원수대원수

183px-Army-USA-OF-06.svg.png183px-Army-USA-OF-07.svg.png183px-Army-USA-OF-08.svg.png183px-Army-USA-OF-09.svg.png183px-Army-USA-OF-10.svg.png183px-Army-USA-OF-11.svg.png
General of the ArmyGeneral of the Armies
Generalissimo

80px-US_Air_Force_O7_shoulderboard.svg.png80px-US_Air_Force_O8_shoulderboard.svg.png80px-US_Air_Force_O9_shoulderboard.svg.png80px-US_Air_Force_O10_shoulderboard.svg.png80px-US_Air_Force_O11_shoulderboard_with_seal.svg.png없음
General of the Air Force


180px-US_Marine_O7_shoulderboard.svg.png180px-US_Marine_O8_shoulderboard.svg.png180px-US_Marine_O9_shoulderboard.svg.png180px-US_Marine_10_shoulderboard.svg.png없음

Brigadier GeneralMajor GeneralLieutenant GeneralGeneral

80px-US_Navy_O7_insignia.svg.png80px-US_Navy_O8_insignia.svg.png80px-US_Navy_O9_insignia.svg.png80px-US_Navy_O10_insignia.svg.png80px-US_Navy_O11_insignia.svg.png80px-US_Admiral_of_Navy_insignia.svg.png
Fleet AdmiralAdmiral of the Navy
Admiralissimo




80px-US_CG_O7_insignia.svg.png80px-US_CG_O8_insignia.svg.png80px-US_CG_O9_insignia.svg.png80px-US_CG_O10_insignia.svg.png없음

Rear Admiral(lower half)Rear Admiral (Upper Half)Vice AdmiralAdmiral

8.3 영국군의 장관급 장교

구분준장(상급대령)소장중장대장원수


BrigadierMajor GeneralLieutenant GeneralGeneralField Marshal


80px-UK-Navy-OF6.svg.png80px-Generic-Navy-O9.svg.png80px-Generic-Navy-O10.svg.png80px-Generic-Navy-O11.svg.png80px-Generic-Navy-O12.svg.png

-80px-UK-Navy-OF7-shoulder.svg.png80px-UK-Navy-OF8-shoulder.svg.png80px-UK-Navy-OF9-shoulder.svg.png80px-UK-Navy-OF10-shoulder.svg.png

CommodoreRear AdmiralVice AdmiralAdmiralAdmiral of the Fleet


-

BrigadierMajor GeneralLieutenant GeneralGeneral-


80px-UK-Air-OF6.svg.png80px-UK-Air-OF7.svg.png80px-UK-Air-OF8.svg.png80px-UK-Air-OF9.svg.png80px-UK-Air-OF10.svg.png

-80px-UK-Air-OF7n9-shoulder.svg.png80px-UK-Air-OF10-shoulder.svg.png

Air CommodoreAir Vice-MarshalAir MarshalAir Chief MarshalMarshal of the Royal Air Force

8.4 독일군의 장관급 장교

구분준장소장중장대장


80px-HD_H_61_Brigadegeneral.svg.png80px-HD_H_62_Generalmajor.svg.png80px-HD_H_63_Generalleutnant.svg.png80px-HD_H_64_General.svg.png



BrigadegeneralGeneralmajorGeneralleutnantGeneral







80px-MDJA_61_Flottillenadmiral_Trp_Lu.svg.png80px-MDJA_62_Konteradmiral_Trp_Lu.svg.png80px-MDJA_63_Vizeadmiral_Trp_Lu.svg.png80px-MDJA_64_Admiral_Trp_Lu.svg.png






80px-MDS_61_Flottillenadmiral_Trp.svg.png80px-MDS_62_Konteradmiral_Trp.svg.png80px-MDS_63_Vizeadmiral_Trp.svg.png80px-MDS_64_Admiral_Trp.svg.png


80px-MA_OG5_61_Flottillenadmiral.svg.png80px-MA_OG5_62_Konteradmiral.svg.png80px-MA_OG5_63_Vizeadmiral.svg.png80px-MA_OG5_64_Admiral.svg.png

FlottillenadmiralKonteradmiralVizeadmiralAdmiral


80px-LD_B_61_Brigadegeneral.svg.png80px-LD_B_62_Generalmajor.svg.png80px-LD_B_63_Generalleutnant.svg.png80px-LD_B_64_General.svg.png


80px-LA_OS5_61_Brigadegeneral.svg.png80px-LA_OS5_62_Generalmajor.svg.png80px-LA_OS5_63_Generalleutnant.svg.png80px-LA_OS5_64_General.svg.png

BrigadegeneralGeneralmajorGeneralleutnantGeneral

8.5 중화민국군의 장관급 장교[8]

계급소장중장대장원수











소장
(少將)
Major General
(MG)
중장
(中將)
Lieutenant General
(LTG)
상장
(上將)

General
(GEN)
1급상장
(一級上將)
General of the Army
(GA)




















