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새萬金 / Saemangeum

1 개관

20110316205958.jpg

새만금개발청. 근데 개발청 위치가 엉뚱하게도 세종특별자치시에 자리잡고 있다.(...) 총 면적은 409km2, 이중 간척 토지는 283km2, 담수호 면적은 118km2 신항만(4.9㎢), 고군산군도(3.3㎢) 이다.

전라북도만경강동진강의 하구를 방조제로 막은뒤 내부를 매립하는 간척 사업. 이 새만금 방조제는 총 길이가 33.9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새만금(새萬金)'은 '새'로운 '만'경, '김'제 평야라는 뜻이다.[1] 새만김? 정부는 2010년 1월 29일에 새만금 신도시 이름을 아리울로 선정했으며, 새만금이라는 이름도 계속 사용한다고 밝혔다.

새만금 방조제는 1991년 11월에 착공하여 약 18년 5개월만에 건설하였다. 만경강동진강의 유로를 연장하고 그 이외의 지역은 주변 수역의 준설토로 매립한다. 2006년 물막이 공사가, 2010년 방조제 도로 공사가 끝났고 매립작업과 부지조성은 2020년 끝난다. 2016년부터는 일부 공사가 먼저 끝난 지역에서 농사도 지을 수 있게 된다.

2 행정구역 분쟁

htm_2010061702003430003010-001.JPG
그냥 시를 하나 더 만들면 될 일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간에 엄청난 분쟁을 벌이고 있다. 군산시는 본래 해상경계선[2], 김제시는 연장되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중심선을 주장하고 있다. 부안군은 김제시 주장에서 만경강과 동진강 사이의 서부지역은 자신이 가지는 안을 요구한다.

먼저 공사가 끝난 '고군산군도'의 신시도와 군산시내 지역의 비응도를 잇는 3,4호 방조제에 대해 중앙정부는 군산시로 행정구역을 지정하자 김제시부안군은 소송을 냈으나 대법원에서 패소했다.기사[3] 재판부는 3,4호 방조제는 주민 생활권이 군산시이며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앞으로 조성될 매립지는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어디에 인접했느냐를 따져 귀속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해상경계선 기준은 무력화됐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행정자치부는 대법원 판결을 반영하여 남은 1,2호 방조제의 행정구역을 결정하기로 했다. 결국 2호 방조제는 김제, 1호 방조제는 부안에 귀속되었고 군산시는 반발 중이다.

행정구역 개편/전북권/새만금광역시 항목도 읽어보면 참고가 된다.

3 본격적인 개발 착수의 움직임

새만금이 한동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사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지 못하다가 2015년부터 사업 진행에 가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특히, 새만금특별법 개정안의 통과로 인해 기업의 자유로운 투자가 쉬워지고 국가적인 새만금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새만금신항과 새만금전주고속도로의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정치권에서 새만금국제공항도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 또한 중국과 한중경협단지를 조성하자는 말도 나오고 있다.

현재 네덜란드의 델프트 공대와 함께 항공우주공학 분야 비파괴 연구소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한 상태이다. 전라북도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새만금을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고자 하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이다.

4 교통

img_traffic.gif

남북간선도로 3개축과 동서간선도로 3개축이 건설된다. 동서1축은 군산시 남부를 지나서 군산시 서쪽의 새만금과 이어지는 축이다. 새만금북로로 명명되었으며, 전주시로 연결된다. 동서2축은 김제시의 간척이전의 서쪽 끝에서 만경강의 바로 남쪽을 따라 달리게 될 도로로, 다른 동서간선도로와 달리 대부분이 매립지에 속하는 노선이다. 익산포항고속도로가 전주시에서 갈려져 새만금간척지앞의 김제시지역까지 연장되며 동서2축과 연결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특·광역시가 아님에도 사실상 전주를 둘러싼 순환고속도로를 갖게 된다.와우 동서2축은 대부분이 매립지에 건설되는 유일한 동서간선도로로서 지반침하를 막기 위해 지반 안정화 기간이 필요하여 공사를 서두르고 있다. 동서3축은 부안군을 지나는 축이다.

남북축은 방조제(77번 국도)가 1축, 가운데 대부분 매립지를 지나는 것이 2축, 군산시내와 부안읍을 잇는 도로가 3축이다. 자세히 보면 남북 1축과 2축 사이, 동서2축과 3축 사이에 원형의 순환도로가 있어서 동진강을 건너는 다리2개가 있다. 철도는 대야역에서 군장산단선과 일부를 공용하여 동서1축과 남북2축을 따라 새만금항 부근까지 철도를 건설할 계획이다.

2호 방조제 바깥에 새만금항이 인공섬 형태로 건설된다. 인공섬으로 짓는 이유는 조류의 소통을 위해서라고 한다. 언제부터 그런 것 신경썼다고

5 환경문제

사실 새만금 간척은 서해안 갯벌 생태계 파괴 및 인근 어민들의 생계를 빼앗는다는 환경단체, 사회단체의 반대가 굉장히 거센 정책이었다. 당장 부안군 경제 항목에도 나오지만 새만금 간척 이후 인근 갯벌 어업이나 관광업은 말 그대로 막장 상태가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역대 정권에서 좌우 가리지 않고 결국엔 모두 새만금 간척 사업을 강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상당한 반대 여론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도중에 멈추기도 머하니 끝까지 진행되었다.

6 기타

새만금 홍보관에 가 보면 정감록에 새만금이 새로운 천년도읍(수도)이 될 것이라는 예언이 있다고 한다. 물론 진지하게 믿으면 골룸하다.(...)

2010년에 외국의 다큐멘터리 채널인 디스커버리에서 새만금 도시 건설을 다룬 다큐를 방영한 바 있다. 다만 미래 조감도와 계획만을 참고하다보니 아리울(새만금에 세워질 도시명)이 두바이처럼 산유부국에서나 실현 가능할듯한 첨단 환경친화적 기술들이 대거 적용된 대형 인공섬 도시로 소개되었다. 지금까지도 누런 공사장 뿐이고 신도시의 이름이 아리울이라는 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넘어가자

2016년 새만금에 내국인 출입 카지노 설립 여부를 두고 논란이 생겼다. 반대측은 도박 자체의 문제성과 강원도 폐광 지역의 헤게모니를 새만금이 빼앗아가 강원도 지역 경제에 누가 될까 우려하고 있고, 찬성측은 새만금이 지리적 위치가 좋고 특히 중국과 왕래가 더 용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마카오와 같은 거대 카지노 도시로 성장하기만 하면, 그것이 새만금 경제 나아가 한국 경제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내국인 입장요금을 훨씬 더 고가에 책정해 강원랜드에 경쟁력을 유지시키고, 지리적 이점이 큰 새만금이 기존의 시장을 벗어나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시키고 한국 카지노가 세계적인 인지도를 쌓아 경쟁력을 얻을수록 강원랜드 역시 따라 발전할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1. 중국어로 표기할 때에도 '新万金'이라고 쓰고 있다.
  2. 고군산군도, 비응도, 가력도가 모두 군산시 구역이다. 해상경계선 기준이 무력화된 상황에서 1, 2호 방조제 사이의 가력도는 월경지가 되어버릴 수 있다.
  3. 받을 것을 기대해서라기 보다는 해상경계선 주장을 무력화시킬 기회를 얻기 위해 소송을 냈다는 시각이 많다. 김제 부안 모두 일단 만경강 북쪽까지만 군산이 가지는 것을 자기 주장으로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