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발바르 국제 종자 저장고

438px-Svalbard_Global_Seed_Vault_logo.svg.png

Svalbard Global Seed Vault

1 개요

전지구적 규모의 대재앙이 지구를 강타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이후 살아남은 인류의 생존을 위해 식물씨앗을 보관할 목적으로 북극점에서 1,300km 떨어진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의 스피츠베르겐 섬에 건설된 거대한 종자 저장고이다. 노아방주대홍수 때 동식물을 지켜낸 것에 비유해 '새로운 노아의 방주', '최후의 날 저장고(doomsday vault)'라고도 불린다.

2 건설

SvalbardGlobalSeedVault1.png
seedbank4.jpg

2006년 6월 19일에 착공되어 2008년 2월 28일에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다. 공사에 들어간 비용 9백만 달러는 모두 노르웨이 정부가 출연했으며, 저장고 운영에 필요한 경비는 노르웨이 정부와 세계작물다양성재단(GCDT)에서 부담한다. 저장고는 노르웨이 정부가 소유권을 갖지만 이곳에 저장된 종자에 대한 권리는 종자를 제공한 국가가 갖는다. 세계 각국에는 1,400여곳 이상의 종자 저장고가 있으나 자연재해의 위협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말미암아 영속적인 운영이 어렵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정착되어 안정된 노르웨이가 이 저장고의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한다. 실제로 1990년대 아프가니스탄2003년 이라크에서는 각각 내전과 공습으로 종자 저장고가 파괴된 적이 있다. 또한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때 들이닥친 쓰나미인도네시아의 종자 저장고가 파괴된 것을 거울삼아, 학자들은 지반의 지질구조는 물론 향후 200년간의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을 고려해 저장고의 위치를 잡았다.

3 보관



산소와 물기를 제거한 종자는 밀봉된 봉투에 포장되어 길이 27m, 너비 10m의 저장고 세 곳에 보관되는데, 저장고의 온도는 영하 18도로 유지해 종자의 발아를 막고 신진대사를 최대한 늦춘다. 만일 저장고의 전기가 끊기거나 발전 시설에 고장이 나더라도 영구동토층에 위치해 있어서 영하 3.5도의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해 저장고가 침수되는 일을 막기 위해 해발 130m 암반층 내부의 120m 지점에 저장고를 만들었다. 리히터 규모 6.2의 강진 등 외부에서 가해지는 어떠한 충격에도 버틸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되었는데, 만약 이 설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천연의 암반층이 최후의 보루로 저장고를 지켜줄 거라고 한다. 저장고의 출입구는 하나밖에 없는데, 이곳의 문을 열기 위해서는 UN과 국제기구들이 보관하고 있는 마스터키 6개가 모두 모여야 한다.

2010년까지 세계 각지에서 수집하거나 각국의 정부, 단체, 개인 등이 기탁한 종자는 약 50만종으로, 목표치는 450만종이다. 각 품종당 평균 5백개의 씨앗을 보존하며, 발아율을 유지하기 위해 20년마다 종자를 새 것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저장고 내부의 공기는 겨울마다 두 차례씩 갈아줘야 하는데, 핵전쟁과 같은 재난으로 저장고를 밀폐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영구동토층이 그 역할을 맡게 된다.

우리나라도 세계식량농업기구(FAO)와 종자기탁협정서를 체결해 , 보리, , , 수수 등의 식량 작물을 위주로 1만 3천여점의 종자를 보관하기로 했다.

4 목표

찾아오면 안되겠지만 언젠가 찾아올지 모르는 지구 최후의 날을 대비하고, 해당 작물이 멸종했을 경우 다시 재배해 부활시키기 위해 전세계에 보급된 모든 작물의 종자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다. 저장고가 견뎌야 하는 재앙에는 각종 천재지변과 기후변화는 물론 식물 전염병이나 핵전쟁상정 가능한 모든 최악의 사태가 포함되어 있다.

아무래도 인류 멸망의 기로에 서 있을 때에나 열리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열리지 않는 편이 좋지만, 결국 2015년 9월에 처음으로 열리고 말았다. 물론 전지구적 멸망 상황이나 식물 전염병 같은 심각한 일 때문은 아니고 시리아 내전으로 피해를 입은 중동의 종자저장소에서 기탁했던 종자를 되돌려달라고 요청한 것.관련 기사 링크 이러나저러나 IS는 만악의 근원이다.

5 트리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