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

1 書堂

b0527000011013_10.jpg
(김홍도의 <서당도>.)

書堂

1.1 개요

대한민국의 전근대 시대에 존재하던 교육기관. 현대의 초등학교와 유사하다.

서당의 기원은 고구려의 경당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송나라 사람이었던 서긍의 고려도경에서도 서당의 존재가 언급되며 조선시대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서당이 세워졌고 일제치하에서도 여전히 서당은 존재하였다. 일본정부는 자연스럽게 소학교가 서당을 대체할 것이라고 생각해서 서당에 대해 탄압하지 않았다. 그러나 2만 4천개의 서당이 감소하는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1] 항일지식인들이 서당을 개량한 형태의 항일계몽운동교육기관을 만들기도 했다. 이에 일본은 1918년 서당규칙을 제정해 모든 서당을 폐쇄한다.

21세기 현대에도 소수가 존재한다. 물론 공식 교육 기관은 아니고 전통 예절 및 한문을 가르치고 있다.

1.2 상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서당의 주인이자 선생인 훈장이 이들을 가르친다.

문자를 접하기 쉬운 양반 출신이 훈장인 경우가 많았다. 당연히 성별은 남성.

규모가 크고 학동 수가 최다인 서당에서는 훈장을 대신하여 고학력급을 가진 학동을 위주로 한 접장이라는 직책을 통해서 학동들을 가르치기도 한다.[2] 또 훈장이 병고(病苦) 및 유고(有故)로 인한 공석중인 경우에도 통용된다.

여성이 한문을 배우는 것을 터부시한 조선 시대의 특성상 학동 또한 남자가 대부분이었고 여자아이들이 다니는 서당이 아주 없지는 않았지만 여자가 공부한다고해서 관직에 나간다거나 할수가 있는 시절이 아니었기에 민간에서 여자들에게 문자교육을 시킬 필요성을 별로 못느껴서 그 수는 적었다.

기본적으로 천자문을 시작으로 동몽선습, 사자소학 등까지 기초교육이 이루어지고 그 다음으로 통감절요로 들어가서 한문 문리를 터득하게 된다. 그 외에 명심보감, 채근담, 삼강오륜 등도 기본 교양으로 가르친다. 통감절요는 역사를 배운다기 보다는 주로 문리를 깨우치기 위한 교재로 사용되었고 대개 제7권 양태부가의상소(梁太傅賈誼上疏)까지를 배우게 되는데 여기까지가 대략 한문을 습득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그리고 여기서 한문 독해력이 대충 갖추어졌다 싶으면 사서, 삼경 같은 경서를 공부하게 된다.

학동이 책 하나를 모두 통달하게 되면 '책거리', 혹은 '책씻이'라고 하여 학동의 집에서 훈장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양반 자제만 서당에 다닌 것은 아니었다. 다만 조선 전기에는 평민들은 경제적인 여유가 별로 없었기에 서당의 수가 많지 않았고 대개 있어도 양반의 자제들이 주로 다녔다. 그러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부자 평민층이 늘어나게 되면서 자녀를 교육시킬 여력이 생기게 되자 서당의 수가 늘고 교육을 받는 평민층이 늘게 된다. 양반 자제가 다니는 서당은 훈장이 관료출신인 경우도 있었고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평민 자제가 다니는 서당은 강습료도 저렴하고 훈장의 학식도 좀 낮았다. 양반 자제가 다니는 서당은 과거에 커리큘럼을 맞춘 경우가 많았고 평민이 다니는 서당은 그렇지 않았는데 조선후기에 양반이 너무 많아지다 보니 대부분의 서당이 과거시험을 목표로 커리큘럼을 편성했다.

모든 서당이 다 그렇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일반적으로 엄숙한 분위기에서 교육이 이뤄졌다.

서당이 많아지면서 훈장들의 교육수준도 천차만별이 되어버리자 중앙정부는 서당을 통제하기 위해서 마을마다 훈장들중 한명을 면훈장으로 지정해 통제했다. 그렇지만 조선말기 들어서 통제가 소흘해진 모양인지 서당이 민란의 주요 거점지대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에서는 에도 막부 시대 경제력이 발달하면서 테라코야(寺子屋)라는 비슷한 개념의 사립 교육기관이 형성되었다. 문자읽기, 쓰기, 산술부터 일본지리, 역사, 유교경전을 가르쳤다. 절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가장 주된 교육 목적은 법률, 일상적 글쓰기 등을 배우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교육자중 10%정도가 여자였다. 남녀공학이 대부분이었지만 남자학생만 받는 곳과 여자학생만 받는 곳도 있었다.
조선 서당에 비해 여자아이들이 교육을 받은 경우는 많았으나 남자아이들과 같은 내용을 배운 것은 아니고 주로 산술(算術)이나 바느질, 간단한 문장 읽기쓰기 등을 교육받았다. 여자아이들이 교육을 받은 이유는 결혼 때문이였는데 에도시대 평민 중 그나마 잘나가는 신랑감, 즉 상인이나 장인들의 집안에서는 아내에게 가사능력보다 주판 두들리기나 장부작성 등 사무능력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가 알아서 결혼상대를 찾아오는 고위 무사 집안 등 소위 잘사는 집 딸들은 꽃꽂이나 예법 같은 교양과목을 가정교육 받는 정도로 충분하였고 실용적인 학문에서는 오히려 중산층 가정 여자아이들보다 못한 경우가 많았다. 소학교 제도가 생겨나면서 테라코야의 교육자들중 일부를 소학교 교사로 채용했다. 규모가 큰 테라코야는 소학교로 바껴서 공식 교육기관으로 전환되었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서당과 같은 사립 교육기관이 크게 발달하지 못했고 대신 과외식의 교사 초청이 크게 일었다. 심지어 나이만 많으면 과거 비합격자도 선생을 할수있었다고 하니...[3]

1.3 여담

오늘날 학교 중에서도 한자 과목 선생을 훈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한자나 유학을 공부한 지식인들이 사설 서당을 열어서 일반인들에게 한자 및 유교식 교양을 가르치기도 한다.

여기서 기르는 도 삼 년이 지나면 문자를 깨우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서당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속담이 있다. 아무리 하찮은 사람이라도 학문을 어깨너머로 접하다 보면 알아서 깨우친다는 뜻이다. 이에 대한 바리에이션으로 PC방 개 삼 년이면 디아블로를 한다던가, 컵라면을 끓인다던가(...) 하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서당과 관련된 유명한 작품으로는 김홍도서당도윤승운 화백의 맹꽁이 서당이 있다. 유명한 김홍도의 서당도는 김홍도가 상상해서 그린 그림일 확률이 높다고 한다. 학생들이 신분에 따라 앉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망했거나 돈으로 양반족보를 사서 양반만 다니는 서당에 갈 수 없는 양반 자제여서 평민처럼 취급받는 것일 수도 있다.

서당초등학교라는 학교도 있다! 분당신도시,천안시에 있다고.

2 誓幢

신라의 지방군이다.
  1. 사실 당연할수밖에 없던게 소학교가 의무교육이 아니었던데다가 소학교를 전국 방방곡곡에다가 설치한것도 아니며 무엇보다도 학비가 서당에 비해 비쌌기 때문이었다.(이는 1930년대까지 개선이 되지 않아서 1945년 기준으로 문맹률이 78%에 달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군다나 일제에 대한 반감도 당연히 심한것도 있기 때문에 여전히 서당에 다니는 학생들이 많았던 것.
  2. 오늘날로 따지자면 조교.
  3. 현재로 치면 사수생이 수능 준비시키는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