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포리역(영동선)

리조트 전체에 대해서는 하이원추추파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333;padding:12px;"
{{{+1 주의. 폐지된 역 또는 신호장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지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스위치백 트레인
도계 방면
흥 전

4.0 km
추추스테이션시종착
인클라인 트레인
스카이스테이션
추추스테이션


Choo-choo Station
深浦里驛 / Simpo-ri Station

심포리역

다국어 표기
영어Simpo-ri
한자深浦里
중국어深浦里
일본어シムポリ
주소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27-5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강원본부
영동선 개업일1940년 8월 1일
영동선 폐업일2012년 6월 27일
역등급폐역
하이원추추파크
운영기관주식회사 하이원추추파크
스위치백 트레인
영업개시일
2014년 10월 24일
인클라인 트레인
영업개시일
추가바람

[[파일:/image/029/2015/04/17/2015041702109919807041%255b1%255d_99_20150417140911.jpg]]
추추스테이션의 모습 옆에 사람 좀 지워주세요

500px
옛 심포리역의 모습

1 개요

하이원추추파크의 메인역. 여기서 스위치백 트레인과 인클라인 트레인을 탈 수 있으며, 메인역답게 편의시설들이 들어서있다. 그리고 역 주변에 테마파크가 조성되어 있다.

본래 영동선 시절의 위치에서 조금 위로 이전했다. 구 역사는 아직 그 위치에 그대로 남아있다.

2 영동선 시절

영동선의 폐지된 철도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남길 247-100 (舊 심포리 239-3번지)에 위치해 있다. 삼척시의 마지막 역. 이 다음 역인 통리역태백시 소속이다.

역명은 오십장폭포(미인폭포)로 인하여 산수가 깊은 곳에 있기에 깊은개(深浦)라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마치 서울특별시반포동서릿개에서 온 것과 비슷한 것.

옛날 통리역 ~ 舊 심포리역 사이에는 인클라인(강삭철도) 시설이 있었다고 한다. 워낙 산세가 험하기 때문. 실제로 舊 심포리역은 현재의 심포리역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현재의 영동선을 건설하면서 인클라인 시설을 없애고 겸사겸사 이 역도 없애버렸다. 그러다... 동해시에 쌍용시멘트 공장이 들어서자 영동선의 수송량을 늘릴 필요성이 생겼고, 영동선 용량 증가를 위해 1969년 이 역을 다시 부활시켰다. #관련기사 원래 이 역이 있던 곳은 심포3터널이 있었는데, 심포리역을 다시 만들면서 선로를 골짜기 쪽으로 이설했고, 역을 만들기 위해 골짜기를 잘라버리면서 터널을 일부 매몰시켰다. 심포3터널 지못미... 2012년 현재 반대쪽 터널 입구에서는 접근이 가능하지만 철문으로 막아놨다.

참고로 이 역과 통리역의 직선거리는 얼마 안 되는데, 인클라인을 없애면서 굉~장히 돌아가는 선로가 만들어졌다. 현재 이 역과 통리역의 역간거리는 7.7km. 인클라인 쓰던 시절에는 약 2km 정도. 그래도 돌아가는 시간이 인클라인 쓰는 시간보다 훨씬 빠르다고 한다. ㅎㄷㄷ

1997년 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고 이 때부터 여객영업을 했으나, 2001년 9월 8일 다시 신호장으로 격하당하고 2006년 11월 1일부터 다시 여객영업을 중지했다. 그리고 2010년에는 역무원도 철수한 상태.

현재 코레일이 피난선을 대부분 철거하고 있는 가운데 피난선이 남아있는 전국에 몇 안되는 역이기도 하다. 피난선 덕분에 미인폭포에서 바라본 심포리역 부근은 마치 우주정거장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피난선 끝을 향해 가면 암흑의 숲으로 이어지는데 그곳엔 무엇이 있을지 심히 궁금해진다. 궁금하면 이 답사기를 참고하자.

2012년 6월 27일 동백산역-도계역 사이의 솔안터널이 개통되면서, 이 역은 폐지되었다. 이 역이 포함된 구간 자체가 이설되었기 때문.

폐역 이후에는 이설된 구간 내의 다른 역과 함께 리조트 사업에 활용되며, 이 역은 신도시리조트의 중심지에 자리잡은 추추스테이션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자리로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