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좌태자

aoo0913-28-1.jpg
아좌태자가 그렸다고 전해지는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

阿佐太子
생몰년도 미상

백제의 왕족.

1 개요

백제의 왕족으로, 위덕왕의 아들이었다. 성왕의 아들이라는 기록도 있다지만, 일부 유물에서나 보이는 것이라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일본에서 사찰 아스카데라를 완공하자 이를 축하해주기 위해 사절로 파견되었으며, 특히 그 곳에서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를 그려준 일화로 유명하다.

또한, 백제의 왕족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현존하는 역사 기록에는 언급되지 않으며, 일본의 역사 기록인 일본서기에서만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다.[1]

2 생애

위덕왕의 아들로 그림을 잘 그렸다고 하며, 597년에 일본으로 사절로 파견되었다. 일본으로 간 아좌태자는 그 곳에서 머물며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고 한다. 후에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를 그려주었다고 하는데, 이는 보물로 호류사에 전해 내려왔으며 오늘날에는 일본 제실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아좌태자가 일본으로 건너간 이유는 명목상으로는 스이코 덴노가 당시 일본 최고의 사찰이었던 아스카데라를 완성하자 백제가 이를 축하하기 위한 사절단의 대표로 보낸 것이었다. 그러나 백제가 일관되게 국가적 위기 때마다 태자를 보내 일본과의 외교를 강화한 전례로 볼수 있다. 백제는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서 일본과의 외교 강화가 절실했던 것이다.[2]

3 의문점

이상하게도 아좌태자에 대한 기록은 일본에 건너간 이후로는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위덕왕은 아좌태자가 일본으로 건너간 1년후 사망했는데 문제는 위덕왕이 죽었다면 당연히 태자인 아좌태자가 왕위를 계승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위덕왕의 뒤를 이은 것은 위덕왕의 늙은 동생 혜왕이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위덕왕과 아좌태자가 실은 암살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백제는 왕이 귀족이나 왕족세력들에게 암살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기 때문에 위덕왕의 죽음과 아좌태자가 왕위를 계승하지 않은 것에는 이런 석연치 않은 정황이 있지 않냐는 것. 실제로 전지왕의 경우도 일본에 갔다가 아신왕이 죽은 후 섭정을 맡던 동생 훈해가 암살당하고 설례가 잠시 즉위함으로서 귀국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었다. 다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위덕왕 사후 동생인 혜왕이 조카 아좌태자의 입국을 막고, 왕위에 즉위한 것으로 추청을 할 수 있다.

다만 아좌태자가 위덕왕의 아들이 아닌 동생으로, 성왕의 둘째 아들이라는 기록을 사실로 본다면 의문점이 풀릴 수 있다. 위덕왕 본인이 이미 고령의 나이로 죽었는데, 그 동생인 아좌태자 또한 고령의 나이였던지라 그보다 먼저 죽거나 워낙 오랫동안 일본에 체류한 탓에 국내에 기반이 없어 왕위가 혜왕에게로 넘어갔다는 것이다. 다만 아좌태자가 위덕왕의 아들인가, 성왕의 아들인가 하는 기록이 병존하고 있는 탓에 확신하기는 힘들다.

한편 일본 학계에서는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가 아좌태자의 그림이라는 것에 대해서 증거가 불분명하다면서 7세기의 모작이라는 주장을 제기된 적이 있으나, 초상화의 그림체를 정밀하게 연구한 결과 중국 육조시대의 화풍으로 그려진 그림이고 당시 일본에서 중국의 선진적인 육조시대 화풍을 받아들이는 통로는 백제가 유일했기 때문에 아좌태자가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4 대중매체에서의 모습

사극 서동요에서는 정재곤이 연기했다. 그림을 잘 그렸다는 기록대로 예술을 좋아하는 것으로 묘사되었고, 성격이 온화하지만 유약해 정치 일선에 나서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래서 사촌동생인 부여선(법왕)의 위협으로 일본에서 귀국하지도 못하고 있다가 이복동생인 서동(백제 무왕)을 만나, 그의 도움으로 백제에 돌아온다.

백제에 돌아온 후 군사들의 종기를 직접 빨아주는 아좌태자의 애민정신에 감동한 서동 의 도움을 받아 부여선에게 맞설 만큼 힘과 자신감을 얻게 된다. 위덕왕은 이런 아좌태자에게 양위하려고 했고 아좌태자는 서동과 힘을 합쳐 백제를 다시 부흥시킬 결심을 하나, 양위식 직전에 부여선 세력에 의해 살해된다. 안습. 위의 역사적 추측을 반영한 이야기 전개로 보인다.

  1. 이런 인물은 의외로 많으며, 남아있는 기록이 상당히 부실한 편인 백제의 인물들이 특히 그렇다. 대표적으로 목라근자가 있다.
  2. 위덕왕이 재위한 당시의 백제는 선왕인 성왕이 신라와의 전투 중에 전사하는 바람에 상당한 정치적 혼란에 시달리고 있던 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