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안터널

htm_201206271101030103011.gif
[1]



솔안터널 주행 영상(3배속)

1 개요

대한민국철도 터널. 영동선 동백산역도계역 사이를 잇는 터널이다. 터널 구내에 솔안역이라는 신호장이 존재한다.[2] 이 터널로 도계읍과 태백시가 나눠진다.

2 건설

영동선의 동백산-도계 구간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중에서도 가장 험한 축에 속하는 구간으로, 큰 고저차로 인해 빙 돌아가는 코스에 급구배와 스위치백까지 있는 등 선형이 아주 나빴다.[3] 당연히 표정속도와 선로용량은 크게 제한될 수 밖에 없었던 상황. 게다가 워낙 지어진지 오래된 구간이라 물이 새고 터널의 콘크리트가 금이 가는 등 위험 징후가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었다. 그래서 "어차피 뜯어고쳐야 할 거, 선형 개량도 할 겸 화끈하게 새로 하나 만들어 버리자!"는 취지로 2001년 7월에 해당 구간을 착공 후, 2006년 12월에 터널을 관통하고 깨알같은 2009년 2012년 6월 27일 선로와 시설 공사를 마치고 개통하였다.

3 특이사항

길이는 16.2km이다. 수도권고속선 율현터널의 관통으로 경부고속선 금정터널에 이은 No.2에서 No.3로 밀려났지만 그래도 일반철도터널 중에서는 최고봉으로 긴 터널이다. 이 터널의 개통 덕분에 동백산역도계역 사이의 터널 16곳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었다. 또, 스위치백이나 30퍼밀에 달하는 급경사 역시 없어지고 24.5퍼밀 정도로 안정화되어 선로용량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다고. 24퍼밀은 급경사 아닌가? 그래도 6퍼밀 줄었으니까 뭐

태백종합경기장 인근과 (구)나한정역 인근에는 비상용, 사갱이 있어 응급 상황 발생시 차량과 인력 등이 드나들 수 있으며, 신호장인 솔안역에는 길이 235m짜리 환기용 수직터널이 있어서 유사시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하지만 높이 봐라... 바깥 세상으로 나가다가 퍼질 기세

터널 속으로 들어가면 끝날 것 같은데 끝나지 않는(...) 터널의 길이에 놀라게 된다. 무궁화호를 기준으로 동백산역에서 도계역 사이는 대략 18분 거리인데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솔안터널은 동백산역에서 출발하여 나오자 마자 바로 도계역이다. 즉 거의 15분 넘게 터널 안을 구경하게 된다는 소리.

솔안터널은 추후 영동선 복선 전철화에 대비하여 복선 노반의 단선 터널로 건설되었다. 다만 복선용의 대구경 터널을 뚫어 놓았다거나 단선 터널을 두 개 뚫어놓은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 대구경 터널 구간이 존재하거나 반대방향 선로를 위한 단선 터널을 뚫기 좋도록 공간을 마련해놓는 등의 준비를 해 놓은 것 뿐이다. 이를 통해 향후 복선화 공사시 반대방향 터널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4]

지하철처럼 양 방향 선로를 모두 놓을 수 있는 대구경 터널 하나를 뚫는 방법도 있으나, 안전을 고려하여 단선 터널 두 개로 이루어진 쌍굴터널을 만들기로 결정된 것이다. 예컨대 터널 안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승객들은 반대편 터널을 통해 대피할 수 있다. 대구경 터널은 터널이 하나뿐이므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할 곳이 없다. 그래서 복선이 되면 단선 터널 두 개로 이루어진 쌍굴 터널이 된다.

솔안터널을 처음으로 통과한 열차는 2012년 6월 27일 0시 이후 첫 열차이다. 그래서 이 구간을 이용한 첫 여객열차는 26일 #1641 열차이다. 27일 첫 열차가 아니다! 덕분에 1641 열차가 마지막 열차라 믿고 열차에 탄 철도동호인들은 엄청난 충격에 휩싸였다고(...).



위 영상에서 볼수 있듯이 2015년 1월 현재 터널 내 일부 구간(1분 26초~1분 31초, 2분 34초~2분38초)을 제외하고 조명이 소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절전 차원에서 소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7km 불 다 켤려면 예산이 와장창

  1. 사진 상에는 16.2km라고 되어 있지만 도계역 쪽에 있는 짧은 터널을 포함하면 16.7km이다.
  2. 위 동영상의 2분 33초~40초 구간이 솔안역이다.
  3. 예전에는 강삭철도(인클라인)까지 있던 구간이었다. 솔안터널 개통 전까지 운행하던 구불구불한 선로는 이 강삭철도를 대체하기 위해 "황지본선"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한 것.
  4. 미리 장래의 환승을 대비하여 미리 환승공간을 공사해둔 서울 지하철 5호선여의도역과 비슷한 경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