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빙하기

(소빙기에서 넘어옴)
이름소빙하기
영문Little Ice Age
한문小氷河期

2000_Year_Temperature_Comparison.png

1 개요

지구의 기온이 간빙기에 비해서 비교적 낮게 내려갈 때를 이르는 말. 평균 기온이 1 ~ 2도 정도 강하하여, 농업 생산력과 어류 움직임 등이 크게 변화하는 사태가 나타난다. 현재로서는 근대적 측량 기록이 남은 17세기에는 기온 저하가 극에 달했음이 확인되어, 1400 ~ 1850년 혹은 1300 ~ 1850년간이 장기적인 '소빙하기'로 설정되는 경향이 있다. 처음에는 역사학자나 기후학자가 아닌 한 기자가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라고 하며, 현재로서도 그 실체에 대해서는 논의 중이므로 다소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는 있다.

2 역사적 소빙하기

17세기 소빙하기의 원인으로는 태양 활동의 후퇴가 지목된다. 17세기 후반에는 마운더 극소점(Maunder Minimum)으로 지목되는 흑점 활동이 가장 미약한 시기가 존재했는데, 이것이 태양 활동의 약화로 설명된다는 것. 또한 혜성이나 운석 등 지구 밖의 동향이 영향을 미쳤다거나(핼리 혜성이 나타난 것이나, 요하네스 케플러,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이 천문학을 발달시킬 수 있었던 것도 당시의 동향 때문이라는 주장으로 뒷받침된다), 화산 폭발 등의 또다른 자연재해가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있다. 현재는 당시의 역사 기록뿐만 아니라 꽃가루 측정, 빙하 퇴적 측정, 나이테 측정 등을 통해 당시의 동향이 많은 주목을 받는 추세이다.

17세기 소빙하기는 유럽의 농업 생산력를 쇠퇴시켜 마녀사냥, 17세기의 각종 반란(영국 청교도 혁명명예 혁명, 프랑스 프롱드의 난, 러시아 스텐카 라진의 난 등) 30년전쟁 시기의 혼란 등 사회적으로 분란을 불러 온 것으로 지목된다. 1677년과 1683년 ~ 1684년에는 영국 템즈 강이 얼어 회화로 남기도 하였으며,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이 17세기 유명해진 것도 이 시기 소빙하기로 인해 목재 질이 촘촘해지고 음질이 달라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최근에는 동아시아에도 이 학설을 접목하여 명나라청나라의 교체, 조선의 자연재해(경신대기근 등) 등을 여기에 연결 지으려는 시도가 있다. 조선왕조실록이나 『증보문헌비고』 등의 기록을 종합했을 때 이 시기의 자연재해가 잦았다는 것이 동아시아 측에서도 확인된다는 것. 일본 에도 시대 역시 화산 활동과 저온 현상 등으로 인한 잦은 대기근으로 시달린 기록이 남아 있다.

특히 조선에 관련해서는 서울대학교 이태진 교수가 기후사 관련 주장에 적극적인데, 다른 학설(예를 들어 고종의 재조명 등) 면에서도 최근에 충돌이 잦은 사람이라 평가가 갈리는 편. 정작 동시대 일본은 경지와 인구가 급증한 것을 들어 '기후에 조선의 쇠진를 떠넘기려는 핑계가 아니냐'는 반박이 있다. 실록 등 전근대 동아시아의 기록의 특성상 자연재해의 기록이 정치적 이해 관계에 의해서 정쟁이 활성화된 시기에 두드러질 수 있다는 점도 지적받고 있다.

이외에 8 ~ 9세기 경과 13세기 후반 ~ 14세기 즈음에도 소빙하기가 존재했다는 설이 있다. 8 ~ 9세기 소빙기론은 바이킹의 남하, 마야 문명의 쇠퇴, 신라 등지의 혼란 등을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 13 ~ 14세기 소빙하기론은 흑사병과 중세말기의 이상기온과 관련되어 나온 학설이다. 좀 더 나아가서는 로마 제국 후기부터 중세시대의 기온이 상당히 높았던 것의 반작용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3 지구온난화와의 관계

현재 지구온난화도 인류가 부른 재앙이 아니라 소빙하기라 지구 기온이 변화하고 있다는 설이 있다. 기온이 올라서 해류[1]에 영향을 끼치고[2], 그것이 공기 대류에 영향을 끼쳐[3] 오히려 지구 기온을 떨어뜨린다는 설인데, 영화 투모로우와도 닮은 면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사실인지는 파악이 불가능하며, 아무리 과거의 '소빙하기' 관련 측량 기록이 확인되고 있다고는 해도 그것이 일정한 패턴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이 많다. 객관적인 수치로서는 한 100년 뒤쯤에나 비교가 가능할 듯하다.

소빙하기 이론을 주장하는 일부 사람들 중에는 소빙하기로 하강하는 기온을 무시할 정도로 지구온난화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자세한 사항은 지구온난화 항목 참조.
  1. 적도에서 바닷물이 뜨거워짐→바닷물의 밀도가 낮아져서 표면으로 상승→상승한 바닷물이 수온이 낮은 고위도로 흐름(난류)→난류가 열을 방출하면서 극지방까지 흘러감→바닷물이 차갑게 식으면서 밀도가 높아짐→밑으로 가라앉아서 저위도 방향으로 되돌아감(한류)→반복.
  2. 기온의 상승으로 극지방의 빙하가 급속하게 녹음→녹은 담수가 바닷물에 섞임→담수의 밀도가 염수보다 낮아서 난류의 하강을 교란함.
  3. 공기의 대류는 적도에서 상승했다가 중위도에서 하강하는 것, 중위도에서 하강한 후 극지방에서 난류의 열을 받아 상승하는 것의 두가지가 있다. 즉 해류가 마비되면 대류현상도 멈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