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드의 여왕

Пиковая Дама (러시아어)[1]
Pique Dame (프랑스어)
Queen Of Spades (영어)

1 러시아 단편 소설

러시아 작가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단편소설. 제목만 봐도 알겠지만 카드 놀이가 소재로 등장한다. 게르만[2] 이라는 독일계 러시아인 장교가 어느 늙은 백작부인이 카드 놀이에서 반드시 이기는 비기를 알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그 비기를 알아내기 위해 그 백작부인의 피후견인 리자[3]를 유혹한다. 게르만은 결국 백작부인에 접근하는데 성공하나 그 과정에서[4] 노부인은 갑작스러운 충격을 받아 죽고 만다. 죄책감 때문인지 게르만은 그녀의 장례식에서 백작부인이 자신에게 눈짓을 하는 환각을 보고는 두려워한다. 그날 밤 꿈에서 게르만은 백작부인의 유령과 만나 승리하기 위한 카드의 순서를 전해 받는다. 게르만은 도박장으로 달려가 전 재산을 걸면서 그 방법을 직접 실행해서 처음 두 번의 도박에 성공하지만, 마지막 도박에서 스페이드 에이스를 내야하는데 그만 착각하여 스페이드 퀸[5]을 내는 바람에[6]여태 딴 돈을 다 잃고 미쳐 버려서 정신병원에 갇힌다.

언뜻 보면 백작부인의 원혼이 게르만에게 복수를 한 것 같지만, 사실은 모두 게르만 자신이 꾸며낸 허상이나 다름없다. 게르만의 꿈에 나온 백작부인의 유령은 비기를 알려주면서[7] 리자를 잘 돌봐줄 것을 부탁한다. 하지만 백작부인의 손자이자 게르만에게 비기 이야기를 전해준 톰스키에 따르면 그 비기는 '하루에 세 판을 연달아 이기는 방식'이었는데 꿈 속의 유령이 가르쳐 준 것은 '사흘씩 한 판을 이기는 방식'으로 약간 차이가 있다. 게다가 생전에 리자를 하녀만도 못하게 대했던 백작부인이 갑자기 그녀를 부탁하는 것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카드에 대한 비밀을 알고 싶어하는 게르만의 집착과 자신 때문에 희생된 리자와 백작부인에 대한 죄책감의 결과물에 불과한 것.

작품 마지막을 보면 게르만 백작의 친구인 톰스키가 공작가의 딸인 폴린과 결혼하고[8] 리자도 좋은 집에 시집을 가더니 양녀를 들이는 등, 작품 초반에 나왔던 상황이 반복되면서 끝난다. 이를 비극적인 이야기의 반복을 암시한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푸시킨의 '일발'과 함께 프랑스 낭만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은 작품 중 하나다. 솔로굽의 "The Petty Demon" 에서도 자주 언급 될 정도로 푸시킨의 단편들 중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 러시아 낭만주의의 문을 연 푸시킨의 대표작 중 하나이기에, 단편문학 수업을 듣는다면 푸시킨의 '예브게니 오네긴'이나 고골의 '초상화' 등과 함께 초반에 읽는 작품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크다.

러시아 문학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독일인 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기에 좋은 작품이다. 대개 러시아 문학에서 독일인은 품위, 격식이 떨어지는, 일밖에 할 줄 모르는 이방인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스페이드 에이스와 스페이드 퀸을 혼동하는 것이 현대의 독자에게는 선뜻 납득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당시 러시아에서 쓰이던 카드에는 따로 숫자 및 문자가 적혀 있지 않고 그림만 새겨져 있어서 스페이드 7을 내려면 스페이드가 7개 있는지 하나하나 세어 봐야 했다. 그래서 게르만은 패를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아예 3, 7, 1에 해당하는 카드에 그려진 그림의 대략적인 형체를 다른 것에 빗대어 통째로 외우고자 했다. 작중 게르만이 3은 꽃이니, 7은 문이니 하면서 중얼거리는 것은 바로 이 때문. 이때 게르만은 에이스를 '거미' 또는 '마름모'로 외웠는데, 문제는 이 모양이 스페이드 퀸의 형체와 더 닮았었다. 세 번째 도박에서 게르만은 스페이드 에이스와 스페이드 퀸을 받았고, 자신이 외우고 있던 모양에 더 가까운 퀸을 내버렸던 것. 어쩌면 빨리빨리 정신의 폐해라고 볼 수 있다.

일설에는 러시아에서 여왕에 해당하는 포지션은 귀부인을 뜻하는 Да́ма 관계로 이 머릿글자가 에이스를 뜻하는 A와 비슷해서 그런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지만 애초에 당시의 카드에는 숫자나 문자가 없었으니 해당사항 없다. 물론 현대에 와서 주인공이 독일인이라는 점을 이용해 이렇게 각색할 수 는 있겠지만...

CARD26L.JPG
참고로 러시아 플레잉 카드의 KQJ는 KДB 로 표기하고, 에이스는 T로 표시되면서 KДB와 마찬가지로 상하대칭 디자인의 그림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게르만 백작의 실수도 여기서 비롯 된 것. 참고로 B는 보야르를 의미하며 J에 해당한다.

2 차이콥스키의 오페라

1의 소설을 바탕으로 작곡한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3막 오페라.


파일:Attachment/스페이드의 여왕/test1.jpg
리자역의 미렐라 프레니와 게르만 장교로 분한 블라디미르 알틀란토프

파일:Attachment/스페이드의 여왕/test2.jpg
파일:Attachment/스페이드의 여왕/test3.jpg
예레츠키로 분한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파일:Attachment/스페이드의 여왕/test4.jpg
게르만으로 분한 플라시도 도밍고 (1999년 빈 국립 가극장 공연)

2.1 등장인물 소개

  • 게르만 장교[9]
  • 백작부인
  • 리자: 백작 부인의 손녀딸. 예레츠키 대공의 약혼녀. (소프라노)
  • 예레츠키 대공: 리자의 약혼자 (바리톤)
  • 톰스키 백작: 게르만 장교의 친구 1 (바리톤)
  • 체카린스키: 게르만 장교의 친구 2 (테너)
  • 폴린: 리자의 절친한 친구 (콘트랄토)[10]
  • 나루모프
  • 마샤: 리자의 하녀 (소프라노)
  1.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면 피코바야 다마이고, 실제 발음은 삐꺼바야 다마에 가깝다.
  2. 독일어로는 '헤르만(Herman)'
  3. 말이 그렇고 사실상 하녀만도 못한 신세이다.
  4. 총을 겨누었다. 돈독이 제대로 오른 게르만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치.
  5. '스페이드의 여왕'이라는 제목은 여기서 나왔다.
  6. 이 때 스페이드 퀸이 자신에게 윙크하는 모습을 보았다고 생각하며 완전히 멘붕해 버린다.
  7. 3, 7 그리고 1(에이스)를 차례로 내는 것.
  8. 백작부인이 이런 식으로 결혼했다.
  9. '헤르만(Hermann)'이라고도 표기하는데, 게르만이 독일계라는 점을 감안하여 독일식 발음을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어는 독일어나 영어의 'H'에 해당하는 발음을 'Г(게)'로 적기에 어느 정도는 타당한 표기라고 할 수 있다. 같은 이름을 지닌 독일의 문학가 헤르만 헤세도 러시아어로는 'Герман Гессе(게르만 게세)'라고 적는다.
  10. 보통 메조 소프라노가 맡는다. 콘트랄토가 많이없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