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위

1 편안함과 위태함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자로는 安危라고 쓴다.

2 조선 중기의 무장

안위(安衛) 1563(명종 18)~1644년(인조 22)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대훈(大勳)이다. 아버지는 안경신(安敬信)이다. 전라도 김제 출신.

안위(安衛)는 지금의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서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옥사에 무고되어 용천에 유배되었는데, 임진왜란으로 도성이 함락되자 배소를 이탈한 뒤 평양에 도착해 어느 병사의 막하에 배속되었다. 1592년 영유무과(永柔武科)에 급제하여 군인으로 발탁되었다. 이항복의 특천으로 대동찰방겸조방장(大同察訪兼助防將)이 되었다. 1594년(선조 27)에는 거제현령에 제수되었으며, 당항포 해전에서 적의 중선 한 척을 불태우는 전공을 세웠다.
1597년에는 부산에 침투, 방화해서 적군의 건물과 군수 물자들을 태워버리는 공을 세웠다. 그런데 이 부산 왜영 방화는 희안하게도 불똥이 튀었는데, 이걸 이균선조가 이순신을 삼도수군통제사에서 끌어내리는 핑계 중 하나로 적용된 것이다. 이 때에 악연이 된 인물이 이원익.
거기에 직접적은 아니지만, 이원익과 더불어, 조정에서 이순신을 처벌을 말리는 노대신인 정탁정여립을 밀어주었던 경력이 있어, 다른 의미로도 악연.

이순신(李舜臣)이 삼도수군통제사명량대첩에서 적선 30여 척을 격침시키고 대승을 거둘 때 선봉장에 나서 큰 공을 세웠다. 대장선이 버티던 전선에 가장 먼저 복귀한 게 그로, 소설 임진왜란에선 앞 문단에서 서술한 행동에 비춰볼때 본인은 겁을 먹지 않았으나 부하들이 겁먹어서 어쩔 수 없이 뒤에 빠져있던 걸로 묘사된다. 이어서 노량해전에도 참전하여 큰 공을 세웠다. 그러한 전공이 이순신의 장계에 의하여 널리 알려져 1598년(선조 31) 전라우수사에 제수되었다. 1599년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고, 1600년에는 전라병사에 제수되었다.

1602년(선조 35) 전라수사에 임명되었고, 1605년에는 충청병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606년 경상수사가 되었다가, 1608년에는 전라수사로서 수군을 통제하였다. 1619년에는 평안방어사로 임명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다시 대장으로 임용하려 하였으나 반대파의 시론에 부딪혀 향리로 돌아와 조용히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74세의 고령으로 왕의 수레를 모시고 따라가기 위해 올라가던 중 은진(恩津)에 머물고 있었으나 길이 막힌 상황이어서 남한산성에 들어가지 못하였다. 마침내 강화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에 돌아와 조용히 보내다가 1644년(인조 22) 향년 8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참고로 불멸의 이순신이나 명량에 등장하는데,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찌질하게 방패뒤에 숨어있다 부하의 죽음으로 각성하는 반면, 영화 명량에서는 충실하고 용감한 이순신의 오른팔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