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플래시 캡처

유희왕의 등장 카드. 상대가 특정한 소환법의 소환을 했을 때, 일정한 코스트를 지불하여 그 몬스터를 뺏어오는 함정 카드들이다. 반전 소환이야 표시형식 변경이니까 그렇다 쳐도 어째 의식 소환펜듈럼 소환은 보이지 않는다.

1 스플래시 캡처

05116.jpg

한글판 명칭스플래시 캡처
일어판 명칭スプラッシュ・キャプチャー
영어판 명칭Splash Capture
일반 함정
상대가 엑시즈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 묘지의 어류족 몬스터 2장을 게임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엑시즈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얻는다.

원작에서는 카미시로 료가가 사용. 텐조 카이토가 소환한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의 컨트롤을 빼앗았지만, 이에 맞춰 카이토가 발동한 강제 해방 때문에 애시드 골렘의 엑시즈 소재가 죄다 사라져 현실보다도 포풍강화된 디메리트의 향연과 마주해야 했다.

OCG화된 카드는 역시나 샤크가 썼기 때문인가, 묘지의 어류족 2장을 제외하라는 코스트가 생긴 상태. 일단 묘지의 어류족 2장이라는 코스트로 컨트롤 탈취를 할 수 있다는 점은 좋지만, 대상이 엑시즈 몬스터로 한정된다는 점이 조금 걸린다. 묘지 코스트도 묘지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덱이라면 제법 무겁다고 느낄 수도 있는 코스트. 하지만 초고심해왕 실러캔스를 채용한 어류족 특화 덱이라면 묘지에 몬스터들이 엄청나게 쌓이므로 오히려 이 정도 코스트는 가볍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다. 또한 엑시즈가 갈 수록 강화되고 있음을 생각해보면 엑시즈 몬스터를 가볍게 탈취해오는 이 카드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단 코스트를 고려하면 범용성은 포기해야 할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오더 오브 카오스ORCS-KR067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ORDER OF CHAOSORCS-JP067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Order of ChaosORCS-EN067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2 조율사의 음모

TunersScheme-ABPF-JP-C.jpg

한글판 명칭조율사의 음모
일어판 명칭調律師の陰謀
영어판 명칭Tuner's Scheme
지속 함정
상대 필드 위에 싱크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싱크로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는 파괴되었을 경우 게임에서 제외된다. 그 몬스터가 필드 위에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때, 이 카드를 파괴한다.

절대적인 힘에 등장한 카드. 싱크로 안티 카드인데, 혼자 지속함정이라서 가장 안정성이 떨어진다.

싱크로 컨트롤과는 달리 지속함정카드라서 제거에 약하고 발동 타이밍이 한정되어 있지만, 라이프 소모도 없고, 필드와 묘지에 싱크로 몬스터가 있어도 사용가능하다는게 장점. 참고로 싱크로 몬스터가 특수 소환만 되면 되기 때문에 자기 효과로 부활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이나 기간테크 파이터도 빼앗을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절대적인 힘ABPF-KR074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ABSOLUTE POWERFORCEABPF-JP074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Absolute PowerforceABPF-EN074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3 헬 폴리머

4908DP2-JP029.jpg26012_1299496325722.jpg
내수판해외판
한글판 명칭헬 폴리머
일어판 명칭ヘル・ポリマー
영어판 명칭Chthonian Polymer
일반 함정
상대가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그 융합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얻는다.

에네미 컨트롤러의 상호호환. 이 카드로 탈취해 온 컨트롤은 영구적이라는 점이 쓸만하다. 몬스터를 릴리스해야 한다는 점과, 다양한 덱에서 쓰이는 인스턴트 퓨전로 소환한 몬스터는 가져와봤자 엔드 페이즈에 터지는 걸 못 막는 게 아쉽다. 자기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컨트롤을 얻기 때문에 사실상 1:1 교환이 되는데 이 경우에는 그냥 몬스터 1마리를 날리는 것과 다를 바 없다. 토큰이나 펜듈럼 몬스터를 릴리스하면 그나마 손해가 조금은 줄어들지만.

일단 융합 소환에 대응하기 때문에 컨텍트 융합이나, 융합주술봉인생물로 몬스터를 부르는 것,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에는 대응하지 못한다.

이 카드는 GX에서 해파리와 듀얼하던 만죠메 쥰이 1차전, 즉 2화에 발동했다. 자신의 리본 좀비를 제물로 바쳐서 쥬다이의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컨트롤을 얻었다.[1] 또, 1기 OP에서도 만죠메가 위압감을 내보내면서 이 카드를 발동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러모로 다른 항목들에 비해서 취급이 좋다.

내수판과 해외판 사이에 미묘한 색상 차이가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절대원소의 힘EEN-KR057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 - 만죠메 편 -DP2-KR029노멀한국
ELEMENTAL ENERGYEEN-JP057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万丈目編-DP2-JP029노멀일본
Expert Edition Volume.4EEN-JP057노멀일본
Elemental EnergyEEN-EN057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Duelist Pack: Chazz PrincetonDP2-EN029노멀미국
Dark Revelation Volume 4DR04-EN117노멀미국

4 인터셉트

Intercept-TDGS-JP-R.png

한글판 명칭인터셉트
일어판 명칭インターセプト
영어판 명칭Intercept
카운터 함정
몬스터 1장의 릴리스를 필요로 하는 몬스터의 소환에 성공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얻는다.

릴리스 소환을 주축으로 하는 덱이라면 짭짤하게 쓸 수 있는 카드. 이 항목들 중에서 유일하게 카운터 함정이다. 한 장이라고 지정해 버려서 최상급은 컨트롤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이 안타깝다. 그래도 제왕상대로는 써먹을 수 있을 것이다. 마침 일러스트에 나오는 것도 바람 제왕 라이저이겠다. 그리고 만약, 더블 코스트 몬스터를 사용해서 어드밴스 소환을 했다면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을 수 있다.

예전이라면 심심치 않게 발동할수 있었지만 싱크로가 나오고, 엑시즈 소환까지 나오면서 확 줄어들었다는게 문제. 어드밴스 소환을 하는 덱이 많이 줄어서 사용하기가 힘들어졌다.

만약 대상지정에 내성이 있는 몬스터나, 쇼커의 경우에는 컨트롤을 얻을 수 없다. 소환에 성공했을 시에 발동하는 대상을 지정하는 함정카드라서 그렇다. 그래도 크로스 소울이나 열선을 써서 내 필드 위의 몬스터를 먹고 소환한 몬스터를 빼앗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위안을 갖자.

오룡즈에서는 크로우와 듀얼을 하던 시큐리티가 선공 1턴째에 이 카드를 세트해 두었었다. 그러나 크로우는 그 듀얼에서 델타 크로우 - 안티 리버스를 발동시켜 카드를 파괴시켰다. 그 외에 카드를 포획한다는 이미지가 시큐리티에 맞기 때문인지 태그포스 시리즈에서도 시큐리티 캐릭터들의 덱에 들어있는 경우가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듀얼리스트의 태동TDGS-KR076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DUELIST GENESISTDGS-JP076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Duelist GenesisTDGS-EN076슈퍼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1. 이 효과로 컨트롤을 탈취당한 프레임 윙맨은 색상이 어두워지고 날카로운 이빨이 생기는 등의 모습 변경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