소장
(少將)
Rear Admiral
(RADM)
중장
(中將)
Vice Admiral
(VADM)
상장
(上將)

Admiral
(ADM)
1급상장
(一級上將)
Fleet Admiral
(FADM)













-

소장
(少將)
Major General
(MajGen)
중장
(中將)
Lieutenant General
(LtGen)
상장
(上將)

General
(Gen)
-











소장
(少將)
Major General
(Maj Gen)
중장
(中將)
Lieutenant General
(Lt Gen)
상장
(上將)

General
(Gen)
1급상장
(一級上將)
General of the Air Force
(GAF)

8.6 자위대의 장관급 장교[9]

계급소장중장대장





80px-JGSDF_Major_General_insignia_%28a%29.svg.png80px-JGSDF_Lieutenant_General_insignia_%28a%29.svg.png80px-JGSDF_General_insignia_%28a%29.svg.png


80px-JGSDF_Major_General_insignia_%28b%29.svg.png80px-JGSDF_Lieutenant_General_insignia_%28b%29.svg.png80px-JGSDF_General_insignia_%28b%29.svg.png


80px-JGSDF_Major_Gene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GSDF_Lieutenant_Gene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GSDF_Gene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육장보
(陸將補)

Major General
(MG)
육장
(陸將)

Lieutenant General
(LTG)
육상막료장
(陸上幕僚長)

General
(GEN)











80px-JMSDF_Rear_Admiral_insignia_%28a%29.svg.png80px-JMSDF_Vice_Admiral_insignia_%28a%29.svg.png80px-JMSDF_Admiral_insignia_%28a%29.svg.png







80px-JMSDF_Rear_Admiral_insignia_%28c%29.svg.png80px-JMSDF_Vice_Admiral_insignia_%28c%29.svg.png80px-JMSDF_Admiral_insignia_%28c%29.svg.png


80px-JMSDF_Rear_Admiral_insignia_%28b%29.svg.png80px-JMSDF_Vice_Admiral_insignia_%28b%29.svg.png80px-JMSDF_Admiral_insignia_%28b%29.svg.png


80px-JMSDF_Rear_Admi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MSDF_Vice_Admi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MSDF_Admi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해장보
(海將補)

Rear Admiral
(RADM)
해장
(海將)

Vice Admiral
(VADM)
해상막료장
(海上幕僚長)

Admiral
(ADM)





80px-JASDF_Major_General_insignia_%28a%29.svg.png80px-JASDF_Lieutenant_General_insignia_%28a%29.svg.png80px-JASDF_General_insignia_%28a%29.svg.png


80px-JASDF_Major_General_insignia_%28b%29.svg.png80px-JASDF_Lieutenant_General_insignia_%28b%29.svg.png80px-JASDF_General_insignia_%28b%29.svg.png


80px-JASDF_Major_Gene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ASDF_Lieutenant_Gene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80px-JASDF_General_insignia_%28miniature%29.svg.png

공장보
(空將補)

Major General
(Maj Gen)
공장
(空將)

Lieutenant General
(Lt Gen)
항공막료장
(航空幕僚長)

General
(Gen)

9 관련 항목

  1. 각 군 본부에서는 부장, 처장이나 차장, 실장으로 근무하며 국방부청와대, 합참 등에서는 일반 부대에서는 영관급 장교나 맡는 처장으로 근무할 때도 있다. 국방무관으로 파견되면 밑에 휘하 사무원 1명 정도만 두거나 아예 아저씨인 외교부 직원들과 같이 일해야 할 수도 있다.
  2. 근데 정작 여단전투단(Brigade Combat Team)의 경우에는 준장이 아니라 대령들이 지휘한다. 미국에서도 준장들은 대부분 닥치고 참모다... 준장이 아니라 참장으로 바꿔야 할 기세... 여담으로 대한제국군 시절에는 장관급 장교가 참장-부장-대장의 순이었다. 장관급 장교의 맨 아래가 진짜로 참장이었다. 물론 이때의 참장은 준장보다는 소장의 위상에 가까웠다.
  3. 이 1명도 배정이 안 될 때도 있다. 2년 정도는 3사나 학군 출신을 올렸다가 다음 2년 정도는 안 올린다거나 하는 식. 갑종 출신들이 물러난 뒤에 육군대장 가운데 학군은 2015년까지 5명, 3사는 3명 밖에 안 된다.
  4. 중세까지는 냉병기로만 싸우던 시절이라 두꺼운 갑옷과 무기로 중무장하면 잘 죽지 않을 수 있었으나 이 등장하면서부터는 아무리 싸움 잘하는 맹장도 일개 병사의 총알 한방에 죽을 수 있게 되었다.
  5. 전투복용 계급장은 색에 따라 다르다. 검은색은 육군, 해병대, UDT/SEAL. 흰색은 해군. 파란색은 공군.
  6. 수장은 해군만 사용한다
  7. 현대 한국군에는 해당 계급을 부여받은 장교가 없다.
  8. 장관급 군관(將官級 軍官)
  9. 장관급 간부(將官級 幹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