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감록

鄭鑑錄

1 개요

조선시대 말기에 등장한 작자 미상의 도참서. 고려시대 십팔자위왕 예언의 후속작.

2 내용

사실 정감록은 정본이 없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이본이 많은 책이다. 온갖 도참서가 다 섞인 형태로 전해지는데, 모든 정감록에 포함되어서, 정감록의 원형으로 꼽히는 것이 감결(鑑訣)이다. 그리고 감결이 내용이 조선의 조상이라는 이심(李沁)과 조선 멸망 후 일어설 정씨(鄭氏)의 조상이라는 정감(鄭鑑)이 금강산에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이름이 정감록이다.

정감록이라는 제목 때문에 세간에는 정도전이 저술했다고도 하고, 혹은 정여립이 저술했다고도 하지만 설득력은 없다. 혹은, 정몽주나 그의 후손이 썼다는 설도 있는데, 조선 건국 당시 흉흉한 민심가운데 이 책이 만들어졌다는 주장이다.

정확하게 언제 형성되었는지는 알 수는 없지만 대체로 18세기 영조, 정조 시대때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보는게 일반적이다. 정조 9년에 일어난 이율, 양형, 홍복영의 모반사건(정감록 모반사건)에 정감록이 등장하는게 확실하기 때문에 적어도 그 이전에는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도령의 모델이 정성공이나 그의 아들 정경이라고 보는 최근 학설에 의하면 인조 말-효종 연간까지 연대가 올라가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이씨가 망한다는 구절로 볼 때 조선왕조에 반대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음은 분명하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정감록이 성리학을 위시한 조선 왕조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민중의 저항 이데올로기로 형성된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이런 탓에 조선시대에는 금기시 되었지만 민간에서 암암리에 퍼졌다.

필사가 반복되면서 다양한 판본이 나타났지만, 핵심적인 요지는 조선왕조(木子,李)가 망하고 계룡산에 정 씨가(奠邑,鄭)(정도령이라는 진인[1])이 새로운 나라를 세운다는 것이다.[2] 정감록 모반사건의 판본에서는 이씨가 망하고 김씨, 유씨, 정씨의 삼국으로 나뉘었다가 최종적으로 정씨가 통일한다고 나왔다고 한다.[3] 다른 판본에서는 정씨의 계룡산(鷄龍山) 도읍 8백 년이 있고, 다음은 조씨(趙氏)의 가야산(伽倻山) 도읍 5백 년(혹은 천년), 또 그 다음은 범씨(范氏)의 완산(完山) 7백 년(혹은 600년이나 천년)과 왕씨(王氏)의 재차 송악(松嶽:개성) 도읍 천년(혹은 500년)이라고 한다. 서기 5천년대까지 예언하다니 우왕 굿 또한 조선왕조가 망하고 정도령, 혹은 정진인[4]이 새 왕조를 세우기 전까지 환란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피할 십승지로 피난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고도 한다. [5]

문제는 이 십승지이다.

  • 풍기 차암 금계촌으로 소백산 두 물골 사이 (豊基車巖金鷄東峽小白山兩水之間) = 현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금계리
  • 화산 소령의 옛터 청양현 봉화 동촌으로 넘어 들어가는 곳 (花山召嶺古基在靑陽縣越入奉化東村) = 현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도심리
  • 보은 속리산 네 등성이 인근 (報恩俗離山四甑項延地) = 말 그대로 속리산 산속
  • 운봉 행촌(雲峰杏村) = 현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군
  • 예천 금당실(醴泉金堂室) = 현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 공주 계룡산 유구와 마곡 두 물길 사이(公州鷄龍山維鳩麻谷兩水之間) = 현 충청북도 공주시 유구읍
  • 영월 동쪽 상류(寧越正東上流) = 현 강원도 영월군에서 정선군으로 향하는 조양강
  • 무주 무봉산 북동방상동(茂朱舞鳳山北銅傍相洞) = 현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6]
  • 부안 호암 아래(扶安壺巖下) = 현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 합천 가야산 만수동(陜川伽倻山萬壽洞) = 현 경상북도 합천군 가야산 남산제일봉

그런데 몇가지 묘한 것이 있다.
십승지로 지목된 곳들이 모두 남부지방이라는 점인데 이로 미루어볼때 정감록의 형성지는 북쪽, 특히 서북지역이었을것으로 보는게 일반적이다. 실제로 서북지방을 중심으로 일어난 대규모 봉기인 홍경래의 난이 농민봉기에서 정감록이 본격적으로 활용된 최초의 사례이고, 이 후 홍경래의 이름과 더불어 정감록은 19세기 농민봉기의 바이블처럼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7]
그리고 해당지역은 대읍은 전무하고, 상당수는 산속, 협곡, 바위그늘 등 일반적 거주지로서는 재앙급[8]인데, 대신 외부에서 접근하기 어렵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지역들이란 것이다. 즉, 무릉도원 같은 것보다는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에서 언급하는 베이스 캠프에 가깝다. 이를 위와 조합하면, 농민봉기를 일으켰다가 실패했거나 세금문제 등으로 야반도주한 사람들이 숨어들기에 최적의 지세가 바로 저 십승지들이다.

그 외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킨 동학 접주 손화중이 선운사 마애좌불상 배꼽 아래에서 꺼냈다는 '비결록'이 정감록이었다 카더라라는 이야기가 오지영의 <동학사>에 기록되어 있다. 선운사는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안리에 있는 로 바위맥 끝지점에 위치한 도솔암 마애좌불상이 유명하다. 이 마애좌불상은 보물 1200호로 지정되었으며 15.6m의 크기로 절벽에 새겨져 있다. 명치 부근 배꼽에 봉인된 흔적이 있는데 이 안에 검단선사가 비결록을 써 넣었다는 전설이 있다. 조선 말 전라감사 이서구가 이 비결록을 꺼내기 위해 봉인을 풀었다가 하늘에서 갑작스래 천둥벼락이 내렸고 비결록 첫머리에 "전라감사 이서구가 연다" 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이를 본 이서구는 두려움에 다시 봉인을 하였고 19세기 말 손화중이 이 비결록을 가져갔다고 한다.

