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順倭.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에 부일, 협력한 조선인을 이르는 말이다. 주로 조선정부에 대한 원한#s-1과 불만을 가졌거나 혹은 일본군의 강압에 의해 부역행위를 한 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 입장에서 본다면 매국노. 다만 대부분이 일본군의 강요로 부득이하게 일을 저질렀거나 생계형이었고, 이들을 지키지 못한 조선 정부의 책임도 지적되었기 때문에 국경인같은 부류가 아니라면 처벌은 거의 없거나 가벼운 편이었다고 한다. 어짜피 전근대 국가에서 매국노나 역적이 꼭 나쁜 것도 아니고 좋은것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어느 쪽에 정당성이 있느냐 하는 것이다. [1]
순왜에는 3가지 부류가 있다. 첫번째로 일본군의 '길잡이 역할'을 한 자. 즉, 일본군이 조선의 도성 한양으로 진격할 때 도성으로 가는 길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 경우를 말한다. 두번째로 일본군에게 조선의 상황 등 정보제공을 한 경우이다. 세번째로 일본군에 소속되어 참전한 경우 등으로 분류된다.
순왜의 대표적인 예로 임해군과 순화군을 함경도 회령부에서 포박하여 가토 기요마사에게 넘긴 국경인이 있다. 이건 임해군과 순화군이 막장이라서 그렇지만…. 국경인도 역시나 개막장이었다. 국경인은 일본 점령하의 함경도에서 실질적 권력자로 행사해 함경도 주민들 상대로 가혹하게 세금징수하는 등 횡포를 부리다가 결국, 정문부를 비롯한 의병들이 들고 일어서 왜군을 몰아내는 동시에 매국노였던 국경인을 참살했다.[2]
이 밖에도 충무공 이순신의 난중일기 내용에는 사천해전에서 왜군 소속으로 참전한 조선인도 있었다고 충무공은 몹시 분개했다고...
반대 개념으로는 일본 군인 중 조선에 투항하여 조선에 협력한 자를 일컫는 항왜가 있다.
다만 이게 엄밀하게 통일된 용어가 아니라서, 일부 문언에서는 순종하는 왜인을 '순왜'라고 부르고 왜인에게 항복한 자를 '항왜'라고 불러서 뜻이 완전히 거꾸로 뒤바뀌기도 한다.
일본인들은 항왜에 대해서는 '일본 측에 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부정하는 것과는 달리 순왜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긍정한다. 심지어 양반에게 압제받던 조선 민중을 일본군대가 해방시켰다는 식으로도 왜곡하고 다닌다. 물론 헛소리다.[3] 저런논리로치면 여몽연합군도 가마쿠라막부에게 억압받던 일본백성들을 해방시킨거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피지배계급인 민중 입장에서는 다 똑같은 지배자일 뿐이라고 봐야 과학적인 역사인식일 것이다. 물론 조선의 지배계급은 대놓고 백성들을 학살하지 않았지만, 일본은 학살을 했기에 자발적으로 일본 편을 드는 백성이 없었던 것. 임진왜란뿐만 아니라 많은 외침에서도 상황에 따라 일본이나 중국, 북방에서 온 군대를 환영하는 일도 없지 않았는데, 그 경우에는 백성들의 환심을 샀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민족주의적으로 자칫 잘못 해석하기 쉬운데, 임진왜란 때 백성들이 강하게 저항했던 것은 양반들에 의해 봉건적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받은 것도 없지 않지만, 그렇다고 무슨 민족정신 그런것이 아니라 자기가 사는 고장과 가족을 지키려는 마음 때문이었다고 봐야 한다. 좀 더 나아가면 공동체 정신 정도. 그런 의미에서 명량에 나온 명대사로 알려진 "우리 후손들이 우리가 이렇게 싸웠다는것을 알까? 모르면 호로자식이지." 같은 것은 전형적으로 현재의 민족주의를 위해 끼워 넣은 어색한 대사에 가깝다.
2 순왜 목록
- ↑ 사극 정도전(드라마)에서는 고려 말 왜구의 침입에서 부역을 하게 된 후 자신은 정당하다고 외치는 백성을 보고 정도전이 처음에는 뺨을 때리다가 나중에는 "그래 너는 잘못이 없다. 백성을 지키지도 못하는 나라가 잘못이다."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등장한다.
- ↑ 함경도 지역 주민들은 처음엔 일본군을 반겼다가 일본군의 세금에 빡쳐서 의병을 일으켜 왜군을 몰아낸 것이 북관대첩이다. 참고로, 조선은 그래도 '법대로 할 경우' 서민들에게 걷는 세금이 매우 낮은 편이었지만, 일본은 걷어들이는 연공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편이었다. 5할만 걷어도 성군 소릴 들었을 정도(...).
- ↑ 당장에 왜란때 주요 학살 사건의 주범자가 누구인지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