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복

安鼎福
1712년 ~ 1791년

1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성리학자로, 오늘날 다수의 한국인에게는 동사강목이라는 역사서로 유명하다. 여용국전이라는 소설도 썼다.

2 생애

1712년 현재의 충청북도 제천에서 출생했다. 그의 가문이었던 광주 안씨는 당시 남인 계열의 집안[1]으로 그의 할아버지는 예조참의도 역임했지만, 이후 숙종 시절의 경신환국갑술환국으로 완전히 중앙정계에서는 배척당하고 만다. 거기에 그가 청소년을 보낼 시절이었던 1728년에는 이인좌의 난까지 터져주는 덕에(...) 벼슬길은 영원히 막혔다. 뭐 집안이 가담한 것은 아니니 과거를 보려면 볼 수도 있겠지만 설사 붙는다해도 평생 한직에서 머무를 가능성이 컸고, 일단 안정복 본인이 벼슬을 단념하고 살면서 한번도 과거시험을 응시조차 하지 않는다.

이후 성호 이익 밑에서 수학하며 그의 실학성리학에 영향을 받게 된다.[2] 실학자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안정복의 유학관은 꽤나 보수적이어서 스승 이익과는 달리 평생 주자학을 신봉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추구하는 것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다. 천주교만 놓고 보더라도 스승 이익이 천주교에 꽤나 관대한 스탠스를 취했던 것과 달리 그는 서학을 이단으로 간주하여 배척했다. 반상의 법도를 부정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거짓[3]으로 혹세무민한다는 것이 그가 천주교를 비난하는 이유였다.[4]

도리어 그가 이익에게 깊은 영향을 받은 것은 유학쪽 보다는 역사학 쪽으로, 조선 역사의 독자성에 입각한 역사 발전이라는 사관은 이익을 통해서 탄생하고 안정복에 의해 그 초석을 다졌다는게 일반적인 평가. 그와 이익의 자주적 역사관의 정수로 평가받는 것이 바로 스승과 함께 만든[5] 저서 동사강목.[6] 중년 이후에는 남인 계열을 중용하던 정조가 즉위하자 인생이 좀 펴서 음서를 통해 사헌부에서 근무하기도 하지만 부친상을 당하기도 했고, 젊어서 고생[7]을 너무 해서 본인의 건강도 썩 좋지는 않았던터라 곧 사직한다. 이후 노년에 지방 사또 자리를 맡기도 하다가 당시로서는 엄청나게 장수한 나이인 1791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3 트리비아

평생에 걸쳐 저술한 책 중에 잡동산이(雜同散異)라는 책이 있었는데, 현대에 자주 쓰이는 '잡동사니'의 어원이 된다. 실제 책 내용도 잡동사니 같은 떠도는 이야기 모음집아다.

권근의 역사관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는지 권근안티같은 행동을 좀 했다. 권근이 광개토대왕의 백제에 대한 복수가 과하다고 하자 선대왕이 죽은지 오래 되지 않아 원한이 남아있을 수도 있지 그게 뭐가 심하냐고 깠고 권근이 계백이 일가족을 죽이는 건좀 시하지 않냐고 하자 안정복이 권근은 병법도 모른다고 깠다.(...)
  1. 그렇다고 남인에서 한끝발 날리던 집안은 아니다. 그냥 남인 소속이었을 뿐. 남인의 거두였으면 그의 증조부나 고조부가 사또랑 종8품 정도에서 벼슬길이 막히지는 않았겠지...
  2. 흔히 사람들이 실학자는 성리학자랑은 양립불가능한 관계로 생각하는 경우가 잦은데, 조선의 시대 특정상 실학자들도 성리학자를 기본 베이스로 깔고 가기는 했다. 단지 성리학을 절대신봉하지 않았으며, 실생활에 좀 더 관심이 있었다는게 차이일 뿐...
  3. 천국과 지옥
  4. 이 덕에 사후에 노론 벽파에게 추증되기 까지 한다. 해달라는 자주적 역사관 인정은 안해주고..
  5. 이익이 쓴 항목은 없지만 자료 수집과 감수 등 많은 부분에서 큰 도움을 줬다. 여담이지만 이거만들때 둘 다 돈이 없어서 쫄쫄 굶으면서 만들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밥은 굶으면서 자료를 수집할 돈은 있나.. 흠좀무 아닌 게 아니라 단재 신채호도 동사강목에 대해서 위략이나 남제서 같은 1급 사료는 얻어보지도 못하고, 그나마 얻은 자료도 제책 수준이 형편없어서 해석을 잘못한 부분도 많이 있다고 지적했다.
  6. 거의 20년에 걸친 평생의 역작이었다. 단재 신채호가 독립운동하러 중국으로 망명 떠나면서 유일하게 갖고 갔던 것.
  7. 아닌게 아니라 아버지가 전답을 다 팔아서 노비랑 같이 숯을 구워서 그걸 팔아서 먹고 살았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