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문서: 한국사 관련 정보
實學
1 개요
넓게는 유교에서 공리공론(空理空論)에 기초한 헛된 학문'이라는 뜻의 허학(虛學)과 대립되고 실제의 참된 학문이라는 뜻을 지닌다.
좁게는 조선 후기에 성리학을 보완[1]하여 경세치용[2]과 이용후생[3], 실사구시[4]의 태도를 강조한 학문이라는 뜻이다.
한국에서는 후자(협의)의 뜻으로 주로 쓰인다.
조선의 실학은 그 기원을 17세기 이수광과 한백겸에서 찾는다.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를 접했던 이수광은 지봉유설에서 실학정신의 기원[5]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의 모습을 보였고, 한백겸의 동국지리지는 평양에 있었다는 기자의 정전 유적을 나름대로 고증하면서 토지개혁론의 시작을 열었다.
그렇게 싹이 보인 조선의 실학이 본격화 된 것은 이후의 고증학과 서양학문에 대한 관심, 그리고 더 근본적으로는 병자호란으로 대표되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것이었다. 18세기의 대표적인 실학자로는 유형원, 이익, 홍대용, 박지원, 정약용, 서유구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서울에 주로 거주하던 경화사족(京華士族)들이 특히 관심을 보인 학문은 북학론이다. 이 북학론이 청나라를 배우자는 뜻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청나라에 남아 있는 중화 문명을 배우자는 사조로서, 북벌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이 조선 후기의 실학에 대한 관심은 조선에 천주교가 전래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실학자들이 청나라에서 실학 관련 책을 들여오는 과정에서 천주교에 대한 책이 같이 들어왔다. 최초로 천주교의 존재를 소개한 것이 이수광의 지봉유설이었을 정도이며, 이후 이익과 그 제자들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실학자들은 이것을 처음에는 서학, 또는 천주학이라 부르면서 학문으로 연구하다가 이게 서양의 종교라는 것을 깨닫고 천주교 신앙을 가지게 되었다.
실학의 전개는 크게 3기로 나누는데, 1기인 18세기 전반은 실학의 발생기로 중농학파가, 2기인 후반은 실학의 정립기로 중상학파가, 3기인 19세기 초반은 실학의 전성기로 국학파가 대두[6]했다. 다만 실학의 분류 자체가 꽤 주관적인 것임을 명심하자.[7]
이후 실학은 개화사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2 성리학과의 차이
실학이 성리학의 관념적인 측면을 비판한 학문으로서 시대를 개혁하려는 측면이 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정리하자면 성리학은 양반 사대부 중심, 벌열양반 중심, 관념철학, 사장 중시, 사변적이었던 것에 비하여, 실학은 민중도 연구 대상이고 기존 유학의 사변적 측면에 경험적, 실험적 방법론을 더하고 성리학 이전의 선진 시대 유학과 제자백가 유학도 포섭했다는 것.
3 사실 성리학과는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위의 관점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근대적 관점에서 결과론적으로 실학을 평가했다는 비판이 있다. 정체성론에 반박하기 위해서 지나치게 억지로 내재적 발전론적 사고로 접근했다는 주장. 실제적으로 실학이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점이 억지로 성리학에서 실학을 분리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식민지 근대화론(식민지수혜론이 아니다!!)이 제기되며 비판이 제기되었고 최근 유행하는 근대성 자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학설이 퍼지며 더 공격받게 되었다.
실제로 실학도 성리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단지 성리학에서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제도에 집중을 한 차이가 있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으며, 실학자들이 제안한 대안이 당대 조선의 현실에 맞는 것이였는지도 논란거리다. 이에 대해서 제일 먼저 이의를 제기한 사람이, 바로 독기학설을 쓴 김용옥. 원래 이 책은 어느 학술지에서 이름 그대로 최한기의 기학을 읽고 그에 대한 짧은 리뷰를 써달라고 부탁한 것이었으나, 도올이 으레 그렇듯 갑자기 삘을 받아(...) 뜬금없이 책 한권 분량으로 실학-근대론을 비판하는 글을 써내렸다. 정작 기학에 대한 내용은 끝부분에 짧게 언급하고 말았다(...). 당연히 학술지는 게재를 거부했고 도올은 이 글을 책으로 냈다. 여러모로 비범한 저작.
실학자로 분류되는 꽤 많은 학자들이 실학과 반대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노론에 포함되었다. 물론 권력의 핵심은 아니었지만.
실제 예송논쟁 당시 서인과 남인들의 경제에 대한 정책을 보면 실학의 중농주의vs중상주의 학설과 유사한 점을 많이 찾을 수 있다.
다만 조선 후기에 권력의 중심에 있던 양반들이 주로 관심갖지 않았던 현실 개혁 사상에 실학이 성리학보다 훨씬 더 관심 있었던 것은 사실이며, 역사학계에선 이 점을 주목한다.
4 실학자 목록
추가바람- ↑ 흔히 사람들이 대체한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 ↑ 학문이 실생활에 유용해야한다.
- ↑ 편리한 기구를 사용해서 백성의 삶을 풍족하게 한다.
- ↑ 사실을 토대로 진리를 탐구한다.
- ↑ 성리학에 기원을 두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학문에의 관심, 외국에 대한 관심, 이익의 성호사설이나 이덕무의 청장관전서 등에서 보이는 백과사전식 저술 등 실학, 특히 남인 실학의 기원을 거의 다 보여줬다.
- ↑ 다만 국학파를 실학자로 인식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거의 없는데, 어디까지가 실학이고, 어디까지가 국학인지 애매하기 때문이다. 이익의 제자로 역사학을 다뤘던 안정복은 국학파에 포함되겠지만 안정복에 대해서 실학자라는 인식은 적은 편이고, 인문지리지인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 역시 마찬가지다. 해당분야의 발전을 도모했던, 지도의 김정호나 의학의 허준과 이제마도 국학파에 포함시키는 이들이 있지만 이들을 실학자로 보기는 또 애매한 것이 사실이다.
- ↑ 이상 역사비평 편집위원회,'논쟁으로 읽는 한국사1',역사비평사,2009,p301
- ↑ 임원경제지를 30년 동안 혼자 쓴 이공계 먼치킨이지만 전문학자들 빼고는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정조의 시경 강의 답안 채택율은 정약용보다 뛰어남에도 불구하고(...)