본문에 나오지는 않지만 정감록하면 항상 언급되는 궁궁을을(弓乙)이란 주문이 있는데, 이것의 해석으로 반란도 일어나고, 조선말~일제강점기의 많은 신흥종교들이 제각기 해석해서 교리로 삼았다.

정감록은 일제강점기까지도 많은 신흥종교의 경전으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십팔자위왕 설이 실제 조선 건국으로 맞아떨어지자, 그와 유사한 방식으로 반란에 적당한 명분을 끼얹으려는 새로운 도참설로 분석되고 있다. 물론 십팔자위왕 때와는 달리 이 설은 망했어요.오히려 김씨들이 득세했지 특히 북쪽에선 더더욱 말이다

3 여담

  • 정씨의 유력 대권 주자가 나올때마다 "정도령" 드립이 많이 나왔는데[9], 특히 현대그룹 정주영회장의 통일국민당 창당과 1992년 대선 출마, 2010년대 들어서는 충청도 출신의 정운찬 총리가 잘 맞아떨어져서 자주 나왔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아예 정씨 유력 정치인들을 패러디할때도 종종 쓰이는 모양이다. 민주당 정동영 前의원의 경우 본인이 2007년 유력 대권 주자이기도 했고 무엇보다 본인의 이름과 발음이 비슷해서 지지자들로부터 정도령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10] 하지만 안됐잖아 심지어 이씨한테 졌다 근데 그 분전주 이씨가 아니라 경주 이씨인게 함정
  • 이따금은 범씨 완산 7백년을 이용하여 새만금 간척이나 방사능 처리시설을 정당화 하는 경우가 부안군이나 군산시에서 가끔 나왔던 모양이다. 수도 망했어요
  • 조선말기에 정감록을 신봉하는 서민들이 이미 많았는데 조선이 진짜로 망해버리자 정감록을 당장 실천해야겠다라고 생각하는 서민들이 많았다. 그래서 지금의 북한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하삼도에 이주해서 6.25때 피해를 거의 보지 않게 되었다. 북쪽 사람들이 이주한 길지를 감록촌이라고 부르는데 현재는 젊은 후손들은 대부분 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 서점에 가면 정감록이란 제목으로 여러 책이 팔리지만 내용이 전부 다르다. 사실 원본이 없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최초의 '정감록'을 썼겠지만 이런 금서는 유통금지이기에 '정감록이라는 미래를 다루는 금서가 있더라~'라는 말만 사람들에게 전해지고 책은 전해지지 않았다. 이런 오리지날 '정감록'에 대한 인기를 바탕으로 B라는 사람도 C라는 사람도 정감록이라는 인지도를 바탕으로 흥행을 노리고 다른 내용이 담긴 '정감록'을 작성했다. 결국 시간이 갈수록 '정감록'의 내용은 계속 증가했다.
  • 대부분의 도참서가 그렇듯 내용이 애매하다. 따라서 독자가 대충 시대상황에 맞춰서 내용을 해독하고 있다. 조선이 멸망했으므로 정감록이 참이다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다. '바다 건너 섬나라의 진인이 백성을 구할 것이다'라는 내용을 미국[11]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일본에 핵폭탄을 투하해서 광복을 맞이하게했다는 사실 때문에 당시 거의 대부분의 국민들이 트루먼이 진인(True + Man)이다라고 여겼다.
  1. 眞人은 도교에서는 수행을 마친 선인의 의미로, 불교에서는 바른 인간이란 뜻으로 쓰인다.
  2. 그러나 본문중에 정도령이란 말은 나오지 않는다.
  3. 정씨의 나라가 새워진다는 내용은 앞서 언급한 정몽주, 정도전, 정여립의 예를 통해서 당시 백성이나 조선왕조 반대세력들이 위 세사람을 사례를 통해서 정씨가 이씨왕조의 대체재로 여겼다는 점을 알수 있다.
  4. 한 판본의 경우 진인의 사주까지 정해놨는데, 기사년 무진월 기사일 무진시로 가운데, 즉 왕을 상징하는 土의 천간이 4개나 있으며 사(뱀)이 진(용)이된다는 뜻을 담고있다.
  5. 십승지 중에서도 어느 땅이 좋은가에 대해서 해석이 다양한데, 군사적 요지인 곳이 좋다는 해석도 있고, 땅이 기름진곳이나 풍수적으로 좋은 곳이 좋다는 해석도 있다. 자세한것은 이중환의 택리지를 참고.
  6. 단 이쪽은 이론이 많다.
  7. 단, 본문에선 북쪽 땅은 전부 불모지 취급이니 심히 안습. 단적인 예로 십승지안에 북쪽 땅이 한 군데도 없다.
  8. 그래도 하천 하나 씩은 끼고 있어서 거주 자체는 가능하다고 한다. 다만 겨울 넘기기 어려울 것이란 평도 있다.
  9. 심지어 정씨가 아닌 노태우의 선전 만화에는 정씨가 당나귀 정씨로 불리기도 한다면서 귀가 큰 노태우와 관련이 있다는 식으로 연결시키기도 했다.정태우
  10. 지금은 오히려 지지자가 아닌 사람들이 조롱의 의미로 그렇게 부른다.
  11. 신대륙을 섬나라로 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좀 애매하지만... 바다 건너에 있는 건 사실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