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 | ||||
천안 방면 도고온천 | ← 4.5 km | 신례원 | → 5.0 km | 익산 방면 예 산 |
급행여객열차 | ||||
장항선 새마을호 | ||||
용산 방면 온양온천 | ← 15.4 km | 신례원 | → 5.0 km | 익산 방면 예 산 |
장항선 무궁화호 | ||||
용산 방면 도고온천 | ← 4.5 km | 신례원 | → 5.0 km | 서대전, 익산 방면 예 산 |
新禮院驛 / Sillyewon Station
신례원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illyewon |
한자 | 新禮院 |
중국어 | 新礼院 |
일본어 | シンリェウォン |
주소 |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신례원로236번길 24 (舊 신례원리 244-2) | |
일반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대전충남본부 |
개업일 | 1922년 6월 15일 |
새마을호 영업 개시일 | 1969년 2월 8일 |
무궁화호 영업 개시일 | 1984년 1월 1일 |
역등급 | 보통역(3급) |
장항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신례원로236번길 24 (舊 신례원리 244-2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역부터는 예산군에 속하게 된다.
이 역은 장항선을 경유하는 모든 무궁화호열차와 일부 새마을호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12월 30일부로 화물영업은 중단되었다. 지못미. 지명은 이 동네에 신라시절 왕명을 받은 관원의 숙소 이름이 신례원(新禮院)이었다는 데에서 따 왔다고 한다. 그 신례원리에 있으니 신례원역.
과거에는 서산이나 당진쪽으로 가는 사람들이 이 역까지 와서 역 앞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버스로 갈아타고 가는 경우가 많았기에 제법 흥했던 역이었으나, 승용차가 보급되고 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망했다. 지금은 터미널 주인인 한양고속에서 건물을 매각해서 삼거리 앞 간이정류장에서 시외버스를 탈 수 있으며, 예산터미널에서 합덕이나 당진쪽으로 가는 버스는 대부분 여기를 경유한다. 물론 요즘은 어지간한 동네에선 직행이 다 뚫려 있으니 여기에서 갈아타고 갈 이유는 없다.
2007년 12월 21일에 일단 선로와 승강장만 이전했고 한동안 구 역사를 계속 사용했다. 이후 구 승강장과 선로를 철거한 뒤 역사를 지어 2008년 10월 17일부로 현 위치로 이전했다. 도고온천역과 마찬가지로 절도공단 표준양식인 유리궁전을 따르고 있다. 그래도 이전 역 자리에 거의 그대로 새 역을 세웠기 때문에 수요는 거의 그대로 가져올 수 있었다. 승강장 구조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2015년 5월 28일부로 화물취급역을 정비하면서 화물취급을 시작하였다.[1] 주로 철강 화물을 취급하며, 괴동역이나 경주역까지 가는 정기편 외에도 많은 화물열차가 